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의영, "형평과 정의" 한울 2011
2 서범석, "허문일의 농민문학 연구" 국제어문학회 (30) : 153-186, 2004
3 홍원표,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 행위, 전통, 인물" 인간사랑 2013
4 신광영,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을유문화사 2004
5 신행철, "한국사회의 계급연구" 아르케 2000
6 윤여탁, "한국 정치시의 논리와 문학교육학" 한국문학교육학회 (25) : 357-376, 2008
7 서범석, "한국 농민시 연구" 고려원 1991
8 홍성식, "한국 근대 농민들의 문학의식과 농민시의 형성"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2) : 259-284, 2010
9 김동규, "하이데거의 사이 예술론" 그린비 2009
10 김형효, "하이데거와 화엄의 사유" 청계 2004
1 임의영, "형평과 정의" 한울 2011
2 서범석, "허문일의 농민문학 연구" 국제어문학회 (30) : 153-186, 2004
3 홍원표,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 행위, 전통, 인물" 인간사랑 2013
4 신광영,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을유문화사 2004
5 신행철, "한국사회의 계급연구" 아르케 2000
6 윤여탁, "한국 정치시의 논리와 문학교육학" 한국문학교육학회 (25) : 357-376, 2008
7 서범석, "한국 농민시 연구" 고려원 1991
8 홍성식, "한국 근대 농민들의 문학의식과 농민시의 형성"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2) : 259-284, 2010
9 김동규, "하이데거의 사이 예술론" 그린비 2009
10 김형효, "하이데거와 화엄의 사유" 청계 2004
11 박찬국, "하이데거와 윤리학" 그린비 2002
12 홍경자, "칼 야스퍼스, 비극적 실존의 치유자" 철학과 현실사 2008
13 Negri, A., "지배와 사보타지" 중원문화 2010
14 Fraser, N., "지구화 시대의 정의" 그린비출판사 2010
15 조재룡, "정치시의 미래를 견인하는 꿈의 전사" 108 : 259-263, 2012
16 Merriam, C. E., "정치권력론" 선인 2006
17 홍태영, "정체성의 정치학"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1
18 이명재, "인간과 문학" 동인 2001
19 박대현, "이응인 시 연구" 13 : 162-166, 2002
20 허혜정, "유신여성과 민중시의 성담론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1 (1): 371-408, 2008
21 Sennett, R., "신자유주의와 인간성의 파괴" 중원문화 2002
22 서범석, "신경림의 『농무』 연구―농민시적 성격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37) : 163-196, 2006
23 공광규, "신경림 시의 창작방법 연구" 푸른사상사 2005
24 김종훈, "시와 삶과 노동시의 재인식" 97 : 29-31, 2010
25 고명철, "송경동의 민중시가 획득한 미적 정치성" 94 : 282-294, 2009
26 홍성식, "생활문학으로서의 농민시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6) : 285-310, 2011
27 이봉철, "삶의 질서와 서구 자유주의 정치이론" 인간사랑 2006
28 변경섭, "삶의 깊이와 진정성으로의 만남" 12 : 140-, 1993
29 김왕배, "산업사회의 노동과 계급의 재생산" 한울 2010
30 Grabb, E. G., "사회불평등" 고려대학교출판부 2003
31 허혜정, "민중시의 알레고리로서의 일본"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12) : 197-229, 2005
32 이강은, "민중시의 시적 주체와 객관현실" 9 (9): 136-138, 2002
33 박찬국,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그린비 2013
34 박태호, "대중과 흐름" 그린비출판사 2012
35 서범석, "농민시에 나타난 여성상(女性像) 연구" 국제어문학회 (43) : 147-180, 2008
36 황규관, "노동시가 남긴 것과 노동시가 가져야 할 것" 111 : 219-, 2013
37 류찬열, "김용택론" 27 : 381-402, 1999
38 Elias, N., "기득권자와 아웃사이더" 한길사 2005
39 정병기, "근대 탈근대 정치의 이해" 인간사랑 2012
40 이수영, "권력이란 무엇인가" 그린비출판사 2009
41 Chomsky, N., "권력에 맞선 이성" 청림출판 2008
42 Bichler, S., "권력 자본론" 삼인 2004
43 Wright, E. O., "계급론" 한울 2007
44 조희연, "계급과 빈곤" 한울 1993
45 서범석, "개화기 농민시의 화자와 시의식 고찰" 국제어문학회 (56) : 137-165, 2012
46 이영석, "H. M. Enzensberger의 정치시 이론" 7 : 358-, 1998
47 오세영, "80년대 한국의 민중시" 7-18, 2001
48 김용락, "70년대 민중시의 정론성" 9 : 111-123, 2002
49 이성혁, "2000년대 후반 한국 정치시의 전개" 2013 (2013): 54-57, 2000
50 노철, "1980년대 민중시의 서정 연구" 한국시학회 (16) : 81-103, 2006
51 이성혁, "1980년대 노동시의 재인식" 82 : 105-124, 2006
52 양광준, "1980년대 노동시의 수사 기법 연구- 반복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38) : 312-331, 2010
53 오수연, "1970년대 민중시의 구술성에 대한 소론" 19 : 43-5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