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도시 환경색채현황에 대한 기초조사 - 군산시를 중심으로 - = The Study on Landscape Colors in Guns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905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consistent city planning damaged the city's landscape & identity, the old days. Nowaday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interested in the city's landscape design for residents, economic reason, etc. Color is most efficient one of design elements to improve a city landscape. So to establish the uniqueness and beauty of Gunsan city landscap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Gunsan landscape colors to survey the landscape color, by priority. There are nature environment of sea, river, reservoir, mountains and plain and artificial environment of buildings used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m in early modern era and modern things. It found out the color palette has extracted from the present colors in the city landscape. There were mostly colors with low chroma, middle value and the next thing was them with high value. The blue among hue was strong. The Chroma was very low to be concentrated in $L^*$ axis. So achromatic color or blue/green of middle value and low chroma were recommended for dominant color and the similar color of former color was good for assort color in Gunsan city landscape.
      번역하기

      The inconsistent city planning damaged the city's landscape & identity, the old days. Nowaday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interested in the city's landscape design for residents, economic reason, etc. Color is most efficient one of design e...

      The inconsistent city planning damaged the city's landscape & identity, the old days. Nowaday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interested in the city's landscape design for residents, economic reason, etc. Color is most efficient one of design elements to improve a city landscape. So to establish the uniqueness and beauty of Gunsan city landscap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Gunsan landscape colors to survey the landscape color, by priority. There are nature environment of sea, river, reservoir, mountains and plain and artificial environment of buildings used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m in early modern era and modern things. It found out the color palette has extracted from the present colors in the city landscape. There were mostly colors with low chroma, middle value and the next thing was them with high value. The blue among hue was strong. The Chroma was very low to be concentrated in $L^*$ axis. So achromatic color or blue/green of middle value and low chroma were recommended for dominant color and the similar color of former color was good for assort color in Gunsan city landscap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색채학회, "컬러리스트-이론편" 서울: 도서출판 국제 2004

      2 이진숙, "우리나라 농어촌 환경색채 현황분석 및 의식조사" 대한건축학회 26 (26): 87-96, 2010

      3 오다와라시, "오다와라시 색채경관 안내서"

      4 이진숙, "아파트 저층부 특화디자인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재료·색채 현황 분석 및 거주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5 (25): 135-142, 2009

      5 조재경, "아파트 단지 내 외관색채에 대한 기초사례연구 - 군산, 전주지역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0 (20): 11-18, 2009

      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실내건축을 위한 색채디자인" 서 울: 기문당 2003

      7 서울시, "서울색 정립과 체계화 요약보고서"

      8 김종하, "부석사 주변의 전통경관 보전을 위한 경관규제도 작성에 관한 연구 - 조망지점의 발굴과 조망모델 작성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189-197, 2008

      9 박영순, "도시환경과 색채" 서울: 안 그라픽스 2005

      10 군산시, "군산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및 가이드라인"

      1 한국색채학회, "컬러리스트-이론편" 서울: 도서출판 국제 2004

      2 이진숙, "우리나라 농어촌 환경색채 현황분석 및 의식조사" 대한건축학회 26 (26): 87-96, 2010

      3 오다와라시, "오다와라시 색채경관 안내서"

      4 이진숙, "아파트 저층부 특화디자인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재료·색채 현황 분석 및 거주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5 (25): 135-142, 2009

      5 조재경, "아파트 단지 내 외관색채에 대한 기초사례연구 - 군산, 전주지역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0 (20): 11-18, 2009

      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실내건축을 위한 색채디자인" 서 울: 기문당 2003

      7 서울시, "서울색 정립과 체계화 요약보고서"

      8 김종하, "부석사 주변의 전통경관 보전을 위한 경관규제도 작성에 관한 연구 - 조망지점의 발굴과 조망모델 작성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189-197, 2008

      9 박영순, "도시환경과 색채" 서울: 안 그라픽스 2005

      10 군산시, "군산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및 가이드라인"

      11 박선명, "공무원들의 인식에 나타난 경관자원 특성 분석 연구 - 경상북도 23개 시․군을 대상으로 -" 대한건축학회 26 (26): 29-36, 2010

      12 Lee, S, "DESIGNNET"

      13 Rhee, J,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urban colors in a city" 137-138,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79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