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아동학대에 대한 대중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Public Perception of Child Abuse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3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recent increasing number of child abuse cases in South Korea, it is considered a serious social problems in our society. In particular, prevention of child abuse is impossible without improving the society’s overall awareness perceived as child abuse is an important issue. Therefore,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public perception of child abuse by analyzing news and comments related to child abuse and ‘Yangcheon Child Abuse Incident’. The results from analyses suggested that the majority of people wer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child abuse and perceived corporal punishment under the guise of discipline as abuse, and this perception had not significantly changed much over time. In addition, distrust of investigative organization and social prejudice against non-blood families such as adoptive families and remarried families appeared. Finally, when a child abuse incident occurred, in which the severity of the abuse was high enough to result in the death of a child, people’s interest in child abuse increased rapidly. On the other hand, emotional abuse, which is less noticeable, has tended not to be perceived as abuse. The current study make a signficant contribution to develop measures for raising the right awareness and continuing interest in child abuse by identifying public awareness of child abuse. The limit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번역하기

      As recent increasing number of child abuse cases in South Korea, it is considered a serious social problems in our society. In particular, prevention of child abuse is impossible without improving the society’s overall awareness perceived as child a...

      As recent increasing number of child abuse cases in South Korea, it is considered a serious social problems in our society. In particular, prevention of child abuse is impossible without improving the society’s overall awareness perceived as child abuse is an important issue. Therefore,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public perception of child abuse by analyzing news and comments related to child abuse and ‘Yangcheon Child Abuse Incident’. The results from analyses suggested that the majority of people wer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child abuse and perceived corporal punishment under the guise of discipline as abuse, and this perception had not significantly changed much over time. In addition, distrust of investigative organization and social prejudice against non-blood families such as adoptive families and remarried families appeared. Finally, when a child abuse incident occurred, in which the severity of the abuse was high enough to result in the death of a child, people’s interest in child abuse increased rapidly. On the other hand, emotional abuse, which is less noticeable, has tended not to be perceived as abuse. The current study make a signficant contribution to develop measures for raising the right awareness and continuing interest in child abuse by identifying public awareness of child abuse. The limit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세경, "현행 법규범 체계에서의 아동학대 개념의인식과 수용의 범주"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347-362, 2016

      2 안동현, "한국인의 아동학대에 대한 태도" 37 (37): 661-673, 1998

      3 김슬기, "제정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검토" 법학연구원 24 (24): 201-229, 2014

      4 이세원, "정서학대와 방임에 대한 사법적 판단" 한국교정복지학회 (53) : 117-144, 2018

      5 강상,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145-165, 2014

      6 김소라, "왜 학대 신고한 교사가 개명까지 해야 합니까"

      7 안주아, "온라인 여론조사의 참여자는 누구인가? : 그루닉의 상황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59-82, 2010

      8 배미경, "온라인 공중 : 개념, 특성, 공중세분화에 관한 논의" 한국PR학회 7 (7): 213-247, 2003

      9 이정념, "아동학대의 유형에 대한 새로운 정의" 한국법학원 166 : 209-233, 2018

      10 김표민, "아동학대사례 분석을 통한 인식강화 방안에 대한 고찰" 4 (4): 195-216, 2019

      1 권세경, "현행 법규범 체계에서의 아동학대 개념의인식과 수용의 범주"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347-362, 2016

      2 안동현, "한국인의 아동학대에 대한 태도" 37 (37): 661-673, 1998

      3 김슬기, "제정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검토" 법학연구원 24 (24): 201-229, 2014

      4 이세원, "정서학대와 방임에 대한 사법적 판단" 한국교정복지학회 (53) : 117-144, 2018

      5 강상,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145-165, 2014

      6 김소라, "왜 학대 신고한 교사가 개명까지 해야 합니까"

      7 안주아, "온라인 여론조사의 참여자는 누구인가? : 그루닉의 상황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59-82, 2010

