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뇌로 가토를 면역하여 가토항-인쇄혈청을 만들어 사람의 흉선세포에 대한 HBAθ 항혈청의 세포독성을 검사하였든 바 고도의 세포독성이 있었다. HBAθ 항혈청의 마우스 흉선세포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689402
1979
Korean
510.000
학술저널
25-3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람의 뇌로 가토를 면역하여 가토항-인쇄혈청을 만들어 사람의 흉선세포에 대한 HBAθ 항혈청의 세포독성을 검사하였든 바 고도의 세포독성이 있었다. HBAθ 항혈청의 마우스 흉선세포에 대�...
사람의 뇌로 가토를 면역하여 가토항-인쇄혈청을 만들어 사람의 흉선세포에 대한 HBAθ 항혈청의 세포독성을 검사하였든 바 고도의 세포독성이 있었다.
HBAθ 항혈청의 마우스 흉선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마우스의 간분말과 골수에 의해 흡수되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사람의 흉선세포 또는 마우스의 흉선세포에 대한 HBAθ 항혈청의 세포독성은 사람의 뇌, 흉선세포, 마우스의 뇌, 또는 흉선세포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었다. 이와 같은 본 실험결과는 사람 뇌의 항원결정기가 사람 흉선세포의 항원과 동일하거나 대단히 유사하다는 근거를 제시한 것이며 도한 인뇌의 항원은 마우스흉선세포와도 교우반응함을 시사한다.
HBAθ 항혈청을 사용하여 사람의 흉선세포, 말소혈액림파구 및 충양돌기에 있는 인뇌관련항원(HBAθ )의 분포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흉선세포의 95%, 말소혈청림파구의 66%, 그리고 충양돌기세포의 22%가 HBAθ 를 가지고 있다.
사람의 말소혈청액임파의 자연로젤(E-rosette) 형성과 HBAθ 항혈청의 독성을 비교 실험하였다. 그 결과 E-rosette 형성과 세포독성은 관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실험결과는 HBAθ 항혈청의 세포독성을 사용하여 사람의 말소혈청액중의 T림파구를 검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람의 충양혈책림파구, 마우스, 가토의 임파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대단히 낮았다.
免疫血淸이 Cyclophosphamide로 前處置된 마우스의 免疫反應에 미치는 影響
家兎 肝의 Adenosine Diphosphate Ribose Pyrophosphohydrolase의 性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