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반도 평화와 통일 담론에 대한 대안적 논의: 안정적 평화 = Stable Peace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Peace and Unification Discourses on the Korean Peninsu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2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반도 통일과 평화의 긴장성을 완화하고 불안정한 평화 상태에 있는 한반도에서 통일과 평화 정책을 둘러싸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불필요한 논쟁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

      본 연구는 한반도 통일과 평화의 긴장성을 완화하고 불안정한 평화 상태에 있는 한반도에서 통일과 평화 정책을 둘러싸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불필요한 논쟁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최소’의 정책 목표로서 안정적 평화 개념을 탐구하고 한반도 평화에 주는 유의미한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폭력 갈등으로부터 벗어나 불안정한 평화를 거쳐 안정적 평화 상태로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발전하는 과정으로서 평화를 인식하는 안정적 평화는 갈등당사자 간 평화로운 공존의 관계를 형성하는 ‘화해’ 단계로부터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통합의 정도가 깊어지는 ‘안보공동체’와 ‘연방’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불안정한 평화로부터 안정적 평화로 전환하는데 가장 중요한 단계는 상호적대적 정체성의 해체를 바탕으로 전쟁이나 무력의 사용을 외교·안보 정책의 옵션에서 제외하는 인지적 변화와 상호합의를 바탕으로 평화적 관계를 형성하고 제도화하는 것이다. 안정적 평화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한반도에 제공한다. 우선 안정적 평화는 통일의 당위성에 동의하지 않는 국민까지 동의할 수 있는 ‘최소’의 평화·통일 정책의 목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안정적 평화로의 전환에 있어 상호적대적 정체성과 남북한 각 사회의 갈등문화의 해체와 같은 인지적 변화의 중요성이다. 마지막으로 정치·군사적 신뢰 회복이 우선시 될 필요가 있다. 이는 기능주의를 기반으로 경제와 같은 하위영역에서의 협력을 보다 중요시 했던 기존 정책 방향의 전환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y of stable peace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go beyond strained relations between peace and unification discourses in the context of the division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tages of stable peace vary from ‘r...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y of stable peace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go beyond strained relations between peace and unification discourses in the context of the division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tages of stable peace vary from ‘reconciliation,’ that is coexistence between conflicting parties, to the establishment of a ‘security community’ or ‘union’. A key step to moving out of unstable peace to stable peace is a cognitive change in which hostile identities of conflicting parties are reconstructed so that war or armed conflict can be removed from options for foreign and security policies. The followings are the implications that staple peace provides for the Korean case: 1) stable peace can be a minimalist goal of peace and unification policy on which even those who are opposed to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can agree; 2) in order to deconstruct hostile identities between the two Koreas, it is essential to transform the culture of conflict in each Korean society; and 3) the primary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rust-building in political and security areas, which implies transformation in policies that have put a high priority on economic cooper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근, "화해, 안보공동체, 통일로 이어지는 길에 대한 제언" (겨울) : 91-102, 2015

      2 최장집, "한반도의 냉전해체와 평화공존의 조건" 2018

      3 정성윤, "한반도 비핵·평화 추진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 통일연구원 2020

      4 이정철, "한국형 평화담론에 대한 비판과 성찰"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3 (63): 1-28, 2020

      5 서보혁, "한국 평화학의 탐구" 박영사 2019

      6 김범수, "통일과 평화, 시대와 세대 앞에 서다, 2021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7 박명규, "비대칭 남북관계, 통일의식, 그리고 복합적 사회안보" 33 : 121-142, 2011

      8 고유환, "북한 핵보유 요인에 관한 역사 - 구조적 접근" 북한연구학회 20 (20): 63-88, 2016

      9 박인규, "백낙청-최장집 한반도 평화체제 논쟁: 한반도 평화와 통일은 양립 가능한가?"

      10 통일부, "문재인의 한반도정책: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1 이상근, "화해, 안보공동체, 통일로 이어지는 길에 대한 제언" (겨울) : 91-102, 2015

      2 최장집, "한반도의 냉전해체와 평화공존의 조건" 2018

      3 정성윤, "한반도 비핵·평화 추진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 통일연구원 2020

      4 이정철, "한국형 평화담론에 대한 비판과 성찰"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3 (63): 1-28, 2020

      5 서보혁, "한국 평화학의 탐구" 박영사 2019

      6 김범수, "통일과 평화, 시대와 세대 앞에 서다, 2021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7 박명규, "비대칭 남북관계, 통일의식, 그리고 복합적 사회안보" 33 : 121-142, 2011

      8 고유환, "북한 핵보유 요인에 관한 역사 - 구조적 접근" 북한연구학회 20 (20): 63-88, 2016

      9 박인규, "백낙청-최장집 한반도 평화체제 논쟁: 한반도 평화와 통일은 양립 가능한가?"

      10 통일부, "문재인의 한반도정책: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11 이병천, "다시 우리 시대 진보를 말한다" 52 (52): 428-439, 2006

      12 허지영, "고질갈등 이론을 통해 살펴본 한반도 갈등과 갈등의 평화적 전환 접근 방안 연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2 (22): 75-99, 2021

      13 안수찬, "“백낙청-최장집 논쟁”이 던지는 사회적 의미"

      14 이상근, "‘안정적 평화’ 개념과 한반도 적용 가능성" 한국정치학회 49 (49): 131-155, 2015

      15 Russet, Bruce M., "World Politics: The Menu for Choice" W. H. Freeman 1992

      16 Aughey, Arthur, "The Politics of Northern Ireland: Beyond the Belfast Agreement" Routledge 2005

      17 Kacowicz, Arie M., "Stable Peace among Nations" Rowman & Littlefield 2000

      18 Boudling, Kenneth E., "Stable Peace" University of Texas Press 1978

      19 Deutsch, Karl W., "Political Community and the North Atlantic Area: International Organization in the Light of Historical Experi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7

      20 김찬호, "MB 정부 외교전문가 “북한 문제, 그때 시각·원칙으로 다뤄선 안 돼.”"

      21 Miller, Benjamin, "How to Advance Regional Peace? Competing Strategies for Peacemaking" 1998

      22 Kupchan, Charles A, "How Enemies Become Friends: The Sources of Stable Pea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23 George, Alexander L., "From Conflict to Peace : Stages along the Road" 5 (5): 7-9, 1992

      24 Kacowicz, Arie M, "Explaining Zones of Peace : Democracies as Satisfied Powers" 32 (32): 265-276, 1995

      25 Mitchell, David, "Cooking the Fudge: Constructive Ambiguity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Northern Ireland Agreement, 1988-2007" 24 (24): 321-336, 2009

      26 Heo, Ji Young, "Contentious Narratives on National Identity of South Korea: How to Understand the Self and the Significant Others,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reie University Berlin 2020

      27 Berridge, Geoff, "A Dictionary of Diplomacy" Palgrave-Macmillan 2003

      28 백낙청, "2013년 체제 만들기" 창비 2012

      29 허지영, "12개 렌즈로 보는 남북관계" 박영사 211-234,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8 0.8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