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수향, "유아의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창의적 사고에서의 성차" 대한사고개발학회 4 (4): 33-52, 2008
2 유연옥,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수행의 관계" 대한사고개발학회 7 (7): 53-68, 2011
3 유승연, "유아 과학 교수방법의 질적 개선을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이 예비교사의 역할 변화와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20 : 221-242, 2000
4 곽덕주,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경험에 대한 반성’의 특징" 한국교육학회 45 (45): 195-223, 2007
5 강영심,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저널쓰기 활용 방안"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63-80, 2010
6 조덕주, "예비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 향상을 위한 실제적 맥락 안에서의 저널쓰기 연구" 한국교육학회 46 (46): 231-259, 2008
7 김은주,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7-46, 2010
8 김경희, "수행평가의 이해와 실제" 1 : 1-126, 2002
9 교육부, "수행평가의 이해. 교육홍보자료"
10 박권생, "상상력이 지식보다 중요하다: Einstein의 착각?" 대한사고개발학회 7 (7): 117-134, 2011
1 김수향, "유아의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창의적 사고에서의 성차" 대한사고개발학회 4 (4): 33-52, 2008
2 유연옥,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수행의 관계" 대한사고개발학회 7 (7): 53-68, 2011
3 유승연, "유아 과학 교수방법의 질적 개선을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이 예비교사의 역할 변화와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20 : 221-242, 2000
4 곽덕주,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경험에 대한 반성’의 특징" 한국교육학회 45 (45): 195-223, 2007
5 강영심,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저널쓰기 활용 방안"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63-80, 2010
6 조덕주, "예비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 향상을 위한 실제적 맥락 안에서의 저널쓰기 연구" 한국교육학회 46 (46): 231-259, 2008
7 김은주,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7-46, 2010
8 김경희, "수행평가의 이해와 실제" 1 : 1-126, 2002
9 교육부, "수행평가의 이해. 교육홍보자료"
10 박권생, "상상력이 지식보다 중요하다: Einstein의 착각?" 대한사고개발학회 7 (7): 117-134, 2011
11 서혜성, "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에 나타난 반성적 사고 수준의 변화 :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6 (16): 243-268, 2012
12 박정옥, "반성적 저널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71-394, 2011
13 박계신, "반성적 수업시연과 분석 활동에서 나타난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 탐색" 특수교육연구소 11 (11): 215-240, 2012
14 유흥옥,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유치원 교육실습과 예비교사의 발달적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15 권정숙, "반성적 사고경험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113-133, 2003
16 노진형, "반성적 사고 중심의 모자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발달지체유아 모자에 대한 적용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17 조덕주,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11-436, 2009
18 박은혜, "반성적 사고 신장을 위한 교육실습지도 : 실습지도교수의 역할을 중심으로" 2 (2): 187-204, 1998
19 이소영, "반성방법의 차이가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459-476, 2011
20 현귀선, "동화를 활용한 교육연극이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대한사고개발학회 5 (5): 71-86, 2009
21 강문숙,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용성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대한사고개발학회 8 (8): 83-106, 2012
22 김석우, "교육평가의 이해" 학지사 2009
23 김무영, "교육실습을 통해 본 예비체육교사의 반성 내용과 반성수준"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57-77, 2010
24 정애란,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관심영역과 반성적 사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5 이진향, "교사의 수업개선을 위한 반성적 사고의 의미 고찰"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169-188, 2002
26 김석우, "고등학교 과학과 수행평가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53-73, 2007
27 Dewey, J., "경험과 교육" 박영사 1984
28 Haertel, E., "performance measurement, In Encylopedia of Esucational Research" 954-988, 1996
29 엄미리, "e-포트폴리오 성찰일지 작성활동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30 Meyer, C. A.,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uthentic and performance assessment?" 49 (49): 39-40, 1992
31 Korthagen, F. A., "Two modes of reflection" 9 (9): 11-15, 1993
32 Schon, D.,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Basic books 1983
33 Adler, S., "The reflective practitioner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Las Vegas, NY, February 5-8, 1990)"
34 Adler, S., "The reflective practitioner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17 : 139-150, 1991
35 Schon, D. A., "The reflection, how pratitioner, how professional think in action" Basic Books 1983
36 Emery, W. G., "Teachers' critical reflectin through expert talk.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110-119, 1996
37 Hatton, "Reflectio in the education : towards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11 (11): 33-49, 1995
38 Henderson, J., "Positioned reflective practice : A curriculum dis-cussion" 40 (40): 10-14, 1989
39 Aschbacher, P. R., "Permance assessment: State activity, interests, and concerns" 4 (4): 275-288, 1991
40 Seitz, V., "Parent-focused intervention : Diffusion effects on siblings" 65 : 677-683, 1994
41 Linn, R. L., "Measurement and Assessment in Teaching" Prentice Hall 1995
42 권선영, "J. DEWEY 哲學에 있어서의 經驗의 分析" 11 : 1-22, 2000
43 Dewey, J., "How we think :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 D. C. Heath 1933
44 Dewey, J., "How we" Regnery 1993
45 이주한, "Dewey의 반성적 사고 개념에서 본 반성적 교사의 특질" 초등교육연구원 23 (23): 17-34, 2012
46 Collins, A., "Cognitive apprenticeship and instructional techonology, In Educational values and cognitive instruction: Implications for reform" Erlbaum 1991
47 McMillan, J. H., "Classroom assessment :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Allyn & Bacon 1997
48 Oosterhof, A., "Classroom application of educational measurement" Maxwell Macmilan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