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2주간의 태권도 품새 수련이 남자청소년의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과 식이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12 weeks Taekwondo Poomsa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fitness and dietary intake in male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159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태권도 품새 훈련이 남자 청소년의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과 식이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는 13-14세 남자 중학교 청소년 19명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태권도 품새 훈련이 남자 청소년의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과 식이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는 13-14세 남자 중학교 청소년 19명이었다(훈련군 12명, 통제군 7명). 12주 품새 훈련 전 후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였고, RUS점수와 뼈 나이는 TW3방법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신체구성은 DX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건강관련 체력을 평가하였다. 식이섭취량은 3-day 회상법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신장과 체중은 두 그룹 모두에서 태권도 훈련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훈련군의 뼈 나이(14.9±0.62세)는 실제나이(13.9±0.46세)와 비교하여 매우 조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구성평가결과 제지방조직(F=9.65, p<0.01)과 제지방조직+뼈무기질량(F=19.59, p<0.05)에서만 그룹간 훈련 전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2주간의 태권도 품새 훈련은 남자청소년들의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과 식이섭취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태권도 품새 훈련이 청소년들의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12주 이상의 장기간 동안 최대심박수 70% 이상의 강도로 훈련을 실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12 weeks Taekwondo Poomsa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fitness and dietary intake in male adolescents. Subjects consisted of 19 male adolescents(training group: 12, control group: 7) a...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12 weeks Taekwondo Poomsa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fitness and dietary intake in male adolescents. Subjects consisted of 19 male adolescents(training group: 12, control group: 7) aged 13-14 years. Body height(BH) and weight(BW) were measured and skeletal maturity was assessed by TW3. Body composition parameters were estimated by DXA. Health related fitness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for BH and BW between pre and post-test in both group. Bone age for TG was significantly advanced compared to chronological age, but CG had similar bone age compared to chronological ag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could be observed for fat-free mass(F=9.65, p<0.01). No difference could be obtained for all health-related fitness paramet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suggested that 12 weeks Taekwondo Poomsae training not influence to the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fitness and dietary intake in male adolescents. Further study should be done on Taekwondo Poomsae training with over 70% HR exercise intensity for adolesc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권장량 제7차 개정" 사단법인 한국영양학회 2000

      2 이재수, "태권도 수련정도가 유소년들의 골밀도 수준과 신체구성 변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 43 (43): 427-438, 2004

      3 송종국, "태권도 수련이 7-10세 어린이의 골격성숙도, 신체구성, 식이섭취와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8 (8): 361-368, 2004

      4 송종국, "청소년들의 골격성숙도, 신체구성과 건강관련 체력의 변화" 한국발육발달학회 19 (19): 261-270, 2011

      5 윤형기, "중학교 럭비 선수들의 골격성숙도와 운동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2 (42): 771-776, 2003

      6 유승희, "성장기 남녀 체조 선수들의 식이섭취, 혈중철분지표, GH와 IGF-I의 비교" 한국운동영양학회 8 (8): 323-330, 2004

      7 김지현, "대학 태권도 선수에서 시합준비기 12주간의 영양소섭취 상태, 영양지식 인지도 및 체중감량 실태 조사" 한국체육학회 43 (43): 473-486, 2004

      8 Maffeis, C., "Waist circumference as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obese girls" 57 (57): 566-572, 2003

      9 Weeks, B. K., "Twice-weekly in-school jumping improves lean mass particularly in adolescent boys" 7 (7): 196-204, 2012

      10 Hands, B.,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activity, motor competence, and health-related fitness in 14-year-old adolescents" 19 : 655-663, 2009

      1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권장량 제7차 개정" 사단법인 한국영양학회 2000

      2 이재수, "태권도 수련정도가 유소년들의 골밀도 수준과 신체구성 변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 43 (43): 427-438, 2004

      3 송종국, "태권도 수련이 7-10세 어린이의 골격성숙도, 신체구성, 식이섭취와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8 (8): 361-368, 2004

      4 송종국, "청소년들의 골격성숙도, 신체구성과 건강관련 체력의 변화" 한국발육발달학회 19 (19): 261-270, 2011

      5 윤형기, "중학교 럭비 선수들의 골격성숙도와 운동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2 (42): 771-776, 2003

      6 유승희, "성장기 남녀 체조 선수들의 식이섭취, 혈중철분지표, GH와 IGF-I의 비교" 한국운동영양학회 8 (8): 323-330, 2004

      7 김지현, "대학 태권도 선수에서 시합준비기 12주간의 영양소섭취 상태, 영양지식 인지도 및 체중감량 실태 조사" 한국체육학회 43 (43): 473-486, 2004

      8 Maffeis, C., "Waist circumference as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obese girls" 57 (57): 566-572, 2003

      9 Weeks, B. K., "Twice-weekly in-school jumping improves lean mass particularly in adolescent boys" 7 (7): 196-204, 2012

      10 Hands, B.,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activity, motor competence, and health-related fitness in 14-year-old adolescents" 19 : 655-663, 2009

      11 Kim, H. B., "Taekwondo Training and fitness in female adolescents" 29 (29): 133-138, 2011

      12 Hawley, N, L., "Secular trends in skeletal maturity in South Africa : 1962-2001" 36 (36): 584-594, 2009

      13 Westerstahl, M., "Secular trends in body dimensions and physical fitness among adolescents in Sweden from 1974 to 1995" 13 (13): 128-137, 2003

      14 Hasselstrom, H.,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during adolescence as predi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young adulthood. Danish Youth and Sports Study. An eight-year follow-up study" 23 : S27-S31, 2002

      15 Ekelund, U., "Physical activity in relation to aerobic fitness and body fat in 14-to 15-years-old boys and girls" 85 : 195-201, 2001

      16 Eisenmann, J. C.,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n overview" 20 : 295-301, 2004

      17 Van Biervliet, S., "Nutritional intake evolution in adolescent sporting boys over the last two decades" 66 (66): 280-282, 2011

      18 Moore, S. A., "Maturity status in male child and adolescent athletes" 2010

      19 Ekblom, O., "Health-related fitness in Swedish adolescents between 1987 and 2001" 93 (93): 681-686, 2004

      20 Sallis, J, F., "Habitual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fourth-grade children" 147 : 890-896, 1993

      21 Malina, R. M., "Growth, maturation, and physical activity" Human Kinetics 2004

      22 Georgopoulos, N. A., "Growth and skeletal maturation in male and female artistic gymnasts" 2004

      23 Völgyi, E., "Effect of long-term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on lean mass and fat mass in girls during adolescence" 110 (110): 1211-1218, 2011

      24 Tanner, J. M., "Assessment of Skeletal Maturity and Prediction of Adult Height(TW3 Method)" WB Saunders 2001

      25 ACSM, "ACSM Position Stand: The recommended quantity and quality of exercise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cardiorespiratory and muscular fitness, and flexibility in healthy adults" 30 : 975-991,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22 0.91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