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inese Public Institution(事业单位) is an organization engaged in social services such as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and hygiene established by state institutions or using national asset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social b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12399
김인식 (한국외국어대학교)
2018
Korean
중국 ; 사업단위 ; 공공서비스 ; 국유기업 ; China ; Public Institution ; shiyedanwei ; public services ; state-owned enterprises
KCI등재
학술저널
217-238(2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inese Public Institution(事业单位) is an organization engaged in social services such as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and hygiene established by state institutions or using national asset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social be...
The Chinese Public Institution(事业单位) is an organization engaged in social services such as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and hygiene established by state institutions or using national asset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social benefit. The Chinese Public Institut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economic growth in providing social services for redistribution of social resources and stability, and is expected to be more active as the task of social stability becomes more important.
These units may be viewed as similar to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or executive agencies of Korea, in terms of providing public services. Compared to Korea, these can be seen as unsolved tasks of the current unit system: First, the position of the unit is unclear and there are no clear criteria for what role the unit should play; Second, there are currently 820,000 Public Institutions operating in China, which is a significant problem due to the lack of a unified management and supervision system. South Korea's executive agency and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under unified supervision, along with the supervision of related ministries, and the establishment of such a unified management system is also necessary; Thir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volution of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 the unit of business i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nto an administrative institution, a Public Institution and a state-owned enterprise. Especially, for recent state-owned enterprises, a new classification method as public-owned and profit-oriented national entities is proposed, and a clear area of the Public Institution and state-owned enterprises is essential.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사업단위는 사회공익 목적을 위하여 국가기관이 설립하거나 기타 조직이 국유자산을 이용하여 설립한 교육, 과학기술, 문화, 위생 등 사회서비스에 종사하는 조직을 말한다. 중국 사업...
중국 사업단위는 사회공익 목적을 위하여 국가기관이 설립하거나 기타 조직이 국유자산을 이용하여 설립한 교육, 과학기술, 문화, 위생 등 사회서비스에 종사하는 조직을 말한다. 중국 사업단위는 경제 성장 과정에서 사회적 자원의 재분배와 사회 안정에 필요한 사회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고, 향후 사회안정이 더욱 중요한 과제로 부각됨에 따라 더 적극적이고 활발할 활동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사업단위는 한국과 비교하면 공공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책임운영기관 및 준정부기관과 유사한 조직으로 볼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은 현재 사업단위 제도의 당면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첫째, 사업단위의 위상이 명확하지 않아 사업단위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향후 사업단위 제도의 발전을 위해서는 사업단위가 