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남아 화인(華人)의 화문(華文)교육-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 Overseas Chinese Education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Focus on Indonesia, Thailand, Malaysia and Singapo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23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ommon feature of language policy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is that most countries are promoting the proper use of official languages ​​and education, while at the same time promoting policies to preserve the rights of minority languages ​​to be preserved and used. But most of them are pursuing assimilation policies for ethnic Chinese. Thailand and the Philippines are implementing a policy of natural assimilation, and Malaysia is taking Malaysian priority policy. Indonesia had a coercive assimilation policy in the Suharto regime, but after the Suharto regime retreated, at least it legally states that all peoples are equal. After World War II, many countries in Southeast Asia became independent from colonial rule, and indigenous nationalism emerged and rejected local Chinese schools (except Singapore), so many Chinese schools were closed and Chinese language classes were restricted. Meanwhil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 's Republic of China, China' s status a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has risen, and the second phase of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is on its way.
      번역하기

      A common feature of language policy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is that most countries are promoting the proper use of official languages ​​and education, while at the same time promoting policies to preserve the rights of minority languages ​...

      A common feature of language policy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is that most countries are promoting the proper use of official languages ​​and education, while at the same time promoting policies to preserve the rights of minority languages ​​to be preserved and used. But most of them are pursuing assimilation policies for ethnic Chinese. Thailand and the Philippines are implementing a policy of natural assimilation, and Malaysia is taking Malaysian priority policy. Indonesia had a coercive assimilation policy in the Suharto regime, but after the Suharto regime retreated, at least it legally states that all peoples are equal. After World War II, many countries in Southeast Asia became independent from colonial rule, and indigenous nationalism emerged and rejected local Chinese schools (except Singapore), so many Chinese schools were closed and Chinese language classes were restricted. Meanwhil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 's Republic of China, China' s status a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has risen, and the second phase of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is on its w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남아 각국의 언어정책에 있어 공통적인 특징은 대부분 국가에서 국민통합을 위해 공식어의 올바른 사용과 교육을 진흥하는 동시에 종족간의 갈등을 방지하기 위해 소수 민족의 언어 사용을 허용하고 보전하는 방침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동남아 각국은 그 방식이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화인에 대한 동화정책을 펼치고 있다. 태국과 필리핀은 자연동화정책을 실시하고,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인 우선정책을 취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수하르토 정권에는 강압적인 동화정책을 펼쳤지만, 수하르토 정권 퇴진 후에는 적어도 법적으로는 모든 민족이 평등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동남아 각국이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하면서 토착 민족주의가 발흥하여 현지 화교를 배척함에 따라(싱가포르 제외) 많은 화교학교가 문을 닫거나 중국어 수업시간의 제약을 받게 되었다. 한편,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국제적으로 중국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화문교육이 제2의 도약을 맞이하고 있다.
      번역하기

      동남아 각국의 언어정책에 있어 공통적인 특징은 대부분 국가에서 국민통합을 위해 공식어의 올바른 사용과 교육을 진흥하는 동시에 종족간의 갈등을 방지하기 위해 소수 민족의 언어 사용...

      동남아 각국의 언어정책에 있어 공통적인 특징은 대부분 국가에서 국민통합을 위해 공식어의 올바른 사용과 교육을 진흥하는 동시에 종족간의 갈등을 방지하기 위해 소수 민족의 언어 사용을 허용하고 보전하는 방침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동남아 각국은 그 방식이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화인에 대한 동화정책을 펼치고 있다. 태국과 필리핀은 자연동화정책을 실시하고,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인 우선정책을 취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수하르토 정권에는 강압적인 동화정책을 펼쳤지만, 수하르토 정권 퇴진 후에는 적어도 법적으로는 모든 민족이 평등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동남아 각국이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하면서 토착 민족주의가 발흥하여 현지 화교를 배척함에 따라(싱가포르 제외) 많은 화교학교가 문을 닫거나 중국어 수업시간의 제약을 받게 되었다. 한편,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국제적으로 중국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화문교육이 제2의 도약을 맞이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아, "화교․화인 디아스포라와 신이민" 중국연구소 74 : 223-245, 2018

      2 정성호, "화교" 살림출판사 2004

      3 金慶國, "한국의 화교연구 배경 및 동향 분석" 중국인문학회 26 : 29-516, 2003

      4 "태국 개황"

      5 김판준, "중국의 화교화인 역사·교육·문화 네트워크 연구" 재외한인학회 (35) : 125-149, 2015

      6 고영희, "중국과 대만의 화교화인 교육 비교"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3) : 78-101, 2015

      7 이윤정, "전략지역심층연구 논문집 Ⅰ. 동남아시아: 정치, 사회, 역사" 2012

      8 김혜련,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화인디아스포라의 현지사회 정착과 화인정책 비교"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5 (15): 201-222, 2014

      9 "인도네시아 개황"

      10 권연진, "언어정책과 국가경쟁력 비교: 동남아시아 영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10 : 2005

