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제적 양식의 공헌과 한계 = Critical Study on Practical Mode of Curriculum Development by J. J. Schwa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485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out the forte and foible of practical mode for curriculum development devised by J. J. Schwab. Practical mode is an alternative to theoretical one in curriculum development. Theoretical mode is represented by Tyler's model on Curriculum that is consist of guiding principl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But, we do not have utilized the principles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actually. In this respect, Schwab gives us practical mode as an alternative to theoretical one.
      Following Walker's naturalistic model, practical mode is composed of three elements: psychological resourc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named practical arts or platform, deliberation as process of collective decision making, design as activities to transform the products of it into educational documents. Among of them, deliberation is treated as the focal element in practical mode. In contrary, they give no attention to the nature of psychological resources. For that reason, practical mode comes down to the ordinary perspective on curriculum development. Consequently, practical mode initiated by Schwab and Walker calls for theoretical explanation about it to escape from the advers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out the forte and foible of practical mode for curriculum development devised by J. J. Schwab. Practical mode is an alternative to theoretical one in curriculum development. Theoretical mode is represented by Tyl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out the forte and foible of practical mode for curriculum development devised by J. J. Schwab. Practical mode is an alternative to theoretical one in curriculum development. Theoretical mode is represented by Tyler's model on Curriculum that is consist of guiding principl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But, we do not have utilized the principles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actually. In this respect, Schwab gives us practical mode as an alternative to theoretical one.
      Following Walker's naturalistic model, practical mode is composed of three elements: psychological resourc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named practical arts or platform, deliberation as process of collective decision making, design as activities to transform the products of it into educational documents. Among of them, deliberation is treated as the focal element in practical mode. In contrary, they give no attention to the nature of psychological resources. For that reason, practical mode comes down to the ordinary perspective on curriculum development. Consequently, practical mode initiated by Schwab and Walker calls for theoretical explanation about it to escape from the advers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타일러의 교육과정 모형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에 필요한 지침으로 이루어져 있다. 슈왑은 타일러의 모형이 취하는 이러한 입장을 이론적 양식으로 규정하면서 그것에 대한 대안으로 실제적 양식을 내세운다. 슈왑의 그 시도를 정련된 형태로 보여주는 워커의 자연주의 모형에 따르면, 교육과정을 실지로 개발하는 일은 세 가지 요소의 결합으로 설명될 수 있다. 교육과정 개발의 심리적 자원으로서의 강령, 강령에 바탕을 둔 집단적 논의의 과정으로서의 숙의, 숙의의 결과를 교육과정 문서로 번역하는 설계가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슈왑과 워커는 숙의의 활용에 관심을 집중시킨 나머지 그것의 심리적 자원인 강령을 외면하고 있다. 그들의 실제적 양식이 건전한 상식을 확인하고 선택하는 일로 전락하는 사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이 부분에 대한 이론적 보완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타일러의 교육과정 모형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에 필요한 지침으로 이루어져 있다. 슈왑은 타일러의 모형이 취하는 이러한 입장을 이론적 양식으로 규정하면서 그것에 대한 대...

      타일러의 교육과정 모형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에 필요한 지침으로 이루어져 있다. 슈왑은 타일러의 모형이 취하는 이러한 입장을 이론적 양식으로 규정하면서 그것에 대한 대안으로 실제적 양식을 내세운다. 슈왑의 그 시도를 정련된 형태로 보여주는 워커의 자연주의 모형에 따르면, 교육과정을 실지로 개발하는 일은 세 가지 요소의 결합으로 설명될 수 있다. 교육과정 개발의 심리적 자원으로서의 강령, 강령에 바탕을 둔 집단적 논의의 과정으로서의 숙의, 숙의의 결과를 교육과정 문서로 번역하는 설계가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슈왑과 워커는 숙의의 활용에 관심을 집중시킨 나머지 그것의 심리적 자원인 강령을 외면하고 있다. 그들의 실제적 양식이 건전한 상식을 확인하고 선택하는 일로 전락하는 사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이 부분에 대한 이론적 보완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경희, "현대 교육과정이론에 나타난 지식관의 문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2 이홍우, "교육과정이론" 교육과학사 2003