      8 배미경, "온라인 공중 : 개념, 특성, 공중세분화에 관한 논의" 한국PR학회 7 (7): 213-247, 2003

      9 이정념, "아동학대의 유형에 대한 새로운 정의" 한국법학원 166 : 209-233, 2018

      10 김표민, "아동학대사례 분석을 통한 인식강화 방안에 대한 고찰" 4 (4): 195-216, 2019

      11 박수희,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대응방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보호자의 아동학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안전 범죄정보학회 6 (6): 81-101, 2020

      12 임선아, "아동학대 피해가 심리사회적 적응을 매개하여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소득의 조절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50) : 85-108, 2015

      13 김수인, "아동학대 예방교육이 예비신고의무자의 신고의도에 미치는영향: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지식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소 55 : 373-400, 2017

      14 허남순,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3 : 209-230, 2003

      15 김지혜, "아동학대 사망사건에 대한 신문기사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131-154, 2013

      16 이경은,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전후의 아동학대 인식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19 (19): 629-636, 2019

      17 김민선, "아동학대 관련 요인 상관관계 메타분석" 대한범죄학회 14 (14): 211-227, 2020

      18 김희균, "아동학대 관련 법률의 개정방향 ― 보호자의 아동학대에 대한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7 (27): 265-296, 2020

      19 손병덕, "아동의 권리침해 현황: 성폭력과 학대로부터 아동보호" 대한범죄학회 6 (6): 157-184, 2012

      20 손지아, "아동복지적 관점을 고려한 아동‘학대’ 개념" 법학연구원 (63) : 347-372, 2018

      21 노형신, "상황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본교육정책에 대한 공중 간 인식차이" 한국언론학회 57 (57): 5-33, 2013

      22 보건복지부, "빅데이터와 통계로 보는우리 사회의 아동학대 인식"

      23 이경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동학대 인식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367-382, 2018

      24 김중곤, "부모의 학대, 방임 및 존중의 결여가아동⋅청소년의 성폭력피해에 미치는 영향: 가출의 매개효과" 대한범죄학회 12 (12): 95-110, 2018

      25 유영의,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아동학대의 심각성과 신고에 대한 인식이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연구소 32 (32): 123-147, 2013

      26 김경희, "누가 2위 포털인 다음 뉴스를 이용하는가? 포털 뉴스 이용자의 특성과 포털 뉴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2 (62): 141-164, 2018

      27 정낙원, "네이버, 다음의 문재인 정부 지지율 여론조사 뉴스 댓글에 나타난 댓글 여론과 적대적 언어 분석" 미디어융합연구소 (28) : 58-106, 2020

      28 좌보경, "금연정책관련 온라인 뉴스와 댓글 유형의 내용 분석" 한국PR학회 18 (18): 13-43, 2014

      29 김정남, "공중 상황이론의 수정과 진화: 문제해결 상황이론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8 (18): 330-366, 2014

      30 김남이, "“입양이 학대 당하고 있다”…편견에 숨어버린 예비 양부모"

      31 양길성, "“고소당할까봐”…아동학대신고의무자 신고 20%대 그쳐"

      32 권상희, "R을 이용한 웹 크롤링과텍스트 분석" 컴원미디어 2020

      3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OECD 국가와 한국의 아동보호체계 비교연구" 동원문화사 2005

      34 보건복지부, "3.30일 즉각 분리제도시행, 학대 아동의 안전과 회복을 지원한다"

      35 한국언론진흥재단, "2020 언론수용자 조사" 꽃피는청춘 2020

      36 보건복지부, "2019 아동학대 연차보고서" 2020

      37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8 아동학대 주요통계"

      38 김성호, "16개월 입양아 사망사건 “살인이냐 학대냐"

      39 김태현, "119구급대원의 아동학대 인식 및 신고의무태도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응급구조학회 23 (23): 43-59,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Crimin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1 1.51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