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에른스트 트뢸취의 사회학적 방법 = Sociological Method by Ernst Troelts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734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what the sociological method by Germany theologian Ernst Troeltsch (1865-1923) is, who is effected by Germany sociologist Max Weber (1864-1920) and why must it mean, in order to know the correlation between history and world, Christianity and society or theology and sociology. Through studying this article dealing with disputes about modern methodology(through Germany philosophy by neo-Kantians) and with relation between two sciences, theology and sociology, two important cores being acquired through the sociological method are suggested: 1. Methodological Change as a supplement of the historical method―correlation between Ideal as spirit and nature 2. Typology as an instrument of historical study ―building of various sociological communities in Christianity(3 types: church, sect and mystic).
      Through consequenc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oints in this entire article are emphasized as such.
      First, history and world is inter-relational.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s the history of revelation of God. The history of revelation of God is historical, namely only one, original, godly and irrational. And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s the history of spirit. The words of Jesus Christ were surrounded with natural and social conditions and situations.
      Spirit and nature is inter-relational.
      Second, religion and society is inter-relational. Relig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effects the society. Religion itself has independent character. But religion is not as only an independent variable, but is effected strongly. The Christianity as social religion effects the society and is effected by the society.
      Third, theology and sociology is inter-relational. All sciences have interdisciplinary relation. Theology is therefore related with sociological sciences as well as historical sciences. But sociology is able to be a supplement science of theology. Ernst Troeltsch has recognized that Christianity itself is sociological complex phenomena, which were distinguished three types in history of Christianity: Church-type, secttype and mystic-type.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what the sociological method by Germany theologian Ernst Troeltsch (1865-1923) is, who is effected by Germany sociologist Max Weber (1864-1920) and why must it mean, in order to know the correlation betw...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what the sociological method by Germany theologian Ernst Troeltsch (1865-1923) is, who is effected by Germany sociologist Max Weber (1864-1920) and why must it mean, in order to know the correlation between history and world, Christianity and society or theology and sociology. Through studying this article dealing with disputes about modern methodology(through Germany philosophy by neo-Kantians) and with relation between two sciences, theology and sociology, two important cores being acquired through the sociological method are suggested: 1. Methodological Change as a supplement of the historical method―correlation between Ideal as spirit and nature 2. Typology as an instrument of historical study ―building of various sociological communities in Christianity(3 types: church, sect and mystic).
      Through consequenc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oints in this entire article are emphasized as such.
      First, history and world is inter-relational.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s the history of revelation of God. The history of revelation of God is historical, namely only one, original, godly and irrational. And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s the history of spirit. The words of Jesus Christ were surrounded with natural and social conditions and situations.
      Spirit and nature is inter-relational.
      Second, religion and society is inter-relational. Relig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effects the society. Religion itself has independent character. But religion is not as only an independent variable, but is effected strongly. The Christianity as social religion effects the society and is effected by the society.
      Third, theology and sociology is inter-relational. All sciences have interdisciplinary relation. Theology is therefore related with sociological sciences as well as historical sciences. But sociology is able to be a supplement science of theology. Ernst Troeltsch has recognized that Christianity itself is sociological complex phenomena, which were distinguished three types in history of Christianity: Church-type, secttype and mystic-ty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독일 신학자 에른스트 트뢸취(1865-1923)가 처음 도입했던 ‘역사적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게 한 ‘사회학적 방법’이 무엇인지, 어떤 측면에서 방법론적으로 새로운 의미를 주었는지 분석한다. 그리고 기독교 이념의 공동체를 유형론적으로 분석하고, 기독교의 역동적 역사를세 가지 유형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로써 결론에 가서 신학과 사회학 그리고 기독교와 사회의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트뢸취의 사회학적 방법은 오늘날까지 역사와 세계, 기독교와 사회, 신학과 사회학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유의미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기독교인으로서 가져야 할 역사관, 세계관, 사회관, 학제적 사유방식 등에 대해 깊이 성찰할 여러 소재를 제공하고 있다.
      첫째, 역사와 세계는 상호관계적이다. 기독교의 역사는 하나님 계시의 역사이다. 하나님의계시는 역사적이다. 유일회적이고, 원천적이고, 비합리적인 신적 현현이다. 기독교 역사는 정신의 역사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은 당시 팔레스타인의 사회적, 자연적 정황과 결부되어있다. 역사 속에서 기독교의 이념만이 발전하는 것이 아닌 여러 종교이념과의 관계 속에서발전하고, 사회학적 조건에 의거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둘째, 종교와 사회는 상호관계적이다. 독립변수로서 종교는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종교는그 자체로 독자성을 가진다. 그러나 종교는 사회에서 독립변수로만 존재하지 않고, 사회로부터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 또한 갖고 있다. 사회 역시 그 자체로 독립변수의 성격을 갖고, 종교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친다.
      셋째, 신학과 사회학 역시 상호관계적이다. 모든 학문은 학제적인 교호관계를 가진다. 신학이 역사학과의 관계가 있었듯이, 사회학과의 관계를 부정할 수 없다. 사회학은 역사학처럼신학의 보조학문이 된다. 신학의 내용은 한편으로 독립변수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학적방법으로 학문적 교류가 가능하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독일 신학자 에른스트 트뢸취(1865-1923)가 처음 도입했던 ‘역사적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게 한 ‘사회학적 방법’이 무엇인지, 어떤 측면에서 방법론적으로 새로운 의미를 주었...

