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동기 변화 추이와 탈동기⋅재동기 연구 = Changes in Motivation, De-motivation and Re-motivation in Korean Language Learning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53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motiv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using motivation charts and retrospectiv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 that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d demotivat...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motiv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using motivation charts and retrospectiv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 that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d demotivation between six and 18 months of living in Korea, but were remotivated in their third year of learning Korean. Newly discovered demotivation factors include advanced course topics in language institutions, difficulties adjusting to life in Korea during the early stages of studying abroad, taking online courses,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two foreign languages simultaneously. Remotivation factors included communication with native speakers, improvements in learning conditions, and the use of out-of-class self-regul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programs that aim to predict and alleviate the demotiv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s well as help them to remotiva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의 변화 및 탈동기의 재동기화 과정을 동기 변화 차트 및 회고적 면담을 통해 살피고, 이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이 ...

      본고는 한국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의 변화 및 탈동기의 재동기화 과정을 동기 변화 차트 및 회고적 면담을 통해 살피고, 이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 학습 탈동기를 관리하여 재동기화하도록 돕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학부 유학생들의 한국어 동기는 한국어를 학습한 지 1.5년이 된 시점에서 가장 낮았으며 2년과 3년 시점에서 가장 높았다. 이러한 시점은 1년이 언어교육원 4급 정도에 이르러 학습 부담을 느끼게 되는 시점이며, 코로나 19로 인한 상황의 영향이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대체로 한국어를 학습한 지 3년 정도 되는 시점에서는 재동기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본고에서 나타난 탈동기 요인은 다양하였으며,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였던 학습 환경 및 학습 경험 요인 등이 나타났다. 반면 그 하위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는데 본고에서는 유사 문법 등으로 인한 학습 부담, 수업 방식의 변화, 교재의 주제가 그 하위 요인으로 나타났다. 수업 및 학습 환경과 같은 상위 요인들은 한국어교육 선행 연구에서 자주 언급된 요인인 또한 학습 경험의 하위 요인인 학습 자신감 결여, 시험 불안 등도 선행 연구에서는 그 구체적인 원인 등이 밝혀지지 않았는데, 본고에서는 과거 주로 언어교육원 등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한 후 학부 유학을 시작하는 것과 달리 학부 입학 후 한국어를 처음 한국어를 학습하는 방식이 한국어 학습에 대한 부담과 불안감을 주어 한국어 학습의 주요 탈동기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전공 학습 요인, 학습 환경 요인 중 비대면 수업의 영향, 기타 학습 여건 중 유학 초기 적응과 휴학 역시 선행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았던 탈동기 요인이었다. 본고에서는 재동기 요인을 의도되지 않은 재동기 요인과 학습자의 의도된 재동기 전략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재동기 요인에는 원어민과의 의사소통, 교사, 동료, 학습 여건의 개선, 도구적 요인, 성적 향상과 성취감, 이전 외국어 학습 경험이 나타났다. 재동기 전략으로는 수업 밖에서의 자기 조절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수업 내 자기 조절, 인지적·정의적 조정, 목표에 집중하기, 학습의 필요성 인식 등의 전략도 활용되었다. 유학생들은 스스로 원어민과의 의사소통 기회를 만들어 재동기화 하는 전략을 취하였으며 한국인이 다수 수강하는 영어 강의를 수강하는 것과 같은 자신만의 재동기화 전략을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재동기 전략은 한국어교육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것이었다. 앞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 변화 추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유학생의 학업 지속 및 학습의 질 향상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