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윤심덕과 김우진 소재 영상물 비교 및 영화 <사의 찬미>(1991) 재론 = Comparison of the Video Dramas Based on Yoon Sim-duk, Kim Woo-jin and Reconsidering the Movie Praise of Death(199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36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윤심덕과 김우진 소재의 영상물 세 편을 비교한 후, 그 중 가장 소재 구현의 복합성이 살아 있는 영화 <사의 찬미>(1991)에 대해, 감독 및 연기자의 이전 작품과의 관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그 특성을 탐색한다.
      영화 <윤심덕>(1969)은 삼각관계 및 본처와 혼외 여성 중심의 멜로 서사에 주력하고, 드라마 <사의 찬미>(2018)는 일제 강점기의 고통까지 관습적 이미지로 포장하면서 청춘남녀의 이상적 애정물을 추구한다. 이에 비해 1991년 영화 <사의 찬미>는 영상미에 치중하는 동시에, 두 인물이 선구적 예술인으로 겪은 고뇌를 좌절된 사랑의 서사와 겹쳐 놓는다. 이 과정에서 이 영화는 다른 두 편에 비해, 특히 여주인공 중심의 모순적 특성을 드러낸다. 그녀는 남성의 구원을 위한 수동성과 자기 삶의 추락마저 스스로 선택하는 능동성 사이에서 균열을 보인다. 이 특성을 살피기 위해 영화 <사의 찬미>에 영향을 미친 이전 작품들에 대해 고찰해본다. 김호선 감독과 연기자 장미희의 1970년대 영화들, 또한 그녀가 1980년대에 배창호 감독과 함께 한 영화에서 구축해온 인물상의 맥락이 그 고찰의 대상이다. 대중영화의 장 안에 부분적으로 고급문화를 지향하는 태도를 담아내며, 섹슈얼리티를 포함한 욕망의 문제와 정신적·지성적 문제를 중첩시키는 경향은, 이전 작업에서부터 영화 <사의 찬미>에 이어져 윤심덕 구현의 배경을 이룬다.
      이 연구는 1991년 영화 <사의 찬미>를 두 가지 맥락에서 살피는 결과를 낳는다. 그 하나는 윤심덕과 김우진 소재 영상물의 맥락이고, 또 하나는 김호선 감독이나 연기자 장미희가 지속해온 작업의 맥락이다. 지금까지도 윤심덕과 김우진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계속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해당 소재 작품의 대표 사례인 이 영화를 입체적 맥락에서 살핌으로써, 윤심덕과 김우진 소재가 제공하는 허구화의 효과와 난점을 재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윤심덕과 김우진 소재의 영상물 세 편을 비교한 후, 그 중 가장 소재 구현의 복합성이 살아 있는 영화 <사의 찬미>(1991)에 대해, 감독 및 연기자의 이전 작품과의 관계 중심으...

      이 논문은, 윤심덕과 김우진 소재의 영상물 세 편을 비교한 후, 그 중 가장 소재 구현의 복합성이 살아 있는 영화 <사의 찬미>(1991)에 대해, 감독 및 연기자의 이전 작품과의 관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그 특성을 탐색한다.
      영화 <윤심덕>(1969)은 삼각관계 및 본처와 혼외 여성 중심의 멜로 서사에 주력하고, 드라마 <사의 찬미>(2018)는 일제 강점기의 고통까지 관습적 이미지로 포장하면서 청춘남녀의 이상적 애정물을 추구한다. 이에 비해 1991년 영화 <사의 찬미>는 영상미에 치중하는 동시에, 두 인물이 선구적 예술인으로 겪은 고뇌를 좌절된 사랑의 서사와 겹쳐 놓는다. 이 과정에서 이 영화는 다른 두 편에 비해, 특히 여주인공 중심의 모순적 특성을 드러낸다. 그녀는 남성의 구원을 위한 수동성과 자기 삶의 추락마저 스스로 선택하는 능동성 사이에서 균열을 보인다. 이 특성을 살피기 위해 영화 <사의 찬미>에 영향을 미친 이전 작품들에 대해 고찰해본다. 김호선 감독과 연기자 장미희의 1970년대 영화들, 또한 그녀가 1980년대에 배창호 감독과 함께 한 영화에서 구축해온 인물상의 맥락이 그 고찰의 대상이다. 대중영화의 장 안에 부분적으로 고급문화를 지향하는 태도를 담아내며, 섹슈얼리티를 포함한 욕망의 문제와 정신적·지성적 문제를 중첩시키는 경향은, 이전 작업에서부터 영화 <사의 찬미>에 이어져 윤심덕 구현의 배경을 이룬다.
      이 연구는 1991년 영화 <사의 찬미>를 두 가지 맥락에서 살피는 결과를 낳는다. 그 하나는 윤심덕과 김우진 소재 영상물의 맥락이고, 또 하나는 김호선 감독이나 연기자 장미희가 지속해온 작업의 맥락이다. 지금까지도 윤심덕과 김우진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계속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해당 소재 작품의 대표 사례인 이 영화를 입체적 맥락에서 살핌으로써, 윤심덕과 김우진 소재가 제공하는 허구화의 효과와 난점을 재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창호, "황진이"

