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 표기의 특징–‘진주’를 중심으로- = A Study of Orthography of Guhanmal-Hanbando Topographical Maps -Focusing on Jinju(晋州)-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27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Guhanmal-Hanbando Topographical Maps hav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katakana(片仮名). Since katakana shows meaning and sound of Chinese Character, the map has been used as a material that can give a glimpse of the old words of Korean. Topograph...

      A Guhanmal-Hanbando Topographical Maps hav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katakana(片仮名). Since katakana shows meaning and sound of Chinese Character, the map has been used as a material that can give a glimpse of the old words of Korean. Topographical research on topographic maps should begin wit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notations, but there has not been a full-fledged discussion.
      Some of the katakana used in the topographic maps are the notes of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but some are not. In the case of the Jinju plate, most of them wrote regional variations in pronunciation which collected during the investigation.
      Chinese characters and karakanas were used traditionally, but about 35% did not. In some cases, some consonants were incompletely written due to a rather incomplete survey, and some representations of local languages ​​were reflected. There were notations that reflected phonological phenomena, but also those that reflected inter siot(ㅅ).
      In the case of Chinese characters, most of them were written in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but there were some cases where they were not. In the Jin area, '嚴 亭' has been written as '飮 增'. Geographical research using topographic map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discussed in this artic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11년에 발행된 ‘구한말지형도’(이하 ‘지형도’) ‘진주’ 도판을 대상으로 한자로 표기된 지명과 이에 아울러 적은 가타가나(片仮名) 표기에 대한 연구이다. ‘지형도’는 한자...

      이 글은 1911년에 발행된 ‘구한말지형도’(이하 ‘지형도’) ‘진주’ 도판을 대상으로 한자로 표기된 지명과 이에 아울러 적은 가타가나(片仮名) 표기에 대한 연구이다. ‘지형도’는 한자 표기뿐만 아니라 가타가나 표기가 있기 때문에 가타가나가 한자의 훈을 적은 경우 우리말의 옛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해 왔다.
      지금까지는 지형도의 가타가나를 음차와 훈차의 관점에서 논의했지만 이 글에서는 전형적인 음차와 훈자에서 다소 벗어나는 표기를 중심으로 이들 표기의 특징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지형도의 지명 연구는 이들 표기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서 시작해야 하지만 아직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없었다.
      지형도에 사용된 가타가나는 전통적인 한자의 음과 훈을 표기한 것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표기도 있다. 진주 도판의 경우 과반수가 전통적으로 써 오던 한자음과 한자훈을 적었지만 약 35% 정도는 그렇지 않았다. 다소 온전하지 못한 조사 때문에 한자음을 불완전하게 적은 경우도 있었고 지역어가 반영된 표기도 있었다. 음운 현상이 반영된 표기는 물론 사이시옷을 반영한 표기도 있었다.
      한자의 경우 전통적으로 써 오던 한자로 적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러 있었다. /ㅓ/와 /ㅡ/가 진주 지역에서는 변별력이 없는 특성이 반영되어 ‘儉’으로 적어 왔던 것을 ‘金’으로 적은 것도 있었고, ‘嚴亭’이라 적어 왔던 것을 ‘飮增’이라 적는 경우도 있었다. ‘지형도’를 활용한 지명 연구는 이러한 표기의 특성들을 고려여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1-18" 한글학회 1986

      2 한글학회, "한국 땅이름 전자사전" 한글학회 1998

      3 진주문화원, "진주지명사" 진주문화원 1996

      4 김정웅, "진주목지리지" 진주시사편찬위원회 1994

      5 진양문화원, "진양지명사" 진양문화원 1991

      6 서현주, "일제의 지방행정구획 개편의 내용과 성격 -1914년 서울의 町洞개편을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3) : 271-307, 2004

      7 이근열, "영남 지역 지명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지명학회 18 : 245-302, 2012

      8 김순배, "언어적 변천에 따른 지명 유형과 문화정치적 의의"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229-257, 2011

      9 "서울대학교 규장각 지리지 종합정보"

      10 박용식, "땅이름 진주(晉州) 남강(南江)의 통합적 고찰" 한국지명학회 18 : 97-117, 2012

      1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1-18" 한글학회 1986

      2 한글학회, "한국 땅이름 전자사전" 한글학회 1998

      3 진주문화원, "진주지명사" 진주문화원 1996

      4 김정웅, "진주목지리지" 진주시사편찬위원회 1994

      5 진양문화원, "진양지명사" 진양문화원 1991

      6 서현주, "일제의 지방행정구획 개편의 내용과 성격 -1914년 서울의 町洞개편을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3) : 271-307, 2004

      7 이근열, "영남 지역 지명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지명학회 18 : 245-302, 2012

      8 김순배, "언어적 변천에 따른 지명 유형과 문화정치적 의의"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229-257, 2011

      9 "서울대학교 규장각 지리지 종합정보"

      10 박용식, "땅이름 진주(晉州) 남강(南江)의 통합적 고찰" 한국지명학회 18 : 97-117, 2012

      11 귀곡실향민회, "내고향 까꼬실" 귀곡실향민회 2003

      12 남영우,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의 한반도 지도제작" 한국지도학회 7 : 19-29, 2007

      13 光岡雅彦, "韓國古地名の謎" 學生社 1982

      14 남영우, "舊漢末韓半島地形圖: 1:50,000" 成地文化社 1997

      15 "朝鮮地誌資料"

      16 朝鮮總督府, "朝鮮五万分一地形圖. [21-2-1] : 丹城(順天一號)/慶尙南道晉州郡邑誌, 奎10883"

      17 朝鮮總督府, "朝鮮五万分一地形圖. [21-1-14] : 泗川(馬山十四號)"

      18 朝鮮總督府, "朝鮮五万分一地形圖. [21-1-13] : 晋州(馬山十三號)"

      19 오이환, "晋陽誌의 출판" 국학연구원 (155) : 77-109, 2011

      20 성여신, "晋陽誌" 1632

      21 越智唯七,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中央市場 1917

      22 김종혁,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에 수록된 지명의 유형 분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1 (21): 58-75, 2009

      23 미즈노 슌페이,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 지명에 나타난 ㄱ구개음화 현상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18 : 75-95, 2012

      24 미즈노 슌페이, "“구한말 지형도” 지명에 나타나는 ‘뫼(山)’ 등의 분포 양상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19 : 71-89, 2013

      25 미즈노 슌페이,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 지명의 자료적 가치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17 : 105-140, 2011

      26 박용식, "<진양지(晋陽誌)>에 나타나는 진주의 고지명 고찰(1) - 동면(東面)을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20 : 137-159, 2014

      27 박용식, "<진양지(晉陽誌)>에 나타나는 진주의 고지명 고찰(2) - 서면(西面) 중심으로-" 영주어문학회 40 : 37-61, 2018

      28 이근열, "<부산지명총람> 지명 해석 오류 연구" 우리말학회 (21) : 263-292, 2007

      29 양윤정, "19세기 후반 일본 참모본부 장교들이 제작한 비밀지도: 미국 국회도서관 소장 한국 Vault본 지도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1 (21): 32-46,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7 0.6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