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 ― 마음인문학의 토대정립을 위한 하나의 발견적 모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273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실천적 마음학을 지향하는 마음인문학의 정초를 위해서는 마음의 구조와 기능 (구조학 혹은 정학) 그리고 마음의 구조가 내외적 환경과의 관계에서 일으키는 작용을 (동력학) 논할 수 있어야 하고 그리고 이 기반 하에서 마음의 병이나 건강의 양상을 논하면서 궁극적으로는 그에 따른 처치의 방법과 기술들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마음인문학은 기존하는 동서고금의 마음 관련 담론들을 두루 살펴, 해당 자료들을 발굴하고 해석·재구성하는 가운데 마음인문학의 사상적 기본 골격을 구성하고자 하는 계획을 설정했다. 필자가 보기에 마음인문학의 이러한 목적에 기초적인 차원에서 부합할 수 있는 이론적 모델 중 하나가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이라 사료된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의 이론적 골격을 재구성적으로 소개하면서 이를 마음인문학의 정초문제와 연계하는 가운데 비판적으로 평가하여 마음인문학 정립을 위한 발견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논의의 초점은 마음인문학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마음의 구조, 기능, 작용의 문제와의 관련 하에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 중에서 실천부분보다는 이론적 골격에다 두었다. 필자의 판단으로는 아사지올리의 마음모델로부터 마음인문학의 정립에 필요한 마음모델을 최소한에서나마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의 이론에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는 만큼 해당 학습은 앞으로 다른 심리통합이론들과의 관계에서도 좀더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적어도 마음인문학의 이론적 정립의 기본방향이 예시될 수 있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실천적 마음학을 지향하는 마음인문학의 정초를 위해서는 마음의 구조와 기능 (구조학 혹은 정학) 그리고 마음의 구조가 내외적 환경과의 관계에서 일으키는 작용을 (동력학) 논할 수 있어...

      실천적 마음학을 지향하는 마음인문학의 정초를 위해서는 마음의 구조와 기능 (구조학 혹은 정학) 그리고 마음의 구조가 내외적 환경과의 관계에서 일으키는 작용을 (동력학) 논할 수 있어야 하고 그리고 이 기반 하에서 마음의 병이나 건강의 양상을 논하면서 궁극적으로는 그에 따른 처치의 방법과 기술들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마음인문학은 기존하는 동서고금의 마음 관련 담론들을 두루 살펴, 해당 자료들을 발굴하고 해석·재구성하는 가운데 마음인문학의 사상적 기본 골격을 구성하고자 하는 계획을 설정했다. 필자가 보기에 마음인문학의 이러한 목적에 기초적인 차원에서 부합할 수 있는 이론적 모델 중 하나가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이라 사료된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의 이론적 골격을 재구성적으로 소개하면서 이를 마음인문학의 정초문제와 연계하는 가운데 비판적으로 평가하여 마음인문학 정립을 위한 발견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논의의 초점은 마음인문학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마음의 구조, 기능, 작용의 문제와의 관련 하에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 중에서 실천부분보다는 이론적 골격에다 두었다. 필자의 판단으로는 아사지올리의 마음모델로부터 마음인문학의 정립에 필요한 마음모델을 최소한에서나마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의 이론에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는 만큼 해당 학습은 앞으로 다른 심리통합이론들과의 관계에서도 좀더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적어도 마음인문학의 이론적 정립의 기본방향이 예시될 수 있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a scientific foundation of the Mind humanities that study the practical Mind in a practical orientation, it is necessary for them first of all to determine the structure, the function and the way of operation of the mind. While the task itself is already a serious and very important job, thereafter there is another task to diagnose diseases and health of mental function, by being able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mind, which he produced in the framework of internal and external surrounding world conditions. Finally, Mind humanities, trying to resolve the such diseases and to make the mind still healthier, need to develop appropriate methods and techniques that must be used to treat them. Theses are all the sorts of aspects or tasks that must be fulfilled for an establishment of Mind humanities. To achieve these tasks, Mind humanities must do first of all the things like searching, finding, interpreting and reconstructing the already existing major materials of all times dealing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with mind. Finally Mind humanities must can design their own conceptual model of the mind. One example is here. It seems to me that the psychosynthesis of Roberto Assasioli would be a good theory suitable for such a purpose. In this article I will describe his theory of psychosynthesis in its core reconstructively and then evaluate critically in connection with the foundational issue of Mind humanites. The discussion is centered on questions of the structure, the function and the way of operation of the mind, as long as it is an urgent task for Mind humanites first and foremost to answer those questions. In my estimation, Mind humanites can learn a great deal from the mind-model that Assagioli had submitted.

      번역하기

      For a scientific foundation of the Mind humanities that study the practical Mind in a practical orientation, it is necessary for them first of all to determine the structure, the function and the way of operation of the mind. While the task itself is ...

