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덕윤리학과 그 성취와 한계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덕윤리학과 공공윤리학적 적실성을 성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18세기 이후의 자유주의적 계몽주의 윤리학에 비판적인 스텐리 하우어워스의 덕윤리학은 맥킨타이어의 덕윤리학처럼 성품, 인격, 공동체의 전통에 관심을 가진다. 또한 미국의 민주당과 친화성을 가지는 기독교 좌파와 공화당과 친화성을 가지는 기독교 우파의 정치적 접근 혹은 공공윤리적 접근의 한계성을 넘어서고자 하는 차원에서 독특성과 차별성을 가진다. 그의 접근은 성화론과 교회의 교회됨에 초점을 두는 덕윤리학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하우어워스의 덕윤리학을 살피되 이를 교회윤리와 관련해서 살펴보고 비판적 성찰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위해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덕윤리학적 배경에 맥킨타이어의 공동체주의와 내러티브, 덕과 성품의 성찰 등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하우어워스가 근대성과 자유주의를 이해함에 있어서 라인홀드니버의 사회윤리나 틸리히의 체계적인 신학에 왜 비판적인지, 바르트와 요더가 하우어워스에게 미친 영향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덕윤리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위해 근대 자유주의 윤리학에서 덕윤리학으로의 전환이 성공적인지, 분리주의적 특수한 교회공동체주의 윤리의 문제를 잘 극복하는지를 성찰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관련해서 국가주의적 정치참여에 적극적인 기존 기독교적 공공윤리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그의 윤리학이 성공적이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교회와 세상 사이의 구분을 강조하고, 공적 영역과 이슈에 대해서 제한적이며, 세상과의 분리를 의도하지는 않지만 세상 안으로 들어가 다른 공적 주체들과 소통하려는 노력을 결여하고 있는 스탠리 하우어와스의 ‘공동체 내 지향’의 특수한 교회공동체주의 윤리학, 교회로 교회되게 함으로써 교회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윤리학은 교회의 사회 책임성과 소통을 보다 강조하는 관점에 의해 발전적으로 보완되어야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덕윤리학과 공공윤리학적 적실성을 성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18세기 이후의 자유주의적 계몽주의 윤리학에 비판적인 스텐리 하우어워스의 덕윤리학은 맥킨...

      본 연구는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덕윤리학과 공공윤리학적 적실성을 성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18세기 이후의 자유주의적 계몽주의 윤리학에 비판적인 스텐리 하우어워스의 덕윤리학은 맥킨타이어의 덕윤리학처럼 성품, 인격, 공동체의 전통에 관심을 가진다. 또한 미국의 민주당과 친화성을 가지는 기독교 좌파와 공화당과 친화성을 가지는 기독교 우파의 정치적 접근 혹은 공공윤리적 접근의 한계성을 넘어서고자 하는 차원에서 독특성과 차별성을 가진다. 그의 접근은 성화론과 교회의 교회됨에 초점을 두는 덕윤리학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하우어워스의 덕윤리학을 살피되 이를 교회윤리와 관련해서 살펴보고 비판적 성찰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위해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덕윤리학적 배경에 맥킨타이어의 공동체주의와 내러티브, 덕과 성품의 성찰 등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하우어워스가 근대성과 자유주의를 이해함에 있어서 라인홀드니버의 사회윤리나 틸리히의 체계적인 신학에 왜 비판적인지, 바르트와 요더가 하우어워스에게 미친 영향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덕윤리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위해 근대 자유주의 윤리학에서 덕윤리학으로의 전환이 성공적인지, 분리주의적 특수한 교회공동체주의 윤리의 문제를 잘 극복하는지를 성찰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관련해서 국가주의적 정치참여에 적극적인 기존 기독교적 공공윤리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그의 윤리학이 성공적이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교회와 세상 사이의 구분을 강조하고, 공적 영역과 이슈에 대해서 제한적이며, 세상과의 분리를 의도하지는 않지만 세상 안으로 들어가 다른 공적 주체들과 소통하려는 노력을 결여하고 있는 스탠리 하우어와스의 ‘공동체 내 지향’의 특수한 교회공동체주의 윤리학, 교회로 교회되게 함으로써 교회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윤리학은 교회의 사회 책임성과 소통을 보다 강조하는 관점에 의해 발전적으로 보완되어야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level of public theological appropriateness of virtue ethics of Stanley Hauerwas. Stanley Hauerwas" virtue ethics, critical of the liberal Enlightenment ethics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is concerned with character, personality, and community traditions as MacIntyre"s virtue ethics. Marx Stackhouse, a representative public theologian in Christian ethics, uses virtue ethics that focus on the sanctification and the churches of the church.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virtue ethics of Hauerwas and examine it in relation to the ethics of the church and present critical reflection. To this end, I will first examine how MacIntyre"s communityism, narrative, virtue, and reflection of character are linked to the virtue ethics of Stanley Hauerwas. In addition, we will examine Nieber"s social ethics, how he is critical of Tilich"s systematic theology, and the impact of Barth and Yoder on Hauerwas in understanding modernity and liberalism. In order to critically examine Stanley Hauerwas’ critical ethics, we should reflect on whether the transition from modern rule ethics to virtue ethics is successful and overcome sectarian ethics issues. In conclusion, Stanley Hauerwas" emphasis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limited public domains and issues, was not intended to separate from the world, but lacks the effort to enter the world and communicate with other public actors. The special ecclesial ethics of ‘Orientation in Community’ and the ethics that emphasize the identity of the church by making it into the church have limitations that need to be developed and supplemented by a perspective that emphasizes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of the church.
      번역하기

