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八大山人의 作品에 나타난 餘白 硏究 = (A) blank research of pal.dae.san.in's work abstract in Englis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8899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餘白은 繪畵에 있어서 形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意味한다. 그러나 그 자체로서의 意味와 더불어 또 다른 形으로서의 獨立的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形과 바탕의 상호 交感的인 造形性이 서로 造化를 이루어 보는 이로 하여금 感動을 불러일으키게 한다.
      餘白美가 중요시되는 東洋畵에 있어서, 그 중에서도 현재까지 많은 影響을 미치는 畵家로서 단연 八大山人을 들 수 있다.
      그것은 八大山人의 繪畵에서 貴族的이면서도 庶民的이고, 또한 儒, 佛, 禪 어느 하나의 思想에 치우치지 않는 독특한 宗敎的인 면을 내포하고 있는데 기인한다.
      그래서 八大山人의 繪畵에서 나타난 餘白美가 東洋 특유의 象徵性이 강한 心象的 表現이라는 사실을 다음과 같이 考察해 보고자 한다.
      제 2장에서는 八大山人이 생존했던 당시의 明末, 淸初의 시대적인 상황과 滿州族인 淸初에 의한 中國의 통치속에서 四王吳운등의 傳統主義派와 八大山人, 石濤를 중심으로 하는 寫意派로 中國 繪畵가 양분되는 藝術的인 潮流를 八大山人의 生涯를 연도별로 기술해 봄으로써 그의 作品 世界가 형성되는 背景을 考察해 보겠다.
      제 3장에서는 餘白의 一般的인 意味들 즉 事前的인 정의와 書藝, 文學, 音樂的인 장르에서의 餘白과 상통하는 부분을 살펴보고 繪畵에서 보여지는 餘白이 막연한 空間이 아닌 조그마한 점조차도 들어갈 자리가 없는, 그려진 부분과 均衡을 이루어 강한 生命力을 갖고 있다는 것을 考察해 봄과 아울러 八大山人의 生涯 속에서 접하게 되는 儒敎의 素와 중세의 思想과 佛敎의 空사상과 道敎의 有, 無의 思想들을 이해함으로써 東洋畵에서 餘白의 참된 藝術的 측면을 考察함과 동시에 八大山人 繪畵에서 나타난 餘白의 思想的 根源을 조사해 보겠다.
      제 4장에서는 餘白의 歷史的인 전개 과정을 東洋畵에 構圖와 空間 表現, 人物畵에서 山水畵로서의 전개 과정과 三遠法, 邊角, 虛實, 空間을 통하여 考察해 보면서 八大山人의 作品을 토대로 山水畵와 花卉雜畵에서 表現되어지는 餘白이 八大山人 以前에 作家의 心想보다는 대상물 자체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정체된 것에 반하여 대상체 자체보다는 作家의 심적인 상태를 도와주는 餘白이라는 것에 관하여 論하여 보겠다.
      제 5장에서는 위에서 언급되어진 八大山人의 人生과 그의 繪畵가 靑初 畵壇에 지대한 影響을 주었다는 것과 특히 揚州八怪에 미친 影響은 遠代 畵壇으로까지 이어져 吳晶碩, 齊百石, 潘天壽에 까지 그의 藝術精神과 畵風이 3백년 후의 中國 繪畵계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사실을 구체적인 실 예를 들어 論하여 보겠다.
      위와 같은 순서에 따라 八大山人의 作品에서 나타난 餘白은 대상물과 교감할 수 있는 "象徵性이 강한 心象的 餘白"이라는 사실을 考察해 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餘白은 繪畵에 있어서 形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意味한다. 그러나 그 자체로서의 意味와 더불어 또 다른 形으로서의 獨立的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形과 바탕의 상호 交感的인 造形性...

      餘白은 繪畵에 있어서 形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意味한다. 그러나 그 자체로서의 意味와 더불어 또 다른 形으로서의 獨立的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形과 바탕의 상호 交感的인 造形性이 서로 造化를 이루어 보는 이로 하여금 感動을 불러일으키게 한다.