      2 이현경, "현대영화가 ‘황진이’를 소환하고 재현하는 방식-<황진이>(배창호, 1986)와 <황진이>(장윤현, 2007)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5) : 93-122, 2007

      3 박유희, "한국영화 표상의 지도 : 가족, 국가, 민주주의, 여성, 예술 다섯 가지 표상으로 읽는 한국영화사" 책과함께 499-513, 2019

      4 박유희, "파토스에의 거리와 합리적 거래의 감성화-1990년대 한국영화 장르의 변전(變轉)과 감성의 재편" 대중서사학회 25 (25): 9-40, 2019

      5 강 헌, "전복과 반전의 순간" 돌베개 275-348, 2015

      6 안현철, "윤심덕"

      7 高惠淑, "영화 『死의 讚美』의 복식과 그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8 강유정, "영화 <겨울여자>의 여대생과 70년대 한국사회의 감정구조" 대중서사학회 21 (21): 187-217, 2015

      9 김도희, "영화"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2004

      10 피에르 소르랭, "영상예술미학" 동문선 2009

      1 배창호, "황진이"

      2 이현경, "현대영화가 ‘황진이’를 소환하고 재현하는 방식-<황진이>(배창호, 1986)와 <황진이>(장윤현, 2007)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5) : 93-122, 2007

      3 박유희, "한국영화 표상의 지도 : 가족, 국가, 민주주의, 여성, 예술 다섯 가지 표상으로 읽는 한국영화사" 책과함께 499-513, 2019

      4 박유희, "파토스에의 거리와 합리적 거래의 감성화-1990년대 한국영화 장르의 변전(變轉)과 감성의 재편" 대중서사학회 25 (25): 9-40, 2019

      5 강 헌, "전복과 반전의 순간" 돌베개 275-348, 2015

      6 안현철, "윤심덕"

      7 高惠淑, "영화 『死의 讚美』의 복식과 그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8 강유정, "영화 <겨울여자>의 여대생과 70년대 한국사회의 감정구조" 대중서사학회 21 (21): 187-217, 2015

      9 김도희, "영화"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2004

      10 피에르 소르랭, "영상예술미학" 동문선 2009

      11 유진월, "신여성의 근대체험과 영화의 재현 - <사의 찬미>와 <청연>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28) : 407-431, 2011

      12 김영진, "순응과 전복" 을유문화사 2019

      13 박수진, "사의 찬미"

      14 김호선, "사의 찬미"

      15 한소진, "사의 찬미" 해냄출판사 2018

      16 유민영, "비운의 선구자 윤심덕과 김우진" 새문사 2009

      17 배창호, "깊고 푸른 밤"

      18 김수남, "김호선의 영화작가 정신 고찰"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19 : 95-112, 2001

      19 한국극예술학회, "김우진-극작가총서 제1편" 연극과인간 2010

      20 김우진연구회, "김우진 연구" 푸른사상 2017

      21 박현선, "기억, 풍경, 육체의 우화들 - 1960~70년대 ‘문예영화’의 몇몇 변곡점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52) : 291-319, 2019

      22 박정숙, "근대의 타자 혹은 근대의 주체: ‘소문’과 ‘상상’으로 구성된 여가수 윤심덕(1897-1926)" 한국음악학학회 27 (27): 125-169, 2019

      23 김호선, "겨울여자"

      24 유진월, "<사의 찬미>의 장르별 스토리텔링의 변이양상" 우리문학회 (64) : 621-649, 2019

      25 백문임, "70년대 문화지형과 김승옥의 각색 작업" 한국현대소설학회 (29) : 57-80, 2006

      26 조지훈, "1970년대 한국영화의 가족로맨스 환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27 황혜진, "1970년대 유신체제기의 한국영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28 배선애, "1970년대 대중예술에 나타난 대중의 현실과 욕망-<별들의 고향>, <겨울여자>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34) : 147-178,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0-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Popular Narrativ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4 1.628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