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대처 향상 전략: 난민과 이주민 모델의 적용을 통하여 =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Psycosocial Crises of North Korean Refuge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fugee and Immigrant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75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Psycosocial Crises of North Korean Refuge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fuge and Immigrant ModelTae-Wan Eom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dentify the strategies that would enable North Korean refugees, who are currently living in South Korea,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their psy-chosocial crises. Curently in South Korea, there are not enough empirical and evidential data on the psychosocial crises and their management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Thus we looked into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where more samples of refugees and imigrants could be found.We found that the crises that refugees and immigrants could face in their migration or resettlement can be classified into two major types. One was the psycho-mental crisis, i.e. psychological and mental crisis, and the other was the social crisis, i.e. family and accultur-ation crisis. We looked into the Multi-Level Model (MLM), which is a model of the crisis management of refugees and immigrants, and the Transcultural Psychosocial Organization (TPO) program to deduce the significanc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North Korean refugees.
      번역하기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Psycosocial Crises of North Korean Refuge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fuge and Immigrant ModelTae-Wan Eom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dentify the strategies that would enable North Korean refugees,...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Psycosocial Crises of North Korean Refuge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fuge and Immigrant ModelTae-Wan Eom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dentify the strategies that would enable North Korean refugees, who are currently living in South Korea,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their psy-chosocial crises. Curently in South Korea, there are not enough empirical and evidential data on the psychosocial crises and their management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Thus we looked into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where more samples of refugees and imigrants could be found.We found that the crises that refugees and immigrants could face in their migration or resettlement can be classified into two major types. One was the psycho-mental crisis, i.e. psychological and mental crisis, and the other was the social crisis, i.e. family and accultur-ation crisis. We looked into the Multi-Level Model (MLM), which is a model of the crisis management of refugees and immigrants, and the Transcultural Psychosocial Organization (TPO) program to deduce the significanc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North Korean refuge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대처를 향상하는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현시점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와 대처에 관한 경험적, 실증적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자료가 축적되어 있는 외국의 난민과 이주민 사례를 적용하였다. 난민과 이주민들이 이주 및 재정착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위기는 심리내적 차원(심리적 위기와 정신적 위기)과 사회적 차원(가족 위기, 문화적응 위기)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난민과 이주민의 위기대처 모델인 MLM(Multi-Level Model)과 TPO (Transcultural Psychosocial Organization) 프로그램을 주로 분석하여 북한이탈주민에 적용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대처 전략을 2궤도 모델인 포괄적 접근과 지역사회중심 접근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모델 접근을 위한 전제조건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정치적 배경, 개인력, 이주 이전의 외상, 과거·현재의 스트레스, 현 적응력, 문화적응, 민족 정체감, 가치관, 남한주민의 낙인과 차별 등을 이해하여야 함을 제기하였다. 포괄적 접근은 심리사회적 위기교육 과정, 생존개입 과정, 임파워먼트(empowerment) 과정, 통합적 개입 과정의 4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포괄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지역사회중심 접근은 6단계의 수직적 개입 전략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구축하였다(1단계: 환경조성, 2단계: 커뮤니티 임파워먼트 활동, 3단계: 원조자 훈련 및 능력 구축, 4단계: 지지자 네트워크 구축, 5단계: 자조그룹 형성, 6단계: 심리사회적 치료)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대처를 향상하는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현시점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와 대처에 관한 경험적, 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대처를 향상하는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현시점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와 대처에 관한 경험적, 실증적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자료가 축적되어 있는 외국의 난민과 이주민 사례를 적용하였다. 난민과 이주민들이 이주 및 재정착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위기는 심리내적 차원(심리적 위기와 정신적 위기)과 사회적 차원(가족 위기, 문화적응 위기)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난민과 이주민의 위기대처 모델인 MLM(Multi-Level Model)과 TPO (Transcultural Psychosocial Organization) 프로그램을 주로 분석하여 북한이탈주민에 적용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대처 전략을 2궤도 모델인 포괄적 접근과 지역사회중심 접근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모델 접근을 위한 전제조건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정치적 배경, 개인력, 이주 이전의 외상, 과거·현재의 스트레스, 현 적응력, 문화적응, 민족 정체감, 가치관, 남한주민의 낙인과 차별 등을 이해하여야 함을 제기하였다. 포괄적 접근은 심리사회적 위기교육 과정, 생존개입 과정, 임파워먼트(empowerment) 과정, 통합적 개입 과정의 4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포괄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지역사회중심 접근은 6단계의 수직적 개입 전략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구축하였다(1단계: 환경조성, 2단계: 커뮤니티 임파워먼트 활동, 3단계: 원조자 훈련 및 능력 구축, 4단계: 지지자 네트워크 구축, 5단계: 자조그룹 형성, 6단계: 심리사회적 치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33) : 1999

