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C57BL/6 Mice에서 10가지 천연 소재를 섞은 소스의 비만 억제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880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천연 항비만 소재를 찾기 위해 4주령 웅성 C57BL/6 mice를 이용하여 정향, 계피, 녹차, 오미자, 울금, 하수오, 상백피, 조릿대, 더덕, 야관문 10가지 천연 소재 복합물의 항비만 효과를 ...

      본 연구는 천연 항비만 소재를 찾기 위해 4주령 웅성 C57BL/6 mice를 이용하여 정향, 계피, 녹차, 오미자, 울금, 하수오, 상백피, 조릿대, 더덕, 야관문 10가지 천연 소재 복합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와 함께 10가지 한약재를 동일한 비율로 증류수에 혼합한 ‘SME’와 소스 베이스에 혼합한 ‘SMS’를 6주간 공급하였다. SME 및 SMS 투여를 통해 몸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혈액 내 활성산소의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간 조직 및 분변 내 TG, TC 수치 감소가 나타났으며, 또한 혈액 내 TG, TC, HDL-C 및 LDL-C 수치를 감소시켰다. 천연 소재 복합물은 AMPK의 활성화를 통해 p-AMPK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SREBP-1c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ACC의 인산화를 촉진했으며, SREBP-1c의 표적인자인 FAS 및 SCD-1의 발현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실험 결과 SME 및 SMS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소스 베이스에 천연 복합물 소재를 혼합한 SMS는 항비만 천연 소재 식품 개발에 있어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natural material complexes. Male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 normal diet group (Nor), a high fat diet group (Con), 10 kinds of herbal medicines mixed with distilled water (SME),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natural material complexes. Male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 normal diet group (Nor), a high fat diet group (Con), 10 kinds of herbal medicines mixed with distilled water (SME), and mixed with sauce base (SMS). After 6 weeks, the body weight of the Con group increased and that of the SME group and the SMS group decreased. In addition, serum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decreased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were observe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in serum and liver tissue were decreased, and the size of adipocytes was decreased in liver tissue of the treated group. Additionally, expression of proteins such as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c, fatty acid synthase, and stearoyl-CoA desaturase-1 was down-regulated in the administration group. Overal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ixture of 10 herbal medicines has anti-obesity eff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다영, "홍삼․복분자 혼합 발효물을 첨가한 치즈의 항비만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31 (31): 242-251, 2018

      2 진휘승, "항비만에 대한 생약복합물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32-38, 2009

      3 김난슬, "하고초(Spica prunellae) 추출물의 항비만 및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활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8 (18): 413-418, 2014

      4 이미라, "표고버섯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94-199, 2014

      5 박세진, "패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J 마우스의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45 (45): 199-205, 2013

      6 박정은, "키토올리고당 함유 해양심층수에 의한 지방산 합성, 산화 조절 및 AMPK 활성 증가효과" 한국키틴키토산학회 18 (18): 93-98, 2013

      7 김수현, "체지방 감소 고기능성 발현 떫은 감 소재 개발 연구" 대한본초학회 33 (33): 1-7, 2018

      8 도명술, "체중조절 기전과 항비만 기능성물질"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503-, 2007

      9 김대중, "천년초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366-373, 2011

      10 황진택, "진세노사이드 Rd의 AMPK 및 PPAR 감마의 신호전달경로를 통한 항비만효과" 한국생물공학회 22 (22): 341-344, 2007

      1 이다영, "홍삼․복분자 혼합 발효물을 첨가한 치즈의 항비만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31 (31): 242-251, 2018

      2 진휘승, "항비만에 대한 생약복합물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32-38, 2009

      3 김난슬, "하고초(Spica prunellae) 추출물의 항비만 및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활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8 (18): 413-418, 2014

      4 이미라, "표고버섯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94-199, 2014

      5 박세진, "패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J 마우스의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45 (45): 199-205, 2013

      6 박정은, "키토올리고당 함유 해양심층수에 의한 지방산 합성, 산화 조절 및 AMPK 활성 증가효과" 한국키틴키토산학회 18 (18): 93-98, 2013

      7 김수현, "체지방 감소 고기능성 발현 떫은 감 소재 개발 연구" 대한본초학회 33 (33): 1-7, 2018

      8 도명술, "체중조절 기전과 항비만 기능성물질"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503-, 2007

      9 김대중, "천년초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366-373, 2011

      10 황진택, "진세노사이드 Rd의 AMPK 및 PPAR 감마의 신호전달경로를 통한 항비만효과" 한국생물공학회 22 (22): 341-344, 2007

      11 임희진, "제주산 한라봉 과피 추출물의 지방세포에서의 항비만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688-1694, 2014

      12 이민희, "유전성 비만 마우스에 대한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477-1483, 2014

      13 김자영, "안정화 미강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C57BL/6 Mice의 비만과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148-1157, 2014

      14 오영주, "수경재배 인삼으로 제조한 식초가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46 (46): 743-749, 2014

      15 박모라, "뽕잎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43-50, 2007

      16 이경석,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천년초 선인장 추출물의 항균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268-1272, 2004

      17 김용현, "발효 새우젓의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9 (39): 281-286, 2011

      18 이재준, "모시잎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43 (43): 83-90, 2011

      19 박유화,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411-1416, 2011

      20 김상수, "당뇨병과 산화 스트레스: 미토콘드리아 및 NAD(P)H Oxidase에 의한 ROS의 생성과 역할" 대한당뇨병학회 32 (32): 389-398, 2008

      21 신미래, "닭고기와 잘 어울리는 췌장라이페이즈 억제능을 가진 한약재의 비교평가" 대한본초학회 32 (32): 9-15, 2017

      22 정향숙,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에 대한 택사의 항비만 효과" 대한본초학회 28 (28): 95-106, 2013

      23 김수현,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C57BL/6 마우스에서 SM17의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 대한본초학회 32 (32): 47-55, 2017

      24 원해단,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쥐에서 HPJ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대한약학회 53 (53): 286-292, 2009

      25 강은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함유 육류용 딥소스가 지방식이 섭취 흰쥐의 지방축적 및 체중감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 33 (33): 276-280, 2013

      26 Lee H, "Reactive oxygen species facilitate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accelerating mitotic clonal expansion" 284 : 10601-10609, 2009

      27 Folin O,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 12 : 239-243, 1912

      28 Kim SY,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Bansi (Diospyroskaki), Cheongdo flat persimmon" 16 : 69-78, 2016

      29 Lister CE,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flavonoids in skin of a red and a green apple cultivar" 64 : 155-161,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