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이러닝에서 수강생들의 학습스타일을 규명하고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에 대한 학습효과와 향후 모바일러닝을 수강을 하고자 하는 수강동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100384
2016
-
373
KCI등재
학술저널
555-570(16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이러닝에서 수강생들의 학습스타일을 규명하고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에 대한 학습효과와 향후 모바일러닝을 수강을 하고자 하는 수강동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
본 연구는 대학이러닝에서 수강생들의 학습스타일을 규명하고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에 대한 학습효과와 향후 모바일러닝을 수강을 하고자 하는 수강동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이러닝 만족도와 모바일러닝 수강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학습스타일 진단을 위하여 Gregorc의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C 대학교에서 이러닝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161개의 유효한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학습스타일은 구체순차형이 가장 많았고, 남학생은 구체순차형이 여학생은 추상임의형이 많았다. 둘째,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었다. 구체순차형의 학습자가 구체임의형 학습자보다 성적이 높았다. 셋째,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 만족도 중 ‘이러닝에서의 상호작용의 충분성’에 대하여 구체순차형 학습자의 만족도가 구체임의형보다 높았다. 넷째, 학습스타일에 따른 모바일러닝 수강 동기는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학습스타일과 학년, 전공에 따른 이러닝 학업성취도와 이러닝 만족도, 모바일러닝 수강동기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습스타일과 성별에 따른 모바일러닝 수강동기 중 일부에서 차이가 있었다. 구체순차형의 여학생의 모바일러닝 전공관련에 대한 동기가 높았고 추상구체형 여학생의 모바일러닝 축약된 핵심내용에 대한 동기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닝과 모바일러닝에서 학습효과를 발휘하는 학습자의 특성이 무엇인지 규명함으로써 학습자 분석에 기반한 이러닝 및 모바일러닝 지원 방안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e-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in University By analyzing the previous relevant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e-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in University By analyzing the previous relevant research, it has developed 10 items for measuring e-learning satisfaction and 14 items for measuring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To diagnose learning style, I used Gregorc’s Questionaries. The study conducted in June 2015 for students who have taken the e-learning course in University at Chungbuk, 161 valid data was collected. By statistics analysis such as cross-tabulation analysis, ANOVA and MANOVA, I have a several meaningful result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learning style. CS type was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CR type.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 CS type was higher e-learning satisfaction than CR type for interaction sufficiency. Third,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Finally,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nd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 and gender, but there is in motive. Concerning to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CS type’s female has been a high motive for major need, and AS type’s female has been a high motive for mobile learning’s abbreviation. This study, by identifying what learner’s characteristics was to learning effect in e-learning provides a support plan for e-learning and mobile learn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주영, "학습자의 학습양식이 웹 기반 혼합교육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69-478, 2011
2 조은경,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양식에 따른 콘텐츠유형 선호도 연구 : 직업전문학교 자료구조 과목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 서희전,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대학생의 학습양식과 성별이 자기조절 학습전략 및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 (16): 433-457, 2010
4 권성연, "대학생의 Gregorc학습양식과 학습전략 사용 및 교수방법선호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35-57, 2009
5 최미나, "대학 모바일러닝 수강의향에 영향을 주는 수강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77-95, 2014
6 신은정, "고등학교 정보보안단원 이러닝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학습양식별 학업성취도의 비교분석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Cromwell, R. R., "Who Are We As Instructional Leaders : A Statistical Analysis. ERIC Document No"
8 Myers, B. E., "The influence of student learning style on critical thinking skill" 47 (47): 43-52, 2006
9 Bruner, C., "Technology and gebder : Differences in masculine and feminine view" 81 : 46-51, 1997
10 Gould, T. E., "Stylistic learning differences between undergraduate athletic training students and educators : Gregorc mind styles" 41 (41): 109-116, 2006
1 송주영, "학습자의 학습양식이 웹 기반 혼합교육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69-478, 2011
2 조은경,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양식에 따른 콘텐츠유형 선호도 연구 : 직업전문학교 자료구조 과목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 서희전,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대학생의 학습양식과 성별이 자기조절 학습전략 및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 (16): 433-457, 2010
4 권성연, "대학생의 Gregorc학습양식과 학습전략 사용 및 교수방법선호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35-57, 2009
5 최미나, "대학 모바일러닝 수강의향에 영향을 주는 수강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77-95, 2014
6 신은정, "고등학교 정보보안단원 이러닝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학습양식별 학업성취도의 비교분석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Cromwell, R. R., "Who Are We As Instructional Leaders : A Statistical Analysis. ERIC Document No"
8 Myers, B. E., "The influence of student learning style on critical thinking skill" 47 (47): 43-52, 2006
9 Bruner, C., "Technology and gebder : Differences in masculine and feminine view" 81 : 46-51, 1997
10 Gould, T. E., "Stylistic learning differences between undergraduate athletic training students and educators : Gregorc mind styles" 41 (41): 109-116, 2006
11 Butler, T. J.,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their preferences for online instructional methods" 34 (34): 199-221, 2006
12 Swain, S. L., "Single-sex computer classes : An effective alternative" 46 (46): 17-20, 2002
13 Shariffudin, R. S., "Mobile learning environments for diverse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1 (1): 32-35, 2012
14 Whittington, M. S., "Learning and teaching styles of student teachers in the northwest" 36 (36): 10-17, 1995
15 이재무, "Gregorc 학습 스타일을 적용한 적응형 교수 시스템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17 (17): 383-391, 2013
16 Gregorc, A. F., "Gregorc style delineator" Gabriel Systems 1982
17 Gregorc, A. F., "An adult's guide to style" Gregorc Associates, Inc 1982
18 Karadimce, A., "Adaptive Multimedia Delivery in M-Learning Systems Using Profiling" 57-65, 2013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한 중학교 국어 교사의 독서 감상문 평가 양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
Mobile Learning
Teachers TV Teachers TV2014 이러닝 국제 콘퍼런스: Mobile Learning Design at the University of Manitoba
한국교육정보진흥협회 Dr. Robert Lawson2014 이러닝 국제 콘퍼런스 : Open Education Resources with Mobile Learning to Transform Education
한국교육학술정보원 Mohamed AllyHimalayas: Mobile Learning
Teachers TV Teachers TV모바일러닝을 위한 교수설계 및 콘텐츠 개발
신한대학교 신종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