      2 "탈북자의 개인차 요인이 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2002

      3 "탈북여성현황 및 지원방안" (7) : 2003

      4 "탈북 이주민들의 환상과 부적응: 남한사회의 인식혼란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10집 (10집): 2004

      5 "임파워먼트와 사회복지실천" 서울: 나남출판 2007

      6 "위기 개입의 이해" 부산: 서림출판사 2003

      7 "웰컴투 코리아; 북조선 사람들의 남한살이"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6

      8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서울: 학지사 2000

      9 "새터민의 재적응 토대마련을 위한 정신보건서비스 전달체계 모색" 15 (15): 2006

      10 "새터민 문화갈등과 문화적 통합방안" 서울: 한국여성개발원·통일연구원 2006

      1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33) : 1999

      2 "탈북자의 개인차 요인이 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2002

      3 "탈북여성현황 및 지원방안" (7) : 2003

      4 "탈북 이주민들의 환상과 부적응: 남한사회의 인식혼란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10집 (10집): 2004

      5 "임파워먼트와 사회복지실천" 서울: 나남출판 2007

      6 "위기 개입의 이해" 부산: 서림출판사 2003

      7 "웰컴투 코리아; 북조선 사람들의 남한살이"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6

      8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서울: 학지사 2000

      9 "새터민의 재적응 토대마련을 위한 정신보건서비스 전달체계 모색" 15 (15): 2006

      10 "새터민 문화갈등과 문화적 통합방안" 서울: 한국여성개발원·통일연구원 2006

      11 "사례관리의 이론과 실천" 서울: 창지사 2007

      12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0

      13 "북한이탈주민의 지방정착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동원전략: 부산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55) : 2003

      14 "북한이탈주민의 정신보건에 관한 연구" 2006

      1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증 예측요인: 3년 추적연구" 17 (17): 2005

      16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18) : 2004

      17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프로그램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005

      18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교육 표준교재 개발" 서울: 통일연구원 2006

      19 "남북한 통합과 통일인프라 확장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2005

      20 "남북주민 통합을 위한 정신건강전략: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 저소득주민, 일반주민의 비교를 통하여" 14 (14): 2005

      21 "The influence of pre-emigration and postemigration stressors on mental health: A study of southeast asian refuges" 21 (21): 1997.3

      22 "Strengthening intergenerational/intercultural ties in migrant families: A new intervention for parents" 27 : 1999.1

      23 "Revisiting the California Southeast Asian mental health needs assessment date: An examination of refuge ethnic an gender diferences" 80 : 2002

      24 "Refuge and Immigrant Health: A Handbok for Health Professional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 2004

      25 "Primary prevention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refugees."

      26 "Personal los and grief as a result of immigration." 1981.

      27 "People in Crisis" San Francisco: Jossey-Bas Publishers 1995

      28 "Mental health training for Southeast Asian refuge resettlement workers." 1987.

      29 "Mental health status refuges: An integrative review of current research" 21 : 2000.6

      30 "Mental Health of Immigrants and Refuges" 41 (41): 2005.10

      31 "In J. Westermeyer. C. L. Williams. and A. N. Nguyen. eds. Mental health services for refugees. Washington. DC" 196-, 1991.

      32 "Immigrants and Social Work: Thinking Beyond the Borders of the United States" New York: Haworth Pres. 2004

      33 "Crossing New Bridges: The Proces of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 of Russian Immigrants in Israel" 59 : 1996.5

      34 "Cross-culture family therapy with Southeast Asian refugees. Journal of Strategic and Systemic Therapies. Vol. 8" 1989.

      35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ith refuges" Thousand Oaks. CA: Sage 2002

      36 "Counseling Refugees: A Psychosocial Approach to Innovative Multicultural Interventions" Connecticut: Greenwood Pres. 2003

      37 "Beyond Asylum: Implications for Nursing and Health Care Delivery for Afghan Refuges in Australia" 17 (17): 2006.1

      38 "Best Practices for Social Work with Refuges and Immigrants" Columbia: Columbia University Pres. 2002

      39 "Age. acculturation. cultura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symptoms of Chinese. Korean. and Japanese immigrant youths" 9 (9): 2003.1

      40 "Aculturative Stress among American Refuges: Gender and Racial Diferences" 31 :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통일정책연구
      외국어명 : Unification Policy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8 1.82 2.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