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준만, "한국현대사 산책(1990년대편 3권)" 인물과 사상사 2017
2 강준만, "한국현대사 산책(199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17
3 이승훈, "재벌의 고삐, 다시 놓아서는 안된다" 신동아 1994
4 유혜경, "일제시대의 노동운동과 노동운동의 성격" 법학연구소 56 (56): 455-519, 2021
5 유혜경, "이승만정권시기의 노동운동과 노동법 ― 단독정부수립후 1953년 노동법제정 전후의 상황을 중심으로 ―" 한국노동법학회 (30) : 93-151, 2009
6 E. H. 카,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 2002
7 차영구, "북핵, 김정일정권의 시한폭탄" 신동아 1994
8 유혜경, "미군정(美軍政)시기 노동운동과 노동법" 한국노동법학회 (26) : 257-302, 2008
9 강희원, "노사관계법" 법영사 2012
10 노동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령 제, 개정변천사" 2009
1 강준만, "한국현대사 산책(1990년대편 3권)" 인물과 사상사 2017
2 강준만, "한국현대사 산책(199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17
3 이승훈, "재벌의 고삐, 다시 놓아서는 안된다" 신동아 1994
4 유혜경, "일제시대의 노동운동과 노동운동의 성격" 법학연구소 56 (56): 455-519, 2021
5 유혜경, "이승만정권시기의 노동운동과 노동법 ― 단독정부수립후 1953년 노동법제정 전후의 상황을 중심으로 ―" 한국노동법학회 (30) : 93-151, 2009
6 E. H. 카,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 2002
7 차영구, "북핵, 김정일정권의 시한폭탄" 신동아 1994
8 유혜경, "미군정(美軍政)시기 노동운동과 노동법" 한국노동법학회 (26) : 257-302, 2008
9 강희원, "노사관계법" 법영사 2012
10 노동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령 제, 개정변천사" 2009
11 심태식, "노동자의 단결권" 22 (22): 1987
12 신인령, "노동법판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13 박승두, "노동법의 역사" 법률 sos 2009
14 김유성, "노동법 Ⅱ" 법문사 1999
15 임종률, "노동법" 박영사 2018
16 한국정치외교사학회, "김영삼정권의 성격과 개혁정치" 1997
17 강정구, "김영삼정권의 민족사적 평가" 34 : 2000
18 정재영, "김영삼, 김대중 「통일정치」로 재대결" 신동아 1994
19 노동부, "근로기준법령 제, 개정발자취" 2006
20 이승길, "고령자 고용안정 및 고용촉진을 위한 노동법정책의 개편방안 연구" 법학연구소 48 (48): 237-296, 2013
21 김태균, "96-97년 노동법개악 저지 대투쟁" 노동사회과학연구소 2018
22 조효래, "1987년 이후 노동체제의 변동과 노사관계"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2002
23 노진귀, "1987년 노동자대투쟁과 노동운동의 고양"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2017
24 유혜경, "1980년대 신군부정권 하에서의 노동법과 노동운동" 법학연구소 56 (56): 403-448, 2021
25 유혜경, "1960년대 박정권시대의 노동운동과 노동법" 54 (54): 2019
26 한권탁, "1953년 근로기준법의 노동정책적 의의" 법학연구소 52 (52): 437-478, 2017
27 하종대, "12.12는 기소유예, 5.18은 어떻게" 신동아 1994
28 김선수, ""문민인권" 몇 점인가" 신동아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