      이 논문은 독일 신학자 에른스트 트뢸취(1865-1923)가 처음 도입했던 ‘역사적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게 한 ‘사회학적 방법’이 무엇인지, 어떤 측면에서 방법론적으로 새로운 의미를 주었는지 분석한다. 그리고 기독교 이념의 공동체를 유형론적으로 분석하고, 기독교의 역동적 역사를세 가지 유형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로써 결론에 가서 신학과 사회학 그리고 기독교와 사회의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트뢸취의 사회학적 방법은 오늘날까지 역사와 세계, 기독교와 사회, 신학과 사회학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유의미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기독교인으로서 가져야 할 역사관, 세계관, 사회관, 학제적 사유방식 등에 대해 깊이 성찰할 여러 소재를 제공하고 있다.
      첫째, 역사와 세계는 상호관계적이다. 기독교의 역사는 하나님 계시의 역사이다. 하나님의계시는 역사적이다. 유일회적이고, 원천적이고, 비합리적인 신적 현현이다. 기독교 역사는 정신의 역사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은 당시 팔레스타인의 사회적, 자연적 정황과 결부되어있다. 역사 속에서 기독교의 이념만이 발전하는 것이 아닌 여러 종교이념과의 관계 속에서발전하고, 사회학적 조건에 의거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둘째, 종교와 사회는 상호관계적이다. 독립변수로서 종교는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종교는그 자체로 독자성을 가진다. 그러나 종교는 사회에서 독립변수로만 존재하지 않고, 사회로부터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 또한 갖고 있다. 사회 역시 그 자체로 독립변수의 성격을 갖고, 종교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친다.
      셋째, 신학과 사회학 역시 상호관계적이다. 모든 학문은 학제적인 교호관계를 가진다. 신학이 역사학과의 관계가 있었듯이, 사회학과의 관계를 부정할 수 없다. 사회학은 역사학처럼신학의 보조학문이 된다. 신학의 내용은 한편으로 독립변수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학적방법으로 학문적 교류가 가능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죌레, 도로테, "현대신학의 패러다임" 한국신학연구소 2000

      2 큉, 한스, "현대신학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한국신학연구소 2002

      3 정태식,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정치적 위치와 역할"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5 (25): 63-85, 2011

      4 안광현, "한국의 개신교 부패 현상에 대한 고찰 -교회 내부 구성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6 (26): 103-137, 2012

