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수효능감의 전반적 경향과 개인 및 기관 변인에 따른 차 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도권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교사 213명을 대상으 로 김민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수효능감의 전반적 경향과 개인 및 기관 변인에 따른 차 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도권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교사 213명을 대상으 로 김민경...
본 연구는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수효능감의 전반적 경향과 개인 및 기관 변인에 따른 차 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도권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교사 213명을 대상으 로 김민경 외(2023)의 ‘영아교사용 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평균 및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산출하고, t검정과 일원 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사후검증(Scheffé)을 실시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 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개인 변인인 연령, 경력, 영아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학력, 전공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또한 기관 변인인 담당 학급 연령에 따라 영아교 사 교수효능감의 일부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기관 유형, 급여에 따른 차이 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교사 교수효능감의 전반적 경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trend of teaching efficacy among infant/toddler teachers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For this purpose, 213 infant/toddler teachers working in the Se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trend of teaching efficacy among infant/toddler teachers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For this purpose, 213 infant/toddler teachers work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nd th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Infant/Toddler Teachers’ by Kim, Lee, and Lee(2023) was used as the research tool.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skewness, and kurtosis were calculated, and t-test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s) were conducted, and Scheffé was performed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efficacy of infant/toddler teachers was found to be high overal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personal variables such as age, career, and infant/toddler class experience,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and major. In addition, in terms of institutional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 sub-factor of infant/toddler teachers’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lass in charge,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and salary. These results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trend of infant/ toddler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eek various ways to support them.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희 ; 김옥분 ; 김혜진, "직장 어린이집 원장의 지도성 유형 및 교사 개인 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업열망 차이"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3 (13): 299-321, 2014
2 한석실 ; 임명희,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0 (10): 207-240, 2003
3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 교수 실제 및 유아의 과학 행동" 21 (21): 5-28, 2001
4 김호, "유아의 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의 창의성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207-226, 2010
5 최은영, "유아교육·보육 통합을 위한 단계적 추진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22
6 심숙영 ; 임선아,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319-340, 2018
7 김희정 ; 백영애 ; 임유경,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 및 공감 간의 관계" 한국육아지원학회 12 (12): 53-72, 2017
8 박혜정, "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4 (4): 1-24, 2017
9 김경철 ; 이민영,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2 (22): 131-152, 2023
10 조성진 ; 안연경,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3 (23): 427-438, 2023
1 김진희 ; 김옥분 ; 김혜진, "직장 어린이집 원장의 지도성 유형 및 교사 개인 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업열망 차이"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3 (13): 299-321, 2014
2 한석실 ; 임명희,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0 (10): 207-240, 2003
3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 교수 실제 및 유아의 과학 행동" 21 (21): 5-28, 2001
4 김호, "유아의 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의 창의성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207-226, 2010
5 최은영, "유아교육·보육 통합을 위한 단계적 추진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22
6 심숙영 ; 임선아,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319-340, 2018
7 김희정 ; 백영애 ; 임유경,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 및 공감 간의 관계" 한국육아지원학회 12 (12): 53-72, 2017
8 박혜정, "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4 (4): 1-24, 2017
9 김경철 ; 이민영,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2 (22): 131-152, 2023
10 조성진 ; 안연경,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3 (23): 427-438, 2023
11 이영주 ; 서현아,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과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관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759-783, 2020
12 손희진 ; 성지현,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질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5 (35): 191-209, 2014
13 한미라 ; 김광수,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47-770, 2019
14 이정미, "유아교사 교수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15 김희진, "유아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외적 요인에 대한 연구" 16 (16): 161-181, 1999
16 정금연, "영유아교사의 안전교육 인식과 교사효능감이 안전실천에 미치는 영향" 3 (3): 1-23, 2018
17 이미화,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 제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18 강이슬 ; 김민경,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7 (7): 325-352, 2011
19 황혁 ; 문혁준, "영아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문성발달과 근무환경 군집에 따른 개인적 변인과 교사효능감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993-1009, 2022
