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정에서의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Food Waste at Ho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02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food waste have been a steady social issue, and the severity of the problem emerged as the 2013 London Convention banned the marine emissions of waste water. The government implemented measures related to food wast...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food waste have been a steady social issue, and the severity of the problem emerged as the 2013 London Convention banned the marine emissions of waste water. The government implemented measures related to food waste, but prior studies showed that it lacked continuity and lacked strategies for each area of occurrence, and emphasized that citizens' participation is important to implement effective reduction polici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food waste disposal machine through user experience analysis as a way to induce civic participation. To this end, the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was outlined in this study after the pre-research and user survey stages through FGI and user journey maps. Based on this, the proposed treatment machine facilitates the frequent discharge of waste and simplifies the process of food waste in the home. In addition, the moment of direct contact between the user and waste is only the point at which the waste is released to the handler, thereby minimizing the negative experience the user has experienc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음식물류 폐기물이 야기하는 환경오염 문제는 오랫동안 사회적인 문제였으나 2013년 런던협약 가입으로 인해 음·폐수 해양배출이 금지되면서 한층 심각해졌다. 최근 정부의 음식물류 폐기�...

      음식물류 폐기물이 야기하는 환경오염 문제는 오랫동안 사회적인 문제였으나 2013년 런던협약 가입으로 인해 음·폐수 해양배출이 금지되면서 한층 심각해졌다. 최근 정부의 음식물류 폐기물 관련 종합 대책의 실시는 감량 성과와 자원화에 많은 기여를 하였으나 지속적으로 시행되지 못하였고 폐기물의 발생 분야별로 적절하게 대응하는 전략의 부족이 지적되었다. 많은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감량 정책 시행을 위해서 무엇보다 시민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사용자 경험 분석을 기초로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기를 디자인하여 시민의 참여를 높이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대한 다각적인 조사·분석, 표적 집단 인터뷰 및 사용자 여정지도를 포함한 사용자 경험연구를 통하여 디자인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처리기는 폐기물의 수시 배출이 용이해지며 가정 내에서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 과정이 간단해진다. 또한 사용자와 폐기물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순간은 처리기에 배출하는 시점으로 제한하여 사용자가 겪었던 부정적인 경험을 최소화함으로써 폐기물 감량을 위한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성훈, "종량제 가격이 생활폐기물, 음식물쓰레기, 재활용품 수거서비스 수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경제학회 24 (24): 747-761, 2015

      2 오정익, "음식물쓰레기 자원화를 위한 공동주택 거주자의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및 자원화 의향에 관한 분석" 대한환경공학회 32 (32): 905-915, 2010

      3 "「Sewerage law」Article 33 & Article 2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4 G. C. Boo, "The Efficiency Assessment through the B/C Analysis According to the Food Waste Disposal Method : Case Study of Jeju Region" Jeju National University 2017

      5 KRICT, "Solving the biodegradable plastic bag 'easy to tear'" 2019

      6 K. D. Park., "School-meal Analysis and Food-preference Survey on the No Leftovers Day in Some Middle Schools of Gwangju Area" Dongshin University. Naju 2008

      7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Waste Statistics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8 Ministry of Environment,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ay-as-you-go system, including food waste emissions and commissions"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9 J. S. Park, "An Overview of Food Waste Treatment Methods in Korea" 427-432, 2009

      10 Ministry of Environment,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Food Waste Disposal"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1 홍성훈, "종량제 가격이 생활폐기물, 음식물쓰레기, 재활용품 수거서비스 수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경제학회 24 (24): 747-761, 2015

      2 오정익, "음식물쓰레기 자원화를 위한 공동주택 거주자의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및 자원화 의향에 관한 분석" 대한환경공학회 32 (32): 905-915, 2010

      3 "「Sewerage law」Article 33 & Article 2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4 G. C. Boo, "The Efficiency Assessment through the B/C Analysis According to the Food Waste Disposal Method : Case Study of Jeju Region" Jeju National University 2017

      5 KRICT, "Solving the biodegradable plastic bag 'easy to tear'" 2019

      6 K. D. Park., "School-meal Analysis and Food-preference Survey on the No Leftovers Day in Some Middle Schools of Gwangju Area" Dongshin University. Naju 2008

      7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Waste Statistics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8 Ministry of Environment,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ay-as-you-go system, including food waste emissions and commissions"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9 J. S. Park, "An Overview of Food Waste Treatment Methods in Korea" 427-432, 2009

      10 Ministry of Environment,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Food Waste Disposal"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11 Ministry of Environment,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Food Waste Quantification System and Reduction Policy"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12 J. H. Tang., "A Study on Improving Food Waste Recycling Industry" Dong-Eui University. Busan 2015

      13 H. J Seo, "A Study on Improvement of Emission Methods for Improving Food Waste Emission Conven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7

      14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Research Council,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ood Waste Management Policy and the Overseas Outstanding Management Government" KAPA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Research Council 2015

      15 Ministry of Environment,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ood Waste Management Policy and the Foreign Excellence Management Policy"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5.85 5.85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7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