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의 에너지사용량 분석 및 에너지절약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36432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아주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아주대학교 공학대학원 , 에너지학과 , 2015. 2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rough the Energy Consumption Analysis and the Energy saving in university buildings

      • 형태사항

        67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희준
        참고문헌: p.67

      • 소장기관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3년 에너지 관리공단에 2000toe이상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과소비 업체로 등록되어 신고중인 교육기관이 336개 이르고 있으며 대학의 경우 내부연구 및 교육 등을 위한 요구사항에 따라 건물규모 및 질적 팽창을 거듭하고 있어, 이에 따라 대학의 에너지사용량이 급증하여 건물부분에서도 중요 에너지 소비원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건물의 팽창 및 노후화로 에너지소비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학은 연구 및 학문분야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중요 일환으로 지역문화를 선도하고 있어 에너지절감 문화 확산을 위하여 지역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요구하고 있으며, 아주대학교의 경우 수원시와의 협약을 통하여 그린캠퍼스 조성사업을 추진하면서 교내 에너지 절약문화 확산에 이바지 하고 있다.
      최근 아주대학교는 건물수요 증대가 에너지 소비량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어 연간 2013년 기준 에너지사용량 6,153toe, 에너지 사용금액 36.6억원 정도 소비하였으며, 최근 가스냉난방 설비의 증가로 가스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단위면적당 에너지밀도는 0.029toe/㎡로 결코 적지 않은 수치이며, 전력부분 : 가스부분의 사용비율은 73:67 정도로 가스부분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여름철의 개별냉방 기기사용으로 피크전력이 급증하고 겨울철에 난방기기로 인한 가스사용량이 급증하는 패턴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목표관리제도 적용에 대비하고 자체 에너지사용량의 증가 억제를 통하여 에너지비용 상승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아주대학교에 적용이 가능한 노후시설개선 및 에너지절약 설비 설치로 LED램프 교체, 강의실 시스템에어컨, 태양광 및 태양열 설비, 노후보일러 교체, EMS 도입, 고효율변압기 설치, 전자경비 연동 제어설비, 흡수식 냉난방시스템 펌프 인버터 기동방식 적용 등등으로 전기에너지 절감량 844 MWh/년(약 4.03%/2013년 대비) 가스 사용량은 65,628 (약 3.9%/2013년 대비)절감하여 총 에너지 절감 250 toe/년, 온실가스배출량 141.6 tc/년 정도 감축 될 것으로 예측되고, 총 사업비는 약 16억원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산 배정의 어려움과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사업이니 만큼 경제성이 우수한 부분부터 연차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번역하기

      2013년 에너지 관리공단에 2000toe이상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과소비 업체로 등록되어 신고중인 교육기관이 336개 이르고 있으며 대학의 경우 내부연구 및 교육 등을 위한 요구사항에 따라 ...

      2013년 에너지 관리공단에 2000toe이상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과소비 업체로 등록되어 신고중인 교육기관이 336개 이르고 있으며 대학의 경우 내부연구 및 교육 등을 위한 요구사항에 따라 건물규모 및 질적 팽창을 거듭하고 있어, 이에 따라 대학의 에너지사용량이 급증하여 건물부분에서도 중요 에너지 소비원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건물의 팽창 및 노후화로 에너지소비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학은 연구 및 학문분야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중요 일환으로 지역문화를 선도하고 있어 에너지절감 문화 확산을 위하여 지역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요구하고 있으며, 아주대학교의 경우 수원시와의 협약을 통하여 그린캠퍼스 조성사업을 추진하면서 교내 에너지 절약문화 확산에 이바지 하고 있다.
      최근 아주대학교는 건물수요 증대가 에너지 소비량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어 연간 2013년 기준 에너지사용량 6,153toe, 에너지 사용금액 36.6억원 정도 소비하였으며, 최근 가스냉난방 설비의 증가로 가스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단위면적당 에너지밀도는 0.029toe/㎡로 결코 적지 않은 수치이며, 전력부분 : 가스부분의 사용비율은 73:67 정도로 가스부분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여름철의 개별냉방 기기사용으로 피크전력이 급증하고 겨울철에 난방기기로 인한 가스사용량이 급증하는 패턴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목표관리제도 적용에 대비하고 자체 에너지사용량의 증가 억제를 통하여 에너지비용 상승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아주대학교에 적용이 가능한 노후시설개선 및 에너지절약 설비 설치로 LED램프 교체, 강의실 시스템에어컨, 태양광 및 태양열 설비, 노후보일러 교체, EMS 도입, 고효율변압기 설치, 전자경비 연동 제어설비, 흡수식 냉난방시스템 펌프 인버터 기동방식 적용 등등으로 전기에너지 절감량 844 MWh/년(약 4.03%/2013년 대비) 가스 사용량은 65,628 (약 3.9%/2013년 대비)절감하여 총 에너지 절감 250 toe/년, 온실가스배출량 141.6 tc/년 정도 감축 될 것으로 예측되고, 총 사업비는 약 16억원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산 배정의 어려움과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사업이니 만큼 경제성이 우수한 부분부터 연차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표 목차
      • 그림 목차
      • 제1장. 서 론 1
      • 1. 연구 목적 1
      • 논문 요약
      • 표 목차
      • 그림 목차
      • 제1장. 서 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방법 3
      • 제2장. 에너지사용현황 4
      • 1. 국내 부분별 에너지사용 현황 4
      • 2. 국내 대학 에너지사용 현황 13
      • 3. 아주대학교의 에너지사용량 현황 15
      • 제3장. 대학에너지 관련 시책 및 제도 27
      • 1. 건축물 에너지·온실가스 목표관리제도 27
      • 2. 에너지경영시스템 28
      • 3. 에너지사용량 신고제도 30
      • 4. 건축물에너지절약 설계제도 32
      • 5. 에너지진단제도 33
      • 제4장. 에너지절약 방안 36
      • 1. 에너지관련 대내외 직면과제 36
      • 2. 대학 실정에 적합한 에너지절감 방안 38
      • 3. 에너지절감분석 결과 62
      • 제5장. 결론 64
      • 참고 문헌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