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자본의 사용은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소규모 개방경제에서 자본의 유출입규모와 변동성이 심할 때 국내금융정책의 독립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자율, 물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5025540
2003
Korean
322.81
학술저널
93-135(4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해외자본의 사용은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소규모 개방경제에서 자본의 유출입규모와 변동성이 심할 때 국내금융정책의 독립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자율, 물가, ...
해외자본의 사용은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소규모 개방경제에서 자본의 유출입규모와 변동성이 심할 때 국내금융정책의 독립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자율, 물가, 환율, 외환보유고, 외채와 같은 거시금융변수의 변동성 증가는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제위기 결정요인들이 변화하는 원인으로 자본이동의 변동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거시경제기초변수들과 경제위기를 나타내는 금융여건으로의 변동성 전이효과를 분석한다.
GARCH모형을 이용하여 자본이동의 변동성을 추정하는데 여기에서는 자본유출입의 분산의 성질보다는 변동성의 예측가능성에 의미를 두어 표준화된 오차는 예측되지 않은 변통성으로 설명하고 조건부분산은 과거의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한 변통성이므로 예측된 변통성이라 하였다. 이 두가지 변동성을 경제금융변수로의 영향으로 검증할 때 GARCH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는데 예측된 변동성과 예측되지 않은 변동성이 경제, 금융변수로의 전이효과를 비교하였다.
자본유출입의 변동성이 경제, 은행위기변수들의 변동성을 유발한다면 경제를 불안정하게 하는 근본적인 문제로서 자본유출입의 변동성을 다룰 수 있다. 자본유출입의 자유화는 세계적인 추세를 볼 때 막을 수 없지만 자본유출입의 변동성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자본유출입의 변동성이 어떠한 변수로 전달되는가를 파악하여 변동성의 전이를 막을 수 있고 변동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