어떠한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둘째, 현재 중국에서는 82만여개의 사업단위가 운영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통일적인 관리와 감독체계가 없어 상당한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 책임운영기관 및 준정부기관은 관련부서의 감독과 더불어 통일적인 관리감독이 시행되고 있는데 중국 사업단위 역시 이러한 통일적 관리 시스템의 건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행정기관 진화의 관점에서 볼 때 사업단위는 행정기관, 사업단위, 국유기업으로 발전하는 가운데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최근 국유기업에 대해서는 공익형 국유기업 및 영리형 국유기업으로 새로운 분류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바, 사업단위 및 국유기업의 명확한 영역의 획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철, "한국 공기업의 이해" 대영문화사 2010
2 김인식, "중국 국유기업의 새로운 분류법 도입의 의미와 전망" 한중사회과학학회 14 (14): 307-330, 2016
3 김인식, "중국 국유기업과 한국 공기업 개념의 비교 연구 - 양국 현행법 규정을 중심으로" 중국연구소 64 : 243-270, 2015
4 김인식, "중국 국유기업 민영화와 그 시사점, 중국 전문가포럼 전문가 오피니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5 李恒光, "非营利组织概念界定的国际比较" 20 (20): 2004
6 庄序莹, "转轨时期事业单位养老保险运行模式研究——基于上海市事业单位的方案设计和选择" 2008 (2008): 2008
7 李建文, "论事业单位人力资源管理" 2011 (2011): 2011
8 刘江颍, "论事业单位人事管理制度改革" 2006 (2006): 2006
9 顾昕, "能促型国家的角色:事业单位的改革与非营利部门的转型" 2005 (2005): 2005
10 龚怡, "浅谈事业单位的分类改革" 7 : 2009
1 이상철, "한국 공기업의 이해" 대영문화사 2010
2 김인식, "중국 국유기업의 새로운 분류법 도입의 의미와 전망" 한중사회과학학회 14 (14): 307-330, 2016
3 김인식, "중국 국유기업과 한국 공기업 개념의 비교 연구 - 양국 현행법 규정을 중심으로" 중국연구소 64 : 243-270, 2015
4 김인식, "중국 국유기업 민영화와 그 시사점, 중국 전문가포럼 전문가 오피니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5 李恒光, "非营利组织概念界定的国际比较" 20 (20): 2004
6 庄序莹, "转轨时期事业单位养老保险运行模式研究——基于上海市事业单位的方案设计和选择" 2008 (2008): 2008
7 李建文, "论事业单位人力资源管理" 2011 (2011): 2011
8 刘江颍, "论事业单位人事管理制度改革" 2006 (2006): 2006
9 顾昕, "能促型国家的角色:事业单位的改革与非营利部门的转型" 2005 (2005): 2005
10 龚怡, "浅谈事业单位的分类改革" 7 : 2009
11 向天苾, "浅析事业单位会计核算中存在的问题与对策" 2013 (2013): 2013
12 罗帆, "提高事业单位绩效考核信度与效度的制度创新" 2004 (2004): 2004
13 宗文龙, "我国事业单位内部控制现状与改革建议——基于问卷调查的分析" 2012 (2012): 2012
14 财政部财政科学研究所课题组, "我国事业单位养老保险制度改革研究" 2012 (2012): 2012
15 李培林, "当代西方社会的非营利组织——美国、加拿大非营利组织考察报告" 2006 (2006): 2006
16 张雅林, "审视事业单位的概念误区" 212 : 2003
17 刘晓苏, "国外公共服务供给模式及其对我国的启示" 144 : 2008
18 周志忍, "公共组织绩效评估:中国实践的回顾与反思" 2007 (2007): 2007
19 方流芳, "从法律视角看中国事业单位改革——事业单位“法人化”批判" 2007 (2007): 2007
20 岳云龙, "从传统管理到现代治理 - 事业单位改革的目标取向及路径选择" 274 : 2008
21 侯莉彬, "事业单位财务管理存在的问题及对策初探" 2010 (2010): 2010
22 蔡丽兰, "事业单位内部控制存在的主要问题、成因分析及建议" (5) : 2009
23 事业单位体制改革研究课题组, "事业单位体制改革中需研究解决的几个原则性问题" 2003 (2003): 2003
24 吴志华, "事业单位人事制度改革的问题与路径" 2006 (2006): 2006
25 黄恒学, "中国事业管理体制改革研究" 清华大学出版社 1998
26 李文钊, "中国事业单位改革:理念与政策建议" 2010 (2010): 2010
27 世界银行, "中国:深化事业单位改革, 改善公共服务提供" 2005 (2005): 2005
28 袁红琴, "专家说事业单位养老改革应向公务员看齐" 2009 (2009): 2009
29 韦之, "三、事业单位机构编制管理的历史沿革" 1992 : 1992
30 王翠春, "《事业单位会计制度》新旧变化的比较分析" 2012 (2012): 2012
Term Spread와 Credit Spread의중국 실물경제 예측력 비교 연구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재중 한국기업 중국현지 근로자를 대상으로
동남아 화인(華人)의 화문(華文)교육-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7-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hinese Studies and Sinology -> Journal of Sinology and China Studies | ![]() |
2015-07-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China Studies -> Journal of Chinese Studies and Sinology | ![]() |
2015-03-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China Studie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8-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CHINESE STUDIES,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 -> INSTITUTE OF CHINESE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27 | 0.492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