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위학교의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디자인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단위학교의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 디자인”이라는 장기 연구주제의 1단계 연구과제인 ‘학교조직 진단체제 구축’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1차년도에는 학교조직진단 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조직진단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2차년도에는 학교조직 진단 실행과 평가를 통한 진단체제 구축의 일환으로서 단위학교에 적용 가능한 조직진단의 지표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진단 관련 이론의 검토 →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실제에 적용되는 일반조직 및 학교조직진단방법 및 도구 분석 → 학교조직진단 도구 개발 및 진단방법 구안 → 시범학교 선정을 통한 조직진단 실시(진단도구 적용 및 진단체제 구축) → 진단도구 및 진단체제 보완’의 과정으로 2년간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구 1차년도에는 학교조직진단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일반조직이론을 검토하여 학교조직진단 접근방법을 비교 분석하고 진단모형을 탐색하며, 우수학교에 대한 논의를 함으로써 연구의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현재 교육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조직진단의 실태를 분석하여 대부분의 진단의 형태가 주로 학교의 평가체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고, ‘주요국의 학교평가 체제 변화연구’를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의 학교조직진단 사례 및 학교평가 체제 사례를 함께 분석하여 진단 지표 개발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조직효과성 평가요인에 관한 인과관계 연구’에서는 일반조직진단의 접근방법(말콤볼드리지 국가품질상: MBNQA)을 적용하여 학교조직진단 지표개발에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단위학교조직진단 모형과 지표개발 연구’는 학교조직진단 지표를 개발하는 작업으로 효과적인 학교, 좋은 학교, 우수학교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통해 파악된 학교특성을 분석하고 이와 함께 앞서 진행된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였다. 이는 3차례에 걸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지표체계에 적용되는 원칙을 준거로 학교조직진단 모형을 제시하여 10개의 진단영역을 수렴하고 하위지표를 도출하여, 1차 학교조직 진단 도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학교조직진단 지표의 타당성 등을 검증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 2차년도에는 1차로 개발된 조직진단 도구를 보완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문가 협의회 및 델파이조사, 현장 설문조사를 통하여 진단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6개 진단영역과 28개 하위요소를 확정하여 2차 학교조직 진단 도구를 개발하였다. 진단 도구의 지표는 진단요소별 2-4문항, 영역별 10문항으로 개발하고, 이는 외부전문가로부터 타당성을 검토 받은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단위학교의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 디자인”이라는 장기 연구주제의 1단계 연구과제인 ‘학교조직 진단체제 구축’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1차...

      본 연구는 “단위학교의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 디자인”이라는 장기 연구주제의 1단계 연구과제인 ‘학교조직 진단체제 구축’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1차년도에는 학교조직진단 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조직진단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2차년도에는 학교조직 진단 실행과 평가를 통한 진단체제 구축의 일환으로서 단위학교에 적용 가능한 조직진단의 지표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진단 관련 이론의 검토 →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실제에 적용되는 일반조직 및 학교조직진단방법 및 도구 분석 → 학교조직진단 도구 개발 및 진단방법 구안 → 시범학교 선정을 통한 조직진단 실시(진단도구 적용 및 진단체제 구축) → 진단도구 및 진단체제 보완’의 과정으로 2년간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구 1차년도에는 학교조직진단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일반조직이론을 검토하여 학교조직진단 접근방법을 비교 분석하고 진단모형을 탐색하며, 우수학교에 대한 논의를 함으로써 연구의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현재 교육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조직진단의 실태를 분석하여 대부분의 진단의 형태가 주로 학교의 평가체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고, ‘주요국의 학교평가 체제 변화연구’를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의 학교조직진단 사례 및 학교평가 체제 사례를 함께 분석하여 진단 지표 개발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조직효과성 평가요인에 관한 인과관계 연구’에서는 일반조직진단의 접근방법(말콤볼드리지 국가품질상: MBNQA)을 적용하여 학교조직진단 지표개발에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단위학교조직진단 모형과 지표개발 연구’는 학교조직진단 지표를 개발하는 작업으로 효과적인 학교, 좋은 학교, 우수학교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통해 파악된 학교특성을 분석하고 이와 함께 앞서 진행된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였다. 이는 3차례에 걸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지표체계에 적용되는 원칙을 준거로 학교조직진단 모형을 제시하여 10개의 진단영역을 수렴하고 하위지표를 도출하여, 1차 학교조직 진단 도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학교조직진단 지표의 타당성 등을 검증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 2차년도에는 1차로 개발된 조직진단 도구를 보완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문가 협의회 및 델파이조사, 현장 설문조사를 통하여 진단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6개 진단영역과 28개 하위요소를 확정하여 2차 학교조직 진단 도구를 개발하였다. 진단 도구의 지표는 진단요소별 2-4문항, 영역별 10문항으로 개발하고, 이는 외부전문가로부터 타당성을 검토 받은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ong-term agenda of the research is "school design for strengthening of educational capacity in schools." The first step research agenda is 'system building of school organizational diagnosis'. To achieve the research agenda, theoretical foundation for organizational diagnosis has been set up in the first-year, and the 'diagnosis indicators for school organization' has been developed' in the second-year. The process of the research was as follows. "review of the prior research related to organizational diagnosis → analysis of diagnostic methods and tools in general and school organization → building of diagnostic methods and development of diagnosis tools on school organization → to carry out organizational diagnosis through selected pilot schools(the application of diagnostic tools and system building of diagnosis) → to finalized the diagnostic indicators".
      Specifically, it is carried out as follows:
      In the first-year,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school organization diagnostic was reviewed. It did comparative analysis of school organization diagnostic approach and explored diagnostic model, and discussed for the school of excellence. The results were reported through the research articles such as ‘A Study on Change in School Evaluation System in Korea, the United
      번역하기

      The long-term agenda of the research is "school design for strengthening of educational capacity in schools." The first step research agenda is 'system building of school organizational diagnosis'. To achieve the research agenda, theoretical founda...

      The long-term agenda of the research is "school design for strengthening of educational capacity in schools." The first step research agenda is 'system building of school organizational diagnosis'. To achieve the research agenda, theoretical foundation for organizational diagnosis has been set up in the first-year, and the 'diagnosis indicators for school organization' has been developed' in the second-year. The process of the research was as follows. "review of the prior research related to organizational diagnosis → analysis of diagnostic methods and tools in general and school organization → building of diagnostic methods and development of diagnosis tools on school organization → to carry out organizational diagnosis through selected pilot schools(the application of diagnostic tools and system building of diagnosis) → to finalized the diagnostic indicators".
      Specifically, it is carried out as follows:
      In the first-year,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school organization diagnostic was reviewed. It did comparative analysis of school organization diagnostic approach and explored diagnostic model, and discussed for the school of excellence. The results were reported through the research articles such as ‘A Study on Change in School Evaluation System in Korea, the Unit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