      5 임병수, "철학의 흐름" 제일출판사 1987

      6 로버트슨, R., "종교의 사회학적 이해" 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7 이원규, "종교사회학의 이해" 나남출판 2005

      8 마르크스, 칼,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도서출판 중원문화 2017

      9 김성건,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한국교회"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9 (29): 77-106, 2015

      10 크렌츠, 에드가, "역사적 비평방법" 한국신학연구소 1993

      1 죌레, 도로테, "현대신학의 패러다임" 한국신학연구소 2000

      2 큉, 한스, "현대신학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한국신학연구소 2002

      3 정태식,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정치적 위치와 역할"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5 (25): 63-85, 2011

      4 안광현, "한국의 개신교 부패 현상에 대한 고찰 -교회 내부 구성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6 (26): 103-137, 2012

      5 임병수, "철학의 흐름" 제일출판사 1987

      6 로버트슨, R., "종교의 사회학적 이해" 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7 이원규, "종교사회학의 이해" 나남출판 2005

      8 마르크스, 칼,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도서출판 중원문화 2017

      9 김성건,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한국교회"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9 (29): 77-106, 2015

      10 크렌츠, 에드가, "역사적 비평방법" 한국신학연구소 1993

      11 강병오, "에른스트 트뢸취의 신학윤리 방법론" 한국기독교학회 (53) : 169-196, 2007

      12 강병오, "신학의 사회학 적용에 관한 연구: 개별학으로서의 기독교 사회윤리학의 생성" 한신신학연구소 50 (50): 136-164, 2013

      13 김성원, "신학을 어떻게 할 것인가" 대한기독교서회 2001

      14 길, 로빈, "신학과 사회구조" 살림 2009

      15 김창락, "새로운 성서해석-무엇이 새로운가?" 한국신학연구소 1987

      16 안병무, "사회학적 성서해석" 한국신학연구소 1984

      17 뢰비트, 칼, "베버와 마르크스" 문예출판사 2003

      18 전성우, "막스 베버 사회학" 나남 2013

      19 베버, 막스, "막스 베버 사회과학방법론 선집" 나남 2011

      20 강병오, "리처드 니버의 신학 방법론 이해" 한국조직신학회 (34) : 123-151, 2012

      21 트뢸취, 에른스트, "기독교사회윤리" 한국신학연구소 2003

      22 Troeltsch, Ernst, "Zur religioesen Lage, Religionsphilosophie und Ethik" J. C. B. Mohr 1922

      23 Weber, Max, "Wirtschaft und Gesellschaft" J. C. B. Mohr 1972

      24 Stuhlmacher, Peter, "Neues Testament und Hermeneutik–Versuch einer Bestandaufnahme" 68 : 121-161, 1971

      25 이순구, "Max Weber의 연구" 진명출판사 1989

      26 Weiss, Johannes, "Max Webers Grundlegung der Soziologie" K. G. Sauer Verlag 1992

      27 Kang, Byung-Oh, "Geschichte, Gesellschaft, Religion" Lit. Verlag 2006

      28 Weber, Max, "Gesammelte Aufsaetze zur Wissenschaftslehre" J. C. B. Mohr 1968

      29 Weber, Max, "Gesammelte Aufsaetze zur Religionssoziologie I" J. C. B. Mohr 1922

      30 Troeltsch, Ernst, "Die Soziallehren der christlichen Kirchen und Gruppen" J. C. B. Mohr 1912

      31 Troeltsch, Ernst., "Der Historismus und seine Ueberwindung" Scientia Verlag Aalenhr 1979

      32 Troeltsch, Ernst, "Der Historismus und seine Probleme" J. C. B. Mohr 1922

      33 Troeltsch, Ernst, "Aufsaetze zur Geistesgeschichte und Religionssoziologie" J. C. B. Mohr 1925

      34 김성건, "21세기 종교사회학" 다산출판사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6 0.55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