본 논의는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이 수행해온 한국33관음성지순례 사업에 대한 성과와 평가를 통해 전통사찰 성지순례 사업의 발전방안을 고민하였 다. 먼저 33관음성지 사업을 평가하고, 전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의는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이 수행해온 한국33관음성지순례 사업에 대한 성과와 평가를 통해 전통사찰 성지순례 사업의 발전방안을 고민하였 다. 먼저 33관음성지 사업을 평가하고, 전국...
본 논의는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이 수행해온 한국33관음성지순례 사업에 대한 성과와 평가를 통해 전통사찰 성지순례 사업의 발전방안을 고민하였 다. 먼저 33관음성지 사업을 평가하고, 전국적으로 관음성지화 될 수 있는 사찰을 다시 선정하는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평가하였다. 논자는 전통사찰 소재 성지순례 사업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전통사찰이 지니고 있는 우수한 문화자원을 토대로 관광자원화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과 무궁무진한 역량을 살펴보았다. 한국불교의 특징과 문화 적 상징성 및 문화자원 연계 가능성이 큰 관음성지순례야 말로 종교관광 과 문화관광의 성공사례가 될 가능성이 높다. 논자는 전통사찰 성지순례 개발 및 활용을 위해서 제언하였다. 먼저 성 지순례의 체험요소 확보가 중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 성지 관련 스토리 텔링과 순례자들의 체험을 공유하는 프로그램 개발, 성지에 관한 정보를 자세하게 제공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스토리텔링 작업이 필요하다. 둘 째, 보다 다양한 문화관광상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본 논의에서 전통사찰을 소재로 성지순례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전통사찰 성격별 재정비 및 문화자원 활용방안 도출이 시급하다. 둘째, 성지순례 사찰의 스토리자원의 분석과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성지순례 사찰 전체에 통용될 수 있는 문화체험 및 신앙 의례를 개발하여 체험을 이끌어내 브랜드 체험을 각인시킬 수 있는 계기 를 마련해야 한다. 다음으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성지순례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제 안하였다. 아울러 운영조직체계의 확대 개편과 성지 인증제 도입 및 소통의 장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한국 전통사찰이 보유한 가치를 현대화하고 확장할 수 있는 전통사찰 성지순례 사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이바지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discussion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temple pilgrimage project through the performance and evaluation of the Korea 33 Guanyin Holy Land Pilgrimage Project, which has been carried out by the Cultural Corps of Korean Buddhism. T...
This discussion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temple pilgrimage project through the performance and evaluation of the Korea 33 Guanyin Holy Land Pilgrimage Project, which has been carried out by the Cultural Corps of Korean Buddhism. This was first evaluated for the 33 Guanyin Holy Land Pilgrimage,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research on re-selection of temples that can be Guanyin Holy Land throughout the country were evaluated. I examined the prospects of pilgrimage to the Holy Land in traditional temples. Based on the excellent cultural resources of Korea's traditional temples, we looked at the sufficient possibilities and endless capabilities to make tourism resources. A pilgrimage to the Guanyin Holy Land Pilgrimage, which is highly likely to link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with cultural symbolism and cultural resources, is likely to be a successful example of religious tourism and cultural tourism. I propose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ilgrimage to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First of all, I think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experience element of pilgrimage to the Holy Land. To this end, more active storytelling work is needed to develop a program to share the pilgrims' experiences, and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Holy Land.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more diverse cultural tourism products should be developed. In this discussion, a proposal was made for the development of pilgrimage to the Holy Land based on traditional temples. First, it is urgent to find ways to reorganize and utilize cultural resources by the nature of traditional templ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gram to analyze and utilize story resources of pilgrimage temples. Third, cultural experiences and rituals of faith that can be used throughout the pilgrimage temple should be developed, leading to the experience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to