      1 김주아, "화교․화인 디아스포라와 신이민" 중국연구소 74 : 223-245, 2018

      2 정성호, "화교" 살림출판사 2004

      3 金慶國, "한국의 화교연구 배경 및 동향 분석" 중국인문학회 26 : 29-516, 2003

      4 "태국 개황"

      5 김판준, "중국의 화교화인 역사·교육·문화 네트워크 연구" 재외한인학회 (35) : 125-149, 2015

      6 고영희, "중국과 대만의 화교화인 교육 비교"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3) : 78-101, 2015

      7 이윤정, "전략지역심층연구 논문집 Ⅰ. 동남아시아: 정치, 사회, 역사" 2012

      8 김혜련,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화인디아스포라의 현지사회 정착과 화인정책 비교"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5 (15): 201-222, 2014

      9 "인도네시아 개황"

      10 권연진, "언어정책과 국가경쟁력 비교: 동남아시아 영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10 : 2005

      11 주효진, "아시아 다문화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10 : 2008

      12 이종원, "싱가포르의 사회과 교육" (40) : 2001

      13 박기범, "싱가포르의 다문화교육" 1 (1): 2009

      14 양승윤, "싱가포르의 교육제도" 144 : 2006

      15 새뮤얼 헌팅턴, "문명의 충돌" 김영사 1997

      16 전태현, "말레이시아의 언어 정책" 외국어교육연구소 23 (23): 151-172, 2009

      17 정희원, "말레이시아와 태국의 언어정책 현황" 20 (20): 2010

      18 김혜련, "말레이시아 화인 디아스포라의 민족교육 실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1035-1056, 2017

      19 "말레이시아 개황"

      20 이기석, "동남아시아 국가의 영어정책: 홍콩, 싱가포르, 필리핀" 한국현대언어학회 24 (24): 607-628, 2008

      21 최현실, "다문화가정 증가에 따른 한국 사회통합 정책 연구 ―중국과 싱가포르의 상호성 원리의 한국 사회에 적용가능성"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5) : 343-375, 2009

      22 손준식, "냉전시기(1950~1971) 중화민국僑務정책의 성격과 한계- 동남아 화교교육을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43) : 51-80, 2014

      23 温北炎, "试析印尼对华人的政策" (4) : 1987

      24 李娅玲, "菲律宾语言教育政策的历史演变及启示" 43 (43): 2011

      25 吴端阳, "菲律宾华文教育的历史演变及其振兴对策初探——菲华文教育考察报告" (1) : 1996

      26 吴端阳, "菲律宾华文教育的历史演变及其振兴对策初探——菲华文教育考察报告" (1) : 1996

      27 蒋重母, "老挝汉语教学现状研究" (6) : 2010

      28 耿红卫, "海外华文教育的历史回顾与梳理" (1) : 2009

      29 吴应辉, "泰国汉语传播模式值得世界借鉴―泰国汉语快速传播模式及其对汉语国际传播的启示" 2012

      30 黄德永, "泰国外语政策变迁及其对泰国汉语传播的影响研究" (1) : 2012

      31 陈灵芝, "汉语国际传播视角下的越南高校汉语教学发展研究" 中央民族大学 2016

      32 刘汝山, "新加坡语言状况及语言政策研究" (3) : 2004

      33 郭熙, "多元语言文化背景下母语维持的若干问题:新加坡个案" (4) : 2008

      34 庄国土, "回顾与展望:中国大陆华侨华人研究述评" (1) : 2009

      35 庞卫东, "反思与重释:英国殖民统治对马来西亚的影响" (9) : 2013

      36 温北炎, "印尼华文教育的过去, 现状和前景" (4) : 2001

      37 世宗海, "印尼华文教育政策的历史演变及其走向预测" 2007

      38 吴英成, "华裔汉语学习者解读:新加坡视角" 28 (28): 2014

      39 吴英成, "华裔汉语学习者解读:新加坡视角" 28 (28): 2014

      40 苏秀满, "华人移民与全球化 迁移, 本土化与交流" 华裔馆 2011

      41 杨静林, "中菲关系的华人因素及菲华人社会的转型" (5) : 2014

      42 范宏伟, "中缅关系的分裂与正常化:1967-1971年" 2008

      43 郑通涛, "东南亚汉语教学年度报告之一" (1) : 2014

      44 吴应辉, "东南亚各国政策对汉语传播影响的历时国别比较研究" (4) : 2016

      45 庄国土, "东南亚华侨华人数量的新估算" (3) : 2009

      46 张向前, "世界华文教育发展趋势及影响研究" (4) :

      47 이윤정, "ASEAN 국가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시사점-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사아를 중심으로-" 34 (34): 2014

      48 KOTRA, "2015 KOTRA세계경제전망" 2014

      49 陈业诗, "'下南洋:东南亚华侨华人的过去, 现代与未来'学术讲座综述" (2) :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7-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inese Studies and Sinology -> Journal of Sinology and China Studies KCI등재
      2015-07-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China Studies -> Journal of Chinese Studies and Sinology KCI등재
      2015-03-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hina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CHINESE STUDIES,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 -> INSTITUTE OF CHINESE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27 0.49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