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와 함께하는 마을교육공동체의 실천을 위한 협력적 실행과정과 이에 따른 연구참여자들의 인식 변화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G시 J유치원 을 연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98161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7-80(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와 함께하는 마을교육공동체의 실천을 위한 협력적 실행과정과 이에 따른 연구참여자들의 인식 변화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G시 J유치원 을 연구 ...
본 연구는 유아와 함께하는 마을교육공동체의 실천을 위한 협력적 실행과정과 이에 따른 연구참여자들의 인식 변화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G시 J유치원 을 연구 현장으로 섭외하여 2022년 9월부터 2023년 4월까지 협력적 실행연구를 수행하였 으며, 연구참여자는 2022학년도 L반 교사 C와 유아 16명, 2023학년도 L반 교사 H와 유아 15명, 마을구성원 6명, 연구자 1명이다. 연구절차는 Kemmis와 McTaggart(1988)가 제시 한 ‘계획-실행-관찰-반성’의 단계로, 이를 1차~3차에 걸쳐 실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참여관 찰과 면담, 저널, 사진 및 영상자료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반복적 읽기를 통해 의미 있는 발 문과 상황을 범주화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유아와 함께하는 마을교육공동체의 실천과정 은 ‘마을과 마주하다’, ‘마을에서 소통하다’, ‘마을로 연결되다’로, 이에 따른 연구참여자들 의 인식 변화는 ‘자신감과 적극성을 갖게 된 유아’, ‘협력적 교육과정 전문성과 주체성이 향 상된 교사’, ‘열린 마음으로 변화된 마을구성원’, ‘협력적 실천이라는 걸음을 뗀 연구자’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들이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해 연대의 가치를 깨닫게 되었 다는 점과 유아가 협력적 행위 주체성을 갖고 발현적 교육과정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시사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llaborative action process for the practi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ith young children and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ccordingly. To this end, the res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llaborative action process for the practi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ith young children and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ccordingly. To this end, the researcher selected J Kindergarten in G City as a research site and conducted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for about 8 months from September 2022 to April 2023.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actice proces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ere Class L teacher C and 16 children in 2022, Class L teacher H and 15 children in 2023, 6 village members, and 1 researcher.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ed of the stages of “Plan-Act-Observe-Reflect” an implementation research model proposed by Kemmis and McTaggart(1988), and this process was carried out over the first to third roun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journals, photographs and video materials, and through repetitive reading, meaningful questions and situations were categorized to derive results.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ith young children was classified “facing the village,” “communicating in the village,” and “connecting to the village” and the change in percep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classified into “young children with confidence and activeness”, “teacher with improved cooperative curriculum professionalism and subjectivity”, “village members changed with an open mind” and “researcher who took the step of collaborative practi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realized the value of solidarity through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suggested that children can have a cooperative identity and become subjects of an emergent curriculum.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회수 ; 윤혜정, "활동이론을 통한 마을교육공동체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41 (41): 125-144, 2019
2 허주, "혁신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20
3 이지영, "혁신교육 발전을 위한 ‘마을교육공동체 정책’ 내실화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20
4 홍다현 ; 정정훈, "한 교장의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한 ‘교육의 사회적 책임(ESR)’ 실천 생애사 연구" 교육연구소 28 (28): 27-48, 2022
5 김미향, "학교와 지역사회 간 연계 ․협력에 기반한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 탐색"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6 (16): 27-52, 2020
6 이아름 ; 김낙흥,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유아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49-79, 2018
7 이경호, "전문가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장의 역할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95-221, 2011
8 이해송, "유치원의 마을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운영 특성 분석: A시 공립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9 권미경, "유치원과 어린이집 지역사회 연계 실태 및 활동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6
10 김희영,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1 김회수 ; 윤혜정, "활동이론을 통한 마을교육공동체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41 (41): 125-144, 2019
2 허주, "혁신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20
3 이지영, "혁신교육 발전을 위한 ‘마을교육공동체 정책’ 내실화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20
4 홍다현 ; 정정훈, "한 교장의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한 ‘교육의 사회적 책임(ESR)’ 실천 생애사 연구" 교육연구소 28 (28): 27-48, 2022
5 김미향, "학교와 지역사회 간 연계 ․협력에 기반한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 탐색"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6 (16): 27-52, 2020
6 이아름 ; 김낙흥,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유아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49-79, 2018
7 이경호, "전문가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장의 역할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95-221, 2011
8 이해송, "유치원의 마을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운영 특성 분석: A시 공립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9 권미경, "유치원과 어린이집 지역사회 연계 실태 및 활동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6
10 김희영,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11 노혜진, "유아의 실개천 놀이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12 최혜윤, "유아의 신체활동 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13 김은주 ; 이상수, "유아교육기관과 지역공동체의 협력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9-152, 2005
14 서강오, "아파트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례연구: 마을공동체 활성화 요소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0
15 김보영, "소인수 학급 유아들의 배려공동체 형성을 위한 실행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16 이혜현, "소규모 공립유치원 교사의 마을 공동교육과정 실행 경험의 의미" 한국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17 이경민 ; 이은희, "세대통합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보육학회 17 (17): 115-136, 2017
18 이대균 ; 김주영, "사립유치원 교원의 원내 자율장학의 어려움과 요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425-446, 2010
19 신진희 ; 김정희, "보육교사의 자기장학이 교직전문성과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화어린이연구원 4 (4): 5-30, 2019
20 김영철, "미래사회의 마을교육공동체 발전방향"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21 표준국어대사전, "마주"
22 권다남, "마을학습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23 김보화, "마을교육공동체의 형성과정과 마을교사의 교육 실천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22
24 서용선, "마을교육공동체란 무엇인가?" 살림터 2015
25 김용련, "마을교육공동체: 생태적 의미와 실천" 살림터 2019
26 김유현,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방안-전남 순천지역 학교시설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27 문보경,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체제 사례분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28 경기도교육청, "마을교육공동체 기본계획(안)"
29 정윤아, "교사들의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30 곽영순,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앎에서 삶으로" 교육과학사 2014
31 표준국어대사전, "공용 공간"
32 김정현,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네트워크 구조와 성격에 관한 연구: 경기도 S시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33 교육부, "[유아·교사용 지원자료] 놀이하며 자라는 유아시민역량"
34 Kemmis, S., "The Action Research Planner" Deakin University Press 1998
35 UNESCO, "Rethinking education: Towards a global common good?"
36 최수진,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미래지향적 역량 교육의 실행 전략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19
37 홍지희, "OECD Education 2030 역량기반 교육의 한계와 가능성 : 존재론적 자유교육 관점에서의 탐색" 한국교육철학학회 45 (45): 125-147, 2023
38 김은영, "2019 개정 누리과정 대국민 공청회 자료집"
만 2~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의생활 지도 실태 및 인식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치원급식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은유 분석을 통해 본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