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문학에 나타난 近代的 主體 形成過程은 戰爭 및 分斷體驗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本稿는 分斷文學의 한 部類를 이루는 成長小說 형식이 새로운 주체를 구성하고자 하는 近代的 企劃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27375
2007
-
810.5
KCI등재
학술저널
289-310(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문학에 나타난 近代的 主體 形成過程은 戰爭 및 分斷體驗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本稿는 分斷文學의 한 部類를 이루는 成長小說 형식이 새로운 주체를 구성하고자 하는 近代的 企劃의 ...
우리 문학에 나타난 近代的 主體 形成過程은 戰爭 및 分斷體驗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本稿는 分斷文學의 한 部類를 이루는 成長小說 형식이 새로운 주체를 구성하고자 하는 近代的 企劃의 所産이라 보고 男性/女性 話者의 성장소설을 분석하였다. 남성화자의 성장소설이 아버지를 否定하고 스스로를 歷史的 主體로 세워가는 과정으로 나타난다면, 여성화자의 성장소설은 傳統的 家父長制의 흔들림 속에서 근대적 섹슈얼리티의 경험, 性的 主體로서의 自己 定立,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한 自我 正體性 찾기로 그려졌다. 裸木을 중심으로 살펴본 여성의 성장소설은 否定하지 못한 어머니가 자기 존재의 基盤이 되듯, 전쟁체험의 記憶과 異質的인 감정들을 끌어안음으로써 非同一的인 主體가 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근대의 同一化 논리에서 비껴선 여성의 주체 구성 서사는 男性中心的 再現體系를 흔들고 근대적 體制에 틈을 낼 수 있는 可能性을 보여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rrative of Subjectivity in the Literature of Country Division -Compare and Analyze Male/Female Formation Novel- Cha, Seong-yeon The process of modern subjectivity described in Korean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with war and country divi...
Narrative of Subjectivity in the Literature of Country Division
-Compare and Analyze Male/Female Formation Novel-
Cha, Seong-yeon
The process of modern subjectivity described in Korean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with war and country division experience.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male/female formation novel based on assump- tion that a format of coming of age story, one category of the divided country literature, is a product of modern age atmosphere where new subjectivity established.
The male formation novel depicts the process of denying a ‘father' and developing himself to be the one creating history, while female formation novel describes female protagonist undergoing modern age sexuality when traditional patriarchy is challenged, establishing herself to have sexual identity and finding self-identity through relationship with a mother. The study on NaMok(Bare Tree) reveals that female formation novel describes the process where heroin gradually has non-self-identical subject by embracing a memory of war experience and heterogeneous emotions, as a mother who can't be denied is a very basis for self-existence. The narrative of female subjectivity, which is away from identification philosophy of modern time, challenges male- centered representation system and shows possibility of change in modern system.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전쟁과 주체성의 서사 연구" 2002
2 "중국인 거리" 문학과지성사.
3 "전쟁소설에 나타난 식민주체의 이중성-박완서의 나목을 중심으로" 10 : 2003.12
4 "여성 성장소설과 아버지의 부재" 한국여성문학학회 (10) : 183-214, 2003.12
5 "어둠의 혼 어둠의 혼" 문이당 1997
6 "애도와 우울증 여성문화이론연구회 정신분석세미나팀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여이연 2003
7 "시적 혁명과 경계선의 철학,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페미니즘 어제와 오늘" 민음사 21-230, 2000
8 "성장소설과 발전 이데올로기" 상허학회 12 : 131-, 2004.2
9 "빌둥의 상상력 한국 교양소설의 계보" 통 (통): 434-, 2000.여름
10 "나목 나목도둑맞은 가난" 6 : 1981
1 "한국전쟁과 주체성의 서사 연구" 2002
2 "중국인 거리" 문학과지성사.
3 "전쟁소설에 나타난 식민주체의 이중성-박완서의 나목을 중심으로" 10 : 2003.12
4 "여성 성장소설과 아버지의 부재" 한국여성문학학회 (10) : 183-214, 2003.12
5 "어둠의 혼 어둠의 혼" 문이당 1997
6 "애도와 우울증 여성문화이론연구회 정신분석세미나팀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여이연 2003
7 "시적 혁명과 경계선의 철학,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페미니즘 어제와 오늘" 민음사 21-230, 2000
8 "성장소설과 발전 이데올로기" 상허학회 12 : 131-, 2004.2
9 "빌둥의 상상력 한국 교양소설의 계보" 통 (통): 434-, 2000.여름
10 "나목 나목도둑맞은 가난" 6 : 1981
11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재현의 시학과 협상의 정치학 사이에서"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13 : 29-104, 2003.12
近代 女性文學의 형성 원리 연구-정전의 形成과 ‘女性性’의 制度化 過程을 중심으로-
金剛山 紀行詩歌의 山水 형상화 양상-栗谷의 「遊楓嶽」과 松江의 「關東別曲」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9-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942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