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차년도는 국민지적자본의 측정지표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기존의 지적자본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이론들을 검토함과 동시에,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지적자본의 역할과 경제성장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2654
200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1차년도는 국민지적자본의 측정지표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기존의 지적자본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이론들을 검토함과 동시에,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지적자본의 역할과 경제성장과...
♠ 1차년도는 국민지적자본의 측정지표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기존의 지적자본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이론들을 검토함과 동시에,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지적자본의 역할과 경제성장과의 관계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국민지적자본에 대한 명확한 개념설정과 측정의 문제를 분석, 향후 수행될 지역 및 국가별 국민지적자본의 가치평가 모형개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제I편 지적자본의 연구 동향 분석
제1장 지적자본의 다양한 개념(지적자본의 정의와 구조) 분석
제2장 미시(기업)적 측면에서의 지적자본 평가모형 분석
제3장 거시(국민경제)적 측면에서의 지적자본 평가모형 분석
제4장 지적자본에 대한 국내연구 분석
제II편 지식기반경제의 척도로서 국민지적자본 연구
제1장 지식기반경제의 개념과 특징 연구
제2장 지식기반산업과 지적자본 연구
제3장 지적자본과 국민계정 개선방안 연구
제III편 한국의 국민지적자본과 경제성장과의 관계 연구
제1장 선행연구 검토
제2장 이론적 배경: 생산성 성장에서 국민지적자본의 역할 연구
제3장 분석모형 연구
제4장 실증적 분석: 국민지적자본이 경제성장 및 생산성에 미친 영향 분석
제IV편 국민지적자본의 측정과 평가의 주요 이슈 연구
제1장 지적자본의 이론적 문제
제2장 측정 방법론상의 문제 연구
제3장 측정지표 선택상의 문제 연구
♠ 2차년도는 1차년도 연구를 토대로, 한국의 지역별 특성에 따른 국민지적자본의 측정지표를 개발, 국가적 수준의 숨겨진 지적자본의 가치를 각 지역별로 평가하고자함에 있다. 나아가, 측정된 지표와 함께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을 측정하여 이를 각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제I편 지적자본의 측정과 국민지적자본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제1장 주요 모형들의 구조와 측정체계에 관한 연구 분석
제2장 지적자본의 주요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분석
제3장 국민지적자본의 측정사례 분석
제II편 지역별 국민지적자본의 가치평가와 진로설정 연구
제1장 국민지적자본의 개념 및 진로 설정 연구
제2장 국민지적자본의 가치체계 연구
제3장 연구의 설계
제III편 자본별 국민지적자본의 측정 연구
제1장 국민재무자본의 측정
제2장 국민인적자본(National Human Capital)의 측정
제3장 국민시장자본(National Market Capital)의 측정
제4장 국민과정자본(National Process Capital)의 측정
제5장 국민혁신 및 개발자본( National Renewal and Development Capital)의 측정
제IV편 지역별 국민지적자본지수(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 측정 비교 연구
제1장 지수측정 방법
제2장 지역별 및 국민지적자본별 지수측정
제3장 지역별 국민지적자본지수 비교 분석
제4장 국민지적자본모형의 검정
제V편 지역별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 측정
제1장 분석 방법론 검토
제2장 지역별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 측정
제3장 측정결과 분석
♠ 3차년도는 2차 년도에서 개발한 지역별 특성에 따른 국민지적자본의 측정지표를 국제적 비교분석이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시켜, 국가별 특성에 따른 국민지적자본 측정지표를 개발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미국, 일본, 중국에 대한 국민지적자본의 가치를 평가함과 동시에 각 국가별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을 측정, 이를 국제간 상호 비교ㆍ분석하고자 한다.
제I편 국가별 지식기반경제 현황과 특징 분석
제1장 지식기반산업의 분류와 중요성 분석
제2장 지식기반산업의 일반 동향 분석
제3장 국가별 지식기반산업의 현황 분석
제II편 국가혁신체계와 국민지적자본 측정지표 개발
제1장 국가혁신체계와 국민지적자본과의 관계 연구
제2장 국민지적자본의 개념과 진로 및 가치체계 연구
제3장 연구의 설계
제III편 자본별 국민지적자본의 측정 연구
제1장 국민재무자본의 측정
제2장 국민인적자본(National Human Capital)의 측정
제3장 국민시장자본(National Market Capital)의 측정
제4장 국민과정자본(National Process Capital)의 측정
제5장 국민혁신 및 개발자본( National Renewal and Development Capital)의 측정
제IV편 국가별 국민지적자본지수(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 측정 비교 연구
제1장 지수 측정 방법
제2장 국가별 및 국민지적자본별 지수 측정
제3장 국가별 국민지적자본지수 비교분석
제4장 국민지적자본모형의 검정
제V편 국가별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 측정
제1장 분석 방법론 검토
제2장 국가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