20 Wittmer, D. S., "영아발달과 반응적 교육: 관계중심 접근법" 학지사 2011
21 오영순 ; 김용임 ; 정영실,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227-244, 2016
22 장영희, "영아교육과정" 양서원 2000
23 김기철 ; 신애선,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4, 2017
24 이승연 ; 유주연, "영아교사의 자기관찰 및 해석을 통한 영아 및 영아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 간의 관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07-234, 2014
25 김기철 ; 이선채,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 및 민감성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6 (16): 201-226, 2016
26 이경례 ; 문혁준,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00) : 1-23, 2016
27 이종금 ; 전정민, "영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와 교사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회 34 (34): 167-185, 2020
28 채영란,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3 (13): 2899-2912, 2022
29 유지연 ; 황혜정,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1-23, 2015
30 신현정, "영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민감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9 (19): 101-115, 2019
31 김래은 ; 장우심,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정서조절책략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3 (13): 87-102, 2022
32 서민희 ; 유경훈, "영아교사 성인애착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22 (22): 157-176, 2020
33 김영정, "서울시 어린이집 보조교사 근로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6
34 이현주,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 15 (15): 93-112, 2015
35 조희정 ; 고영미, "보육교사의 인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소 24 (24): 83-100, 2022
36 강현경 ; 도미향, "보육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부모교육학회 20 (20): 81-102, 2023
37 김동현 ; 이선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행복감을 매개효과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1 (21): 231-254, 2017
38 박은숙,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관한 분석" 30 (30): 43-61, 2009
39 이성희 ; 박영신,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1-50, 2007
40 이미란 ; 홍순옥, "보육교사 및 보육시설 특징에 따른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인지발달중재학회 1 (1): 55-68, 2010
41 최효식 ; 윤해옥, "교실환경,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인지능력,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39-356, 2015
42 김명선 ; 황선영 ; 오재연,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정서능력, 인성특성,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53-80, 2014
43 정영미,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국제문화기술진흥원 9 (9): 223-228, 2023
44 김민경 ; 이영선 ; 이승연, "‘영아교사용 교수효능감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원교육학회 40 (40): 245-274, 2023
45 Elbaz, F.,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 Report of a case study" 11 (11): 43-71, 1981
46 Lally, J. R., "The pre-k debates: Current controversies & issues" Paul H. Brookes 159-162, 2011
47 Lee, S. Y., "The development of infant-caregiver relationships in a child care setting"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005
48 La Paro, K. M., "The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Findings from the prekindergarten year" 32 (32): 409-426, 2004
49 Gibson, S., "Teachers’ sense of efficacy: Changes due to experience" 1982
50 Hoy, W. K.,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93 (93): 355-372, 1993
51 Dembo, M. H., "Teachers’ sense of efficacy :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86 (86): 173-184, 1985
52 Mortensen, J. A.,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infant/toddler child car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26 (26): 209-229, 2015
53 Emmer, E. T., "Teacher 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and discipline" 51 (51): 755-765, 1991
54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 Its meaning and measure" 68 (68): 202-248, 1998
55 Gibson, S., "Teacher efficacy : A construct validation" 76 (76): 569-582, 1984
56 Bandura, A.,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Information Age Publishing 307-337, 2006
57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58 Woolfolk, A. E., "Prospecti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beliefs about control" 82 (82): 81-91, 1990
59 Leavitt, R. L., "Power and emotion in infant-toddler day car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4
60 Pigge, F. L., "Outstanding teachers’ sense of teacher efficacy at four stages of career development" 1993
61 Thomason, R. A., "Measure twice, cut once : Attachment theory and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10 (10): 287-297, 2008
62 Recchia, S. L., "Handbook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Routledge 107-121, 2015
63 Enochs, L. G.,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74 (74): 625-637, 1990
64 Lally, J. R., "For our babies: Ending the invisible neglect of America’s infants" Teachers College Press 2013
65 Raikes, H. H., "Extending the dance in infant & toddler caregiving: Enhancing attachment & relationships" Paul H. Brookes 2009
66 Moore, W. P., "Exploring the context of teacher efficacy: The role of achievement and climate" 1994
67 Brooks, R., "Connecting the dots from infancy to childhood : A longitudinal study connecting gaze following, language, and explicit theory of mind" 130 : 67-78, 2015
68 Recchia, S. L., "Caregiver-child relationships as a context for continuity in child care" 32 (32): 143-157, 2012
69 김연하 ; 김양은, "Bandura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69-191, 2008
70 진경희 ; 유수정 ; 정영실, "9∼20개월 영아반 교사 효능감 및 영아의 공동주의와 영아의 어휘력과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6 (16): 23-45, 2017
71 박찬옥 ; 이완희, "2세 영아반 초임 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5-30, 2005
72 교육부, "2022 교육부 업무보고"
만 2~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의생활 지도 실태 및 인식
유아와 함께하는 마을교육공동체의 실천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치원급식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은유 분석을 통해 본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