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경구 oxycodone/naloxone 복합제는 아편유사제에 의해 유발되는 변비를 완화시키거나 예방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Naloxone에 의해 oxycodone의 진통 효과가 상쇄되거나 금단증상이 나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89184
김정훈 (경상대학교) ; 송하나 (경상대학교) ; 이경원 (경상대학교) ; 강정훈 (경상대학교) ; Kim, Jung Hoon ; Song, Haana ; Lee, Gyeong-Won ; Kang, Jung Hun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1-135(5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경구 oxycodone/naloxone 복합제는 아편유사제에 의해 유발되는 변비를 완화시키거나 예방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Naloxone에 의해 oxycodone의 진통 효과가 상쇄되거나 금단증상이 나타...
목적: 경구 oxycodone/naloxone 복합제는 아편유사제에 의해 유발되는 변비를 완화시키거나 예방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Naloxone에 의해 oxycodone의 진통 효과가 상쇄되거나 금단증상이 나타난다는 보고는 거의 없었으나 저자는 실제 임상에서 몇몇 금단증상 예를 경험하였기에 이 환자들에 대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2012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경남 지역 암센터에 방문했던 진행성 암환자들로 oxycodone/naloxone extended-release tablets를 투약 받고 마약 금단증상이 나타났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 경구 oxycodone/naloxone을 처방 받은 1,641명의 암 환자 중, 총 10예(0.6%) 에서 마약 금단 증상을 겪었다. 금단증상 관련 통증 강도의 변화는 oxycodone/naloxone 투여 전 NRS 3에서 평균 NRS 6점으로 증가하였다. 금단증상 중 오한이 10예 중 7예에서 나타나 가장 많이 나타난 증상이었으며 그 외에 식은땀, 전신 쇠약감, 근육경련, 복부경련(각 5예), 불안(4예), 열, 어지럼증, 의식혼란, 하품(각 2예)의 순으로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Oxycodone/naloxone extended-release 복합제에 의한 마약 금단증상은 흔하지는 않아도 적은 수의 환자에서라도 나타날 수 있다. 향후 이에 대한 다기관,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자, "변비에 아편양제제 길항제의 유용성"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4 (4): 113-121, 2001
2 Latasch L, "Treament of morphine-induced constipation with oral naloxone" 46 : 191-194, 1997
3 Leppert W, "Role of oxycodone and oxycodone/naloxone in cancer pain management" 62 : 578-591, 2010
4 Wilcock A, "Prolonged-release naloxone can cause systemic opioid withdrawal" 13 : 1001-, 2009
5 van den Beuken-van Everdingen MH, "Patijn J. Prevalence of pain in patients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the past 40 years" 18 : 1437-1449, 2007
6 Wong A, "Oxycodone/naloxone preparation can cause acute withdrawal symptoms when misused parenterally or taken orally" 53 : 815-818, 2015
7 Bell T, "Opioid-induced constipation negatively impacts pain management, produ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inding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Wellness Survey" 5 : 137-144, 2009
8 Rehni AK, "Opioid withdrawal syndrome:emerging concepts and novel therapeutic targets" 12 : 112-125, 2013
9 Kang JH, "Opioid withdrawal syndrome after treatment with low-dose extended-release oxycodone and naloxone in a gastric cancer patient with portal vein thrombosis" 46 : e15-e17, 2013
10 Liu M, "Low-dose oral naloxone reverses opioid-induced constipation and analgesia" 23 : 48-53, 2002
1 김명자, "변비에 아편양제제 길항제의 유용성"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4 (4): 113-121, 2001
2 Latasch L, "Treament of morphine-induced constipation with oral naloxone" 46 : 191-194, 1997
3 Leppert W, "Role of oxycodone and oxycodone/naloxone in cancer pain management" 62 : 578-591, 2010
4 Wilcock A, "Prolonged-release naloxone can cause systemic opioid withdrawal" 13 : 1001-, 2009
5 van den Beuken-van Everdingen MH, "Patijn J. Prevalence of pain in patients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the past 40 years" 18 : 1437-1449, 2007
6 Wong A, "Oxycodone/naloxone preparation can cause acute withdrawal symptoms when misused parenterally or taken orally" 53 : 815-818, 2015
7 Bell T, "Opioid-induced constipation negatively impacts pain management, produ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inding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Wellness Survey" 5 : 137-144, 2009
8 Rehni AK, "Opioid withdrawal syndrome:emerging concepts and novel therapeutic targets" 12 : 112-125, 2013
9 Kang JH, "Opioid withdrawal syndrome after treatment with low-dose extended-release oxycodone and naloxone in a gastric cancer patient with portal vein thrombosis" 46 : e15-e17, 2013
10 Liu M, "Low-dose oral naloxone reverses opioid-induced constipation and analgesia" 23 : 48-53, 2002
11 Smith K, "Low absolute bioavailability of oral naloxone in healthy subjects" 50 : 360-367, 2012
12 Pond SM, "First-pass elimination. Basic concepts and clinical consequences" 9 : 1-25, 1984
13 Lowenstein O, "Combined prolonged-release oxycodone and naloxone improves bowel function in patients receiving opioids for moderate-to-severe non-malignant chronic pai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10 : 531-543, 2009
14 정규원,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4" 대한암학회 49 (49): 292-305, 2017
15 Ahmedzai SH, "A randomized, double-blind, active-controlled, double-dummy, parallel-group study to determine the safety and efficacy of oxycodone/naloxone prolonged-release tablets in patients with moderate/severe, chronic cancer pain" 26 : 50-60, 2012
임종돌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2개 대학병원의 인턴을 대상으로 예비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3-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9 | 0.98 | 1.534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