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중의식 함양을 위한 민중시 교육 방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003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lf-Awareness and Will , which this study set up as core educational elements of Populace Poetry education, are fundamental concepts which belong to people s spontaneous class-consciousness and practice will, respectively, and also belong to actual issues, into which students have to look in Populace Poetry education. This study regards guiding students into having a look-see of our present situation as the main stream of class consciousness by not only paying attention to reality unfolded in Populace Poetry, discovering and debating the principle inhering in the poetry but also re-interpreting the circumstances and meaning of actual reality space, in which students are involved; hereupon, this study is intending to suggest the curriculum that makes it possible for a teacher to teach the main stream of class consciousness through concrete works. Meanwhile, this study tried to consider the educational prescription for Practice Will as a scheme for reality improvement after establishment of class-consciousness based on people s learning and expansion of self-consciousness which was formed through underlying exploration of reality. While looking for preconditions for reform in works, inquiring into the possibility for reconstituting an organization that could sublimate realistic schemes into the ability of execution, this study tried to go ahead with even delving into the feasibility of the attempted schemes like that way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students.
      번역하기

      The Self-Awareness and Will , which this study set up as core educational elements of Populace Poetry education, are fundamental concepts which belong to people s spontaneous class-consciousness and practice will, respectively, and also belong to a...

      The Self-Awareness and Will , which this study set up as core educational elements of Populace Poetry education, are fundamental concepts which belong to people s spontaneous class-consciousness and practice will, respectively, and also belong to actual issues, into which students have to look in Populace Poetry education. This study regards guiding students into having a look-see of our present situation as the main stream of class consciousness by not only paying attention to reality unfolded in Populace Poetry, discovering and debating the principle inhering in the poetry but also re-interpreting the circumstances and meaning of actual reality space, in which students are involved; hereupon, this study is intending to suggest the curriculum that makes it possible for a teacher to teach the main stream of class consciousness through concrete works. Meanwhile, this study tried to consider the educational prescription for Practice Will as a scheme for reality improvement after establishment of class-consciousness based on people s learning and expansion of self-consciousness which was formed through underlying exploration of reality. While looking for preconditions for reform in works, inquiring into the possibility for reconstituting an organization that could sublimate realistic schemes into the ability of execution, this study tried to go ahead with even delving into the feasibility of the attempted schemes like that way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의영, "형평과 정의" 한울 2011

      2 서범석, "허문일의 농민문학 연구" 국제어문학회 (30) : 153-186, 2004

      3 홍원표,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 행위, 전통, 인물" 인간사랑 2013

      4 신광영,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을유문화사 2004

      5 신행철, "한국사회의 계급연구" 아르케 2000

      6 윤여탁, "한국 정치시의 논리와 문학교육학" 한국문학교육학회 (25) : 357-376, 2008

      7 서범석, "한국 농민시 연구" 고려원 1991

      8 홍성식, "한국 근대 농민들의 문학의식과 농민시의 형성"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2) : 259-284, 2010

      9 김동규, "하이데거의 사이 예술론" 그린비 2009

      10 김형효, "하이데거와 화엄의 사유" 청계 2004

      1 임의영, "형평과 정의" 한울 2011

      2 서범석, "허문일의 농민문학 연구" 국제어문학회 (30) : 153-186, 2004

      3 홍원표,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 행위, 전통, 인물" 인간사랑 2013

      4 신광영,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을유문화사 2004

      5 신행철, "한국사회의 계급연구" 아르케 2000

      6 윤여탁, "한국 정치시의 논리와 문학교육학" 한국문학교육학회 (25) : 357-376, 2008

      7 서범석, "한국 농민시 연구" 고려원 1991

      8 홍성식, "한국 근대 농민들의 문학의식과 농민시의 형성"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2) : 259-284, 2010

      9 김동규, "하이데거의 사이 예술론" 그린비 2009

      10 김형효, "하이데거와 화엄의 사유" 청계 2004

      11 박찬국, "하이데거와 윤리학" 그린비 2002

      12 홍경자, "칼 야스퍼스, 비극적 실존의 치유자" 철학과 현실사 2008

      13 Negri, A., "지배와 사보타지" 중원문화 2010

      14 Fraser, N., "지구화 시대의 정의" 그린비출판사 2010

      15 조재룡, "정치시의 미래를 견인하는 꿈의 전사" 108 : 259-263, 2012

      16 Merriam, C. E., "정치권력론" 선인 2006

      17 홍태영, "정체성의 정치학"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1

      18 이명재, "인간과 문학" 동인 2001

      19 박대현, "이응인 시 연구" 13 : 162-166, 2002

      20 허혜정, "유신여성과 민중시의 성담론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1 (1): 371-408, 2008

      21 Sennett, R., "신자유주의와 인간성의 파괴" 중원문화 2002

      22 서범석, "신경림의 『농무』 연구―농민시적 성격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37) : 163-196, 2006

      23 공광규, "신경림 시의 창작방법 연구" 푸른사상사 2005

      24 김종훈, "시와 삶과 노동시의 재인식" 97 : 29-31, 2010

      25 고명철, "송경동의 민중시가 획득한 미적 정치성" 94 : 282-294, 2009

      26 홍성식, "생활문학으로서의 농민시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6) : 285-310, 2011

      27 이봉철, "삶의 질서와 서구 자유주의 정치이론" 인간사랑 2006

      28 변경섭, "삶의 깊이와 진정성으로의 만남" 12 : 140-, 1993

      29 김왕배, "산업사회의 노동과 계급의 재생산" 한울 2010

      30 Grabb, E. G., "사회불평등" 고려대학교출판부 2003

      31 허혜정, "민중시의 알레고리로서의 일본"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12) : 197-229, 2005

      32 이강은, "민중시의 시적 주체와 객관현실" 9 (9): 136-138, 2002

      33 박찬국,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그린비 2013

      34 박태호, "대중과 흐름" 그린비출판사 2012

      35 서범석, "농민시에 나타난 여성상(女性像) 연구" 국제어문학회 (43) : 147-180, 2008

      36 황규관, "노동시가 남긴 것과 노동시가 가져야 할 것" 111 : 219-, 2013

      37 류찬열, "김용택론" 27 : 381-402, 1999

      38 Elias, N., "기득권자와 아웃사이더" 한길사 2005

      39 정병기, "근대 탈근대 정치의 이해" 인간사랑 2012

      40 이수영, "권력이란 무엇인가" 그린비출판사 2009

      41 Chomsky, N., "권력에 맞선 이성" 청림출판 2008

      42 Bichler, S., "권력 자본론" 삼인 2004

      43 Wright, E. O., "계급론" 한울 2007

      44 조희연, "계급과 빈곤" 한울 1993

      45 서범석, "개화기 농민시의 화자와 시의식 고찰" 국제어문학회 (56) : 137-165, 2012

      46 이영석, "H. M. Enzensberger의 정치시 이론" 7 : 358-, 1998

      47 오세영, "80년대 한국의 민중시" 7-18, 2001

      48 김용락, "70년대 민중시의 정론성" 9 : 111-123, 2002

      49 이성혁, "2000년대 후반 한국 정치시의 전개" 2013 (2013): 54-57, 2000

      50 노철, "1980년대 민중시의 서정 연구" 한국시학회 (16) : 81-103, 2006

      51 이성혁, "1980년대 노동시의 재인식" 82 : 105-124, 2006

      52 양광준, "1980년대 노동시의 수사 기법 연구- 반복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38) : 312-331, 2010

      53 오수연, "1970년대 민중시의 구술성에 대한 소론" 19 : 43-53,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