      For a scientific foundation of the Mind humanities that study the practical Mind in a practical orientation, it is necessary for them first of all to determine the structure, the function and the way of operation of the mind. While the task itself is already a serious and very important job, thereafter there is another task to diagnose diseases and health of mental function, by being able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mind, which he produced in the framework of internal and external surrounding world conditions. Finally, Mind humanities, trying to resolve the such diseases and to make the mind still healthier, need to develop appropriate methods and techniques that must be used to treat them. Theses are all the sorts of aspects or tasks that must be fulfilled for an establishment of Mind humanities. To achieve these tasks, Mind humanities must do first of all the things like searching, finding, interpreting and reconstructing the already existing major materials of all times dealing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with mind. Finally Mind humanities must can design their own conceptual model of the mind. One example is here. It seems to me that the psychosynthesis of Roberto Assasioli would be a good theory suitable for such a purpose. In this article I will describe his theory of psychosynthesis in its core reconstructively and then evaluate critically in connection with the foundational issue of Mind humanites. The discussion is centered on questions of the structure, the function and the way of operation of the mind, as long as it is an urgent task for Mind humanites first and foremost to answer those questions. In my estimation, Mind humanites can learn a great deal from the mind-model that Assagioli had submit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머리말
      • 2. 20세기 심리학적 맥락에서의 정신통합
      • 3.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
      • 가. 정신/의식구조 모델
      • 요약문
      • 1. 머리말
      • 2. 20세기 심리학적 맥락에서의 정신통합
      • 3.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
      • 가. 정신/의식구조 모델
      • 나. 자아의 구조
      • 다. 동일화와 탈동일화
      • 라. 자각과 의지
      • 마. 심리기능과 심리법칙
      • 바. 치료 단계 및 기법
      • 4. 결론을 대신하여: 마음인문학에 대한 정신통합의 의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rown, M. Young, "정신통합의 실 제, 펼쳐지는 자기" 하나의학사 2007

      2 Scheler, Max, "우주에서 인간의 지위" 아카 넷 2001

      3 Wilber, K., "무경계, 나는 누구인가에 관한 동서고금의 통합적 접근" 정신세계사 2012

      4 마음인문학연구소, "마음인문학 ― 인류정신문명의 새로운 희망" 인문한국지원사업 지원신청서 아젠다 2010

      5 조옥경, "관찰하는 자기에 대한 고찰 ― 심리학, 요가, 의식연구 접점의 모색" 한국요가학회 1 : 2009

      6 Ferrucci, P., "What we may be: Techniques for psychology and personal growth through Psychosynthesis" G.P. Putnam's Sons 1982

      7 Maslow, A.,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D. Van Nostrand Company, Inc. 1962

      8 Firman, J, "The Primal Wound: A Transpersonal View of Trauma, Addiction, and Growt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9 Maslow, A.,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Arkana 1993

      10 Washburn, Michael, "The Ego and the Dynamic Ground: A Transpersonal Theory of Human Development" SUNY Press 1988

      1 Brown, M. Young, "정신통합의 실 제, 펼쳐지는 자기" 하나의학사 2007

      2 Scheler, Max, "우주에서 인간의 지위" 아카 넷 2001

      3 Wilber, K., "무경계, 나는 누구인가에 관한 동서고금의 통합적 접근" 정신세계사 2012

      4 마음인문학연구소, "마음인문학 ― 인류정신문명의 새로운 희망" 인문한국지원사업 지원신청서 아젠다 2010

      5 조옥경, "관찰하는 자기에 대한 고찰 ― 심리학, 요가, 의식연구 접점의 모색" 한국요가학회 1 : 2009

      6 Ferrucci, P., "What we may be: Techniques for psychology and personal growth through Psychosynthesis" G.P. Putnam's Sons 1982

      7 Maslow, A.,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D. Van Nostrand Company, Inc. 1962

      8 Firman, J, "The Primal Wound: A Transpersonal View of Trauma, Addiction, and Growt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9 Maslow, A.,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Arkana 1993

      10 Washburn, Michael, "The Ego and the Dynamic Ground: A Transpersonal Theory of Human Development" SUNY Press 1988

      11 Jung, C.G.,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Bollingen Series XX"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4

      12 Assagioli, R., "The Act of Will" Penguin Books 1973

      13 Vargiu, J., "Subpersonalities, In Synthesis, Vol. 1: The realization of the Self" 51-90, 1974

      14 Sutich, A., "Some considerations regarding transpersonal psychology" 1 (1): 11-20, 1969

      15 Firman, J, A., "Psychosynthesis: A psychology of the spirit" SUNY Press 2002

      16 Assagioli, R., "Psychosynthesis: A Manual of Principles and Techniques" Hobbs, Dorman & Company 1965

      17 Crampton, M., "Psychosynthesis, In Handbook of innovative psychotherapies" J. Wiley and Sons 709-723, 1981

      18 Whitmore, D., "Psychosynthesis in education: A guide to the joy of learning" Destiny Books 1986

      19 Assagioli, R., "Psychosynthesis" Synthesis Center Press 2000

      20 Wilson, Colin, "New Pathways in Psychology: Maslow and the Post–Freudian Revolution" Taplinger 1972

      21 Frankl, Viktor, "Man's Search for Meaning" Washington Square Press 1963

      22 Kowalski, R., "Discovering your self" Routledge 1993

      23 Forman, Mark D., "A guide to integral psychtherapy, complexity, integration, and spirituality in practi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0

      24 Palmer, H., "A Contextual Introduction to Psychosynthesis" 1 : 29-33,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3 1.0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