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살펴보고, 이러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50651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3(23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살펴보고, 이러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
본 연구는 국내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살펴보고, 이러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경기도와 강원도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며, 현재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139명의 이주여성들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의 양육스트레스에는 개인요인, 가족요인, 환경요인, 문화적응요인 등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다른 변인들(개인, 가족, 환경요인)의 영향력이 통제된 이후에도 독자적으로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나타남으로써,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을 위한 다양한 사회적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강화 및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적 방안이 제시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parenting stress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One-hundred and thirty-nine marriage migrant women who utiliz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parenting stress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One-hundred and thirty-nine marriage migrant women who utiliz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and who are raising a chi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ructured instruments were used. Study results verified that individual, family, environmental and cultural factors affected participants` parenting stress. Particularly, the variables indicating acculturative stress were identified as high risk factors that increase the level of participants` parenting stress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The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decrease acculturative stress and parenting stres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were suggested.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명선, "한국의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양육스트레스에미치는 영향" 2008
2 박명숙, "한국 이민가정의 사회적 지지망과 아동학대 발생위험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5) : 127-151, 2008
3 박애선,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가족기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1) : 143-165, 2013
4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5 최나야,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255-268, 2009
6 현경자, "여성결혼이민자의 두문화정체성과 결혼의 안녕-관점의 다각화에 기반 한 자기긍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241-271, 2012
7 최형성, "여성결혼이민자 집단과 한국어머니 집단의 양육 및 아동 관련 변인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165-183, 2011
8 박순주,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2
9 김기현,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35 (35): 141-150, 1997
10 송복희, "아시아지역 가정생활문화를 통해서 본 결혼이주여성의 한국가정생활 적응전략"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1 최명선, "한국의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양육스트레스에미치는 영향" 2008
2 박명숙, "한국 이민가정의 사회적 지지망과 아동학대 발생위험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5) : 127-151, 2008
3 박애선,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가족기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1) : 143-165, 2013
4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5 최나야,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255-268, 2009
6 현경자, "여성결혼이민자의 두문화정체성과 결혼의 안녕-관점의 다각화에 기반 한 자기긍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241-271, 2012
7 최형성, "여성결혼이민자 집단과 한국어머니 집단의 양육 및 아동 관련 변인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165-183, 2011
8 박순주,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2
9 김기현,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35 (35): 141-150, 1997
10 송복희, "아시아지역 가정생활문화를 통해서 본 결혼이주여성의 한국가정생활 적응전략"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11 양옥경, "서울거주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사회적 지원서비스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연구원 8 (8): 229-251, 2007
12 박소은,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8) : 359-384, 2012
13 여중철,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문화적 적응" 민족문화연구소 (44) : 351-388, 2010
14 홍성희, "다문화가족의 문화차이 인식과 문화적응의 양상" 한국가정관리학회 30 (30): 153-172, 2012
15 통계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보고서"
16 우현경,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한국아동학회 30 (30): 23-36, 2009
17 임지향,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및 우울의 조절효과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49-70, 2010
18 최현미, "다문화 가족복지론" 양서원 2008
19 윤명숙,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부모 됨을 통한 적응 경험"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2) : 103-135, 2011
20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08
21 김윤미, "기혼 여교사의 배우자 지지, 다중역할 현실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 한국상담학회 14 (14): 305-322, 2013
22 김지현,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양육경험-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을 중심으로" 12 (12): 46-60, 2009
23 안준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분석 - 충청남도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2) : 137-176, 2011
24 박진옥, "결혼이주여성가족의 부부관계 및 고부관계에서 나타나는 적응과 갈등"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25 김태근, "u-Can 회귀분석" 인간과 복지 2006
26 Collier, A., "culture-specific views of child maltreatment and parenting styles in a pacific-island community" 23 : 229-244, 1999
27 심영희, "Transnational Field and Transnational Identity among Women Marriage Migrants in Korea" 국제비교한국학회 19 (19): 7-44, 2011
28 Park, M., "The factors of child physical abuse in Korean immigrant families" 25 : 945-958, 2001
29 Hamilton, L. C., "Regression with Graphics: A Second Course In Applied Statistics, Pacific Grove" Duxbury Press 1992
30 Saunders. E., "Racial inequality and child neglect:Findings in a metropolitan area" 72 : 341-354, 1993
31 Abidin, R., "Parenting Stress Index" Pediatric Psychology Press 1990
32 Sherraden, M., "Multicultural issues in child welfare" 18 : 497-504, 1996
33 Cohen, N., "Multicultural approaches in caring for children, youth, and their families" Pearson Education Inc 2007
34 Sandhu, S., "Development of a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 Preliminary findings" 75 (75): 435-448, 1994
35 Xu, X., "Cultural, human, and social capital as determinants of corporal punishment" 15 (15): 603-630, 2000
36 Fontes, L., "Child abuse and culture: working with diverse families" Guilford press 2005
37 Afifi, T., "Child abuse and adolescent parenting: Developing a theoretical model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14 (14): 89-105, 2007
38 Chang, J., "Characteristics of child abuse in immigrant Korean families and correlates of placement decisions" 30 (30): 81-891, 2006
39 Moon, S., "An empirical test of the multicultural /multimodal/multisystems(MULTI-CMS) approach for Korean immigrant families" 6 (6): 57-74, 2005
40 보건복지부, "2011년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2012
학령기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문화교육의 효과분석
보호자로부터의 학대경험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저소득층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변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4 | 1.64 | 1.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5 | 2.11 | 2.512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