imprint the brand experience. Next, we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the Holy Land Pilgrimage Brand Identity. In addition, it proposed the expans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operating organization system, the introduction of the Holy Land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a venue for communication. Through this discussion, we will contribute to a new leap forward in the pilgrimage project of traditional temples that can modernize and expand the value of traditional Korean templ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갤럽, "한국인이 좋아하는 40가지 [그 밖의 것들] 조사일 : 2019/05/25"
2 갤럽, "한국인의 종교 1984-2021 (1) 종교 현황"
3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한국의 전통사찰-전통사찰 전수조사 보고서"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4 허남진, "한국 종교성지의 현대적 의미" 한신인문학연구소 (14) : 199-226, 2010
5 이재수, "한국 정토신앙 성지 순례코스 개발 연구" 한국정토학회 (15) : 217-257, 2011
6 양정우, "한국 사찰음식, 세계 3대 요리학교 ‘르 코르동 블루’서 가르친다"
7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템플스테이 전문운영시설 기본계획연구"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17
8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템플스테이 운영사찰 전용시설 현황조사 보고서-마케팅자료집"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20
9 (재)불교문화재연구소, "템플스테이 운영사찰 전용시설 현황조사 보고서" 대한불교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19
10 동아일보, "템플스테이 시즌2는 ‘도심 힐링’"
1 갤럽, "한국인이 좋아하는 40가지 [그 밖의 것들] 조사일 : 2019/05/25"
2 갤럽, "한국인의 종교 1984-2021 (1) 종교 현황"
3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한국의 전통사찰-전통사찰 전수조사 보고서"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4 허남진, "한국 종교성지의 현대적 의미" 한신인문학연구소 (14) : 199-226, 2010
5 이재수, "한국 정토신앙 성지 순례코스 개발 연구" 한국정토학회 (15) : 217-257, 2011
6 양정우, "한국 사찰음식, 세계 3대 요리학교 ‘르 코르동 블루’서 가르친다"
7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템플스테이 전문운영시설 기본계획연구"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17
8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템플스테이 운영사찰 전용시설 현황조사 보고서-마케팅자료집"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20
9 (재)불교문화재연구소, "템플스테이 운영사찰 전용시설 현황조사 보고서" 대한불교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19
10 동아일보, "템플스테이 시즌2는 ‘도심 힐링’"
11 동국대 산학협력단(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전통문화 성지 순례코스 개발 연구-한국정토신앙 48사찰을 중심으로" 문화체육관광부 2010
12 이성수, "일본여성 나홀로 33관음성지 순례 회향"
13 박영정, "우리나라 공연관광의 시장 동향과 지원 정책의 방향" 한국예술경영학회 16 : 2010
14 조현, "삶의 작은 쉼표 하나, 템플스테이 10년"
15 산사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학술총서" 산사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2017
16 현대불교, "사찰음식 세계화, 국내가 밑거름"
17 (재)불교문화재연구소, "불교전통사찰 관광자원화개발 및 활용에 대한 연구" 대한불교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20
18 이성수, "내국인 순례자 27명 33관음성지순례 회향"
19 김현태, "기차타고 떠나는 가을 단풍 템플스테이"
20 김호성, "극락의 존재여부와 염불의 가능성" 보조사상연구원 (48) : 41-74, 2017
21 이원희, "관광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0~202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9
22 한국관광공사, "강원도 동해안권역 해파랑길 활성화 지원방안 연구" 한국관광공사 2011
23 義湘, "白花道場發願文"
24 智還, "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
25 Griffin, Kevin, "The Importance of Religious Tourism and Pilgrimage: reflecting on definitions, motives and data" 5 (5): 2017
26 Dowson, Ruth, "Religious Pilgrimage: Experiencing Places, Objects and Events" 8 (8): 2020
27 동국대 산학협력단(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33관음성지 문화관광적 효과분석을 위한 연구" 대한불교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12
28 문화체육관광부, "2019년기준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20
29 문화체육관광부, "2019 외래관광객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2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1 | 0.987 | 0 |
글로벌 문화관광
한서대학교 박혜윤East Asian Buddhist Culture
K-MOOC 동국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소 허남린문화관광상품의 이해[Understanding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김재호 교수문화관광상품의 이해[Understanding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김재호 교수문화관광상품의 이해[Understanding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김재호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