      餘白美가 중요시되는 東洋畵에 있어서, 그 중에서도 현재까지 많은 影響을 미치는 畵家로서 단연 八大山人을 들 수 있다.
      그것은 八大山人의 繪畵에서 貴族的이면서도 庶民的이고, 또한 儒, 佛, 禪 어느 하나의 思想에 치우치지 않는 독특한 宗敎的인 면을 내포하고 있는데 기인한다.
      그래서 八大山人의 繪畵에서 나타난 餘白美가 東洋 특유의 象徵性이 강한 心象的 表現이라는 사실을 다음과 같이 考察해 보고자 한다.
      제 2장에서는 八大山人이 생존했던 당시의 明末, 淸初의 시대적인 상황과 滿州族인 淸初에 의한 中國의 통치속에서 四王吳운등의 傳統主義派와 八大山人, 石濤를 중심으로 하는 寫意派로 中國 繪畵가 양분되는 藝術的인 潮流를 八大山人의 生涯를 연도별로 기술해 봄으로써 그의 作品 世界가 형성되는 背景을 考察해 보겠다.
      제 3장에서는 餘白의 一般的인 意味들 즉 事前的인 정의와 書藝, 文學, 音樂的인 장르에서의 餘白과 상통하는 부분을 살펴보고 繪畵에서 보여지는 餘白이 막연한 空間이 아닌 조그마한 점조차도 들어갈 자리가 없는, 그려진 부분과 均衡을 이루어 강한 生命力을 갖고 있다는 것을 考察해 봄과 아울러 八大山人의 生涯 속에서 접하게 되는 儒敎의 素와 중세의 思想과 佛敎의 空사상과 道敎의 有, 無의 思想들을 이해함으로써 東洋畵에서 餘白의 참된 藝術的 측면을 考察함과 동시에 八大山人 繪畵에서 나타난 餘白의 思想的 根源을 조사해 보겠다.
      제 4장에서는 餘白의 歷史的인 전개 과정을 東洋畵에 構圖와 空間 表現, 人物畵에서 山水畵로서의 전개 과정과 三遠法, 邊角, 虛實, 空間을 통하여 考察해 보면서 八大山人의 作品을 토대로 山水畵와 花卉雜畵에서 表現되어지는 餘白이 八大山人 以前에 作家의 心想보다는 대상물 자체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정체된 것에 반하여 대상체 자체보다는 作家의 심적인 상태를 도와주는 餘白이라는 것에 관하여 論하여 보겠다.
      제 5장에서는 위에서 언급되어진 八大山人의 人生과 그의 繪畵가 靑初 畵壇에 지대한 影響을 주었다는 것과 특히 揚州八怪에 미친 影響은 遠代 畵壇으로까지 이어져 吳晶碩, 齊百石, 潘天壽에 까지 그의 藝術精神과 畵風이 3백년 후의 中國 繪畵계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사실을 구체적인 실 예를 들어 論하여 보겠다.
      위와 같은 순서에 따라 八大山人의 作品에서 나타난 餘白은 대상물과 교감할 수 있는 "象徵性이 강한 心象的 餘白"이라는 사실을 考察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blank space in a painting means the rest of the part except the format. But along with the meaning itself, it achieves independently in a different format. And the moulding mutual response of the background and the format brings emotion to those who look through harmony. In an oriental painting where margin is important, we could name 'Pal.Dae.San.In' as an artist who had the most influence until today.
      That causes a unique part This is because 'Pal.Dae.San.In's paintings which does not rely on ideology such as aristocratic, democratic or scholar, bubdha, abdicate.
      Therefore will to think as follows that the margin in Pal.Dae.San.In's Painting is a mental image expression strong in an oriental's unique symbolism.
      On the second page the situation of the 'Myoung Mal Chung Cho' period when Pal.Dae.San.In was still alive and during the chinese rule due to Manchurians, the traditional thoughts of 'Sa Wang Oh Eun', Pal.Dae.San,In, Seokdo would be considered well. The artistic workouts would be told in years of his life to find how his artistic world is made.