      3 박현주, "교육과정의 특성에서 본 ‘실제성’이론의 타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4 박천환, "교육과정의 성격과 최근 동향" 한국초등교육학회 18 (18): 2005

      5 김재춘,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2005

      6 김민환, "교육과정 연구에 있어서 J. Schwab의 실제적 양식의 위상과 의의. in: 새로운 교유과정 탐구: 재개념주의적 접근" 성원사 1990

      7 박순경, "교육과정 문제의 성격과 교육과정 ‘숙의’의 한계성 검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8 조영태, "교육과정 개발의 논리: 워커의 교육과정 모형 검토" 한국비교교육학회 8 (8): 1998

      9 Walker, D. F., "What Curriculum Research?" Curriculum, School and Society, NFER 1975

      10 Fox, S., "The Vitality of Theory in Schwab's Conception of Practical" 15 (15): 1985

      1 소경희, "현대 교육과정이론에 나타난 지식관의 문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2 이홍우, "교육과정이론" 교육과학사 2003

      3 박현주, "교육과정의 특성에서 본 ‘실제성’이론의 타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4 박천환, "교육과정의 성격과 최근 동향" 한국초등교육학회 18 (18): 2005

      5 김재춘,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2005

      6 김민환, "교육과정 연구에 있어서 J. Schwab의 실제적 양식의 위상과 의의. in: 새로운 교유과정 탐구: 재개념주의적 접근" 성원사 1990

      7 박순경, "교육과정 문제의 성격과 교육과정 ‘숙의’의 한계성 검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8 조영태, "교육과정 개발의 논리: 워커의 교육과정 모형 검토" 한국비교교육학회 8 (8): 1998

      9 Walker, D. F., "What Curriculum Research?" Curriculum, School and Society, NFER 1975

      10 Fox, S., "The Vitality of Theory in Schwab's Conception of Practical" 15 (15): 1985

      11 Schwab. J. J., "The Practical 4: Something for Curriculum Professors to Do" 13 (13): 1983

      12 Schwab, J. J., "The Practical 3: Translation into Curriculum. in: Science, Curriculum, and Liberal Education: Selected Essay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13 Schwab, J. J., "The Practical 2: Arts of Eclectic. in: Science, Curriculum, and Liberal Education: Selected Essay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14 Schwab, J. J., "The Practical 1: A Language for Curriculum. in: Science, Curriculum, and Liberal Education: Selected Essay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15 Knitter, W., "The Informing Vision of the Practical: The Concepts of Character, Virtue, Vice and Privation" 20 (20): 1988

      16 Reid, W. A., "The Deliberative Approach to Critical Pluralism" Rethinking Curriculum Studies 1981

      17 김아영, "Schwab의 숙의 이론의 쟁점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 : 43-60, 2006

      18 Tyler, R. W.,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19 Reid, W. A., "Practical Reasoning and Curriculum Theory: In Search of a New Paradigm" 9 (9): 1979

      20 Eisner, E. W., "No Easy Answers: Joseph Schwab‘s Contribution to Curriculum" 14 (14): 1984

      21 Westbury, I., "Introduction. in: Science, Curriculum, and Liberal Education: Selected Essay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22 Roby, T. W., "Habits Impeding Deliberation" 17 (17): 1985

      23 Pereira, P., "Deliberation and the Arts of Perception" 16 (16): 1984

      24 Schubert, W. H., "Curriculum: Perspective, Paradigm and Possibilit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86

      25 Walker, D. F., "Curriculum and Aims" Teacher College Press 1986

      26 Walker, D. F., "A Naturalistic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Curriculum, School and Society, NFER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1.316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