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광순, "한국가곡사" 한국음악학회 7 : 15-54, 1989
2 오문석, "한국 근대가곡의 성립과 그 성격" 한국문학연구학회 (46) : 115-143, 2012
3 고형진, "중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시작품의 적절성에 대하여" 고려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12-, 1988
4 고형진, "조지훈의「완화삼」과 박목월의「나그네」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2) : 133-160, 2013
5 이홍경, "시와 음악의 이중주 - 예술가곡에 나타난 문학과 음악의 상호매체성" 한국독일어문학회 18 (18): 85-108, 2010
6 송화, "박목월 서정시의 김연준 예술가곡화 연구-문화융합의 원리를 중심으로-" 음악연구소 27 : 89-117, 2012
7 한상우, "민족혼 드높인 음악의 선각자-채동선의 음악세계" (98) : 1995
8 김연준, "김연준 가곡 330곡 선집" 한양대출판부 1996
9 김학용, "괴테 시가 독일예술가곡(Lied)형성에 미친 영향 연구 - 슈베르트의 가곡을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학회 (51) : 373-402, 2015
10 김미영, "가곡(Lied)에서 예술가곡(Kunstlied)으로 낭만음악사" 낭만음악사 33 : 125-144, 1996
1 김광순, "한국가곡사" 한국음악학회 7 : 15-54, 1989
2 오문석, "한국 근대가곡의 성립과 그 성격" 한국문학연구학회 (46) : 115-143, 2012
3 고형진, "중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시작품의 적절성에 대하여" 고려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12-, 1988
4 고형진, "조지훈의「완화삼」과 박목월의「나그네」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2) : 133-160, 2013
5 이홍경, "시와 음악의 이중주 - 예술가곡에 나타난 문학과 음악의 상호매체성" 한국독일어문학회 18 (18): 85-108, 2010
6 송화, "박목월 서정시의 김연준 예술가곡화 연구-문화융합의 원리를 중심으로-" 음악연구소 27 : 89-117, 2012
7 한상우, "민족혼 드높인 음악의 선각자-채동선의 음악세계" (98) : 1995
8 김연준, "김연준 가곡 330곡 선집" 한양대출판부 1996
9 김학용, "괴테 시가 독일예술가곡(Lied)형성에 미친 영향 연구 - 슈베르트의 가곡을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학회 (51) : 373-402, 2015
10 김미영, "가곡(Lied)에서 예술가곡(Kunstlied)으로 낭만음악사" 낭만음악사 33 : 125-144, 1996
11 유경종, "“나그네” 의 언어 기호론적 분석과 의미" 한국언어문화학회 16 : 131-145, 1998
12 "http://edu.kedi.re.kr/History/EduZine/EzArticleViw.php?Ac_Num0=3580&Ac_Code=D0020301"
13 김용환, "'한국 최초의 예술가곡’에 관한 소고" 20 : 253-287,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