      On the third page, we look at the general meanings of the blankspace, in another words calligraphy, culture, musical category. And the paintings which has not a single space to get in along with the white confucianism ideology of the middle age the nought ideology of the Buddhism the existence and extinct ideology of taoism. Understanding these searching for the real artistic side of the oriental margin and together examine the margin's origin from a Pal.Dae.San.In's painting.
      On the fourth page will be an expression of a historical margin in an oriental style, the development of a character to scenic beauty inquiring and 'Pal.Dae.San.In' where we will comment on the margin(blank space)in helping the writer.
      On the fifth page shows the great effect on his painting outlets from his paintings and the life of Pal.Dae.San.In. and also show examples of his paintings which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Chinese painting world after 300years.
      Like the order above, margin that has appeared in the arts of Pal.Dae.San.In. which is a strong and symbolic. Studies of making this reasonable would be considered.
      번역하기

      A blank space in a painting means the rest of the part except the format. But along with the meaning itself, it achieves independently in a different format. And the moulding mutual response of the background and the format brings emotion to those who...

      A blank space in a painting means the rest of the part except the format. But along with the meaning itself, it achieves independently in a different format. And the moulding mutual response of the background and the format brings emotion to those who look through harmony. In an oriental painting where margin is important, we could name 'Pal.Dae.San.In' as an artist who had the most influence until today.
      That causes a unique part This is because 'Pal.Dae.San.In's paintings which does not rely on ideology such as aristocratic, democratic or scholar, bubdha, abdicate.
      Therefore will to think as follows that the margin in Pal.Dae.San.In's Painting is a mental image expression strong in an oriental's unique symbolism.
      On the second page the situation of the 'Myoung Mal Chung Cho' period when Pal.Dae.San.In was still alive and during the chinese rule due to Manchurians, the traditional thoughts of 'Sa Wang Oh Eun', Pal.Dae.San,In, Seokdo would be considered well. The artistic workouts would be told in years of his life to find how his artistic world is made.
      On the third page, we look at the general meanings of the blankspace, in another words calligraphy, culture, musical category. And the paintings which has not a single space to get in along with the white confucianism ideology of the middle age the nought ideology of the Buddhism the existence and extinct ideology of taoism. Understanding these searching for the real artistic side of the oriental margin and together examine the margin's origin from a Pal.Dae.San.In's painting.
      On the fourth page will be an expression of a historical margin in an oriental style, the development of a character to scenic beauty inquiring and 'Pal.Dae.San.In' where we will comment on the margin(blank space)in helping the writer.
      On the fifth page shows the great effect on his painting outlets from his paintings and the life of Pal.Dae.San.In. and also show examples of his paintings which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Chinese painting world after 300years.
      Like the order above, margin that has appeared in the arts of Pal.Dae.San.In. which is a strong and symbolic. Studies of making this reasonable would be conside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國文抄錄 = i
      • I. 序論 = 1
      • II. 八大山人의 生涯와 藝術 = 2
      • 1. 時代的 狀況과 藝術的 潮流 = 2
      • 2. 八大山人의 生涯 = 7
      • 國文抄錄 = i
      • I. 序論 = 1
      • II. 八大山人의 生涯와 藝術 = 2
      • 1. 時代的 狀況과 藝術的 潮流 = 2
      • 2. 八大山人의 生涯 = 7
      • III. 八大山人 餘白의 精神的 背景 = 15
      • 1. 餘白의 精神的 意味 = 15
      • 2. 餘白의 儒·佛·禪 思想的 根源 = 19
      • IV. 八大山人 作品을 通해 본 餘白의 造形性 = 28
      • 1. 八大山人 以前의 作品과 餘白 關係 = 28
      • 2. 八大山人의 山水畵 = 37
      • 3. 八大山人의 花卉雜畵 = 39
      • V. 八大山人이 後代에 미친 影響 = 45
      • VI. 結論 = 51
      • 圖版 = 54
      • 參考文獻 = 70
      • 英文抄錄 =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