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평가인증제 평가기준의 타당성 검토 = A Study on the Accreditation Standards Validity of University Evaluation: A Case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740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학교육인증제와 경영교육인증제를 중심으로 그 평가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한 연구다. 타당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되지만, 특별히 교육프로그램 평가의 메타평가 기준 중 교...

      본 연구는 공학교육인증제와 경영교육인증제를 중심으로 그 평가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한 연구다. 타당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되지만, 특별히 교육프로그램 평가의 메타평가 기준 중 교육본위성 준거에 따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교육주체의 교육지향성, 교육방법의 적절성, 교육환경의 충실성, 교육성과의 본질성이 그 하위준거다. 인증실무경험자인 각 5개 공과대학, 경영대학 소속교수 10인, 5인과의 인터뷰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두 인증제는 교육주체가 현재의 교육에 만족하지 않고 개선하도록 권장하지만 시스템 구축에 더 초점이 있어 만족도를 확인하거나 향상시키게 하는 면은 자극을 제공하는 정도다. 교육방법의 적절성은 교수-학생의 역동적 상호작용, 학습과정에 관한 충실한 모니터링의 면에서 긍정적이지만, 학생수준에 맞는 교육방법과 매체 활용, 개인별 속도, 스타일에 따른 학습경험 제공에 관해서는 부정적이다. 단계적, 순차적 학습경험의 배열은 공학 분야에서는 이수체계의 강조로 높은 관심을 보이나, 경영학에서는 주된 관심사가 아니다. 교육환경의 충실성은 확인하기는 하나 향후 현황보다 개선방향에 관한 관심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교육성과의 본질성은 학생 자신의 교육성과를 평가하거나 교수의 교육전문성 신장을 확인하게 하지만, 교육활동에 관한 긍정적 태도 확인은 취약해 교육평가 분야에서 이 기준에 관련한 구체적인 평가방법 등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standards of two programs: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mong the various meta-evaluation criteria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accredi...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standards of two programs: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mong the various meta-evaluation criteria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standards for the education programs, we chose here the education-centered criteria. This includes the education-directivity, properness of the education method, perfec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bstantial product of the education, as its sub-criteria. The basic research materials consist of the interview data for 10 professors from the 5 colleges of engineering and 5 professors from the 5 colleges of business who have experience in the working group for the accreditation. It was observed that both of the programs promote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But more emphasis are laid on the construc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comparatively, the enhancement of th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of the education were taken care of on the level of providing certain stimulation. On the properness of the education method: they have positive aspects on the interaction of the professors and student, monitoring on the education procedure, while also they have negative aspects on the education method proper to the students' level, usage of medium, progress for each individual, provid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 with appropriate style. On the arrangement of the phased educational experience: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has much interest in the completion of the courses, while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doesn'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scholarly area. On the perfec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y are checking the present situation, but it is required to advance into the improvement. On the substantial product of the education: They are running the self-evaluating programs for students and they are checking the education-expertise of the professors. But we found certain weak points on the checking the professors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later studies on the education accreditation, it is required to provide concrete accreditation methods for the standards on this asp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교육주체의 교육지향성
      • Ⅲ. 교육방법의 적절성
      • Ⅳ. 교육환경의 충실성
      • Ⅴ. 교육성과의 본질성
      • Ⅰ. 서 론
      • Ⅱ. 교육주체의 교육지향성
      • Ⅲ. 교육방법의 적절성
      • Ⅳ. 교육환경의 충실성
      • Ⅴ. 교육성과의 본질성
      • Ⅵ. 요약 및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