      This study deals with the level of public theological appropriateness of virtue ethics of Stanley Hauerwas. Stanley Hauerwas" virtue ethics, critical of the liberal Enlightenment ethics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is concerned with character, person...

      This study deals with the level of public theological appropriateness of virtue ethics of Stanley Hauerwas. Stanley Hauerwas" virtue ethics, critical of the liberal Enlightenment ethics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is concerned with character, personality, and community traditions as MacIntyre"s virtue ethics. Marx Stackhouse, a representative public theologian in Christian ethics, uses virtue ethics that focus on the sanctification and the churches of the church.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virtue ethics of Hauerwas and examine it in relation to the ethics of the church and present critical reflection. To this end, I will first examine how MacIntyre"s communityism, narrative, virtue, and reflection of character are linked to the virtue ethics of Stanley Hauerwas. In addition, we will examine Nieber"s social ethics, how he is critical of Tilich"s systematic theology, and the impact of Barth and Yoder on Hauerwas in understanding modernity and liberalism. In order to critically examine Stanley Hauerwas’ critical ethics, we should reflect on whether the transition from modern rule ethics to virtue ethics is successful and overcome sectarian ethics issues. In conclusion, Stanley Hauerwas" emphasis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limited public domains and issues, was not intended to separate from the world, but lacks the effort to enter the world and communicate with other public actors. The special ecclesial ethics of ‘Orientation in Community’ and the ethics that emphasize the identity of the church by making it into the church have limitations that need to be developed and supplemented by a perspective that emphasizes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of the chu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Ⅰ. 들어가면서
      • Ⅱ.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덕・공동체주의 윤리학의 배경
      • Ⅲ. 스탠리하우어워스의덕・공동체주의윤리학에대한비판적성찰
      • Ⅳ. 나가면서
      • 논문개요
      • Ⅰ. 들어가면서
      • Ⅱ.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덕・공동체주의 윤리학의 배경
      • Ⅲ. 스탠리하우어워스의덕・공동체주의윤리학에대한비판적성찰
      • Ⅳ. 나가면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성, "하우어워즈 내러티브 윤리의 주요 개념 및 방법론적 특징" 기독교학문연구회 12 (12): 102-133, 2007

      2 스탠리 하우어워스, "하나님의 나그네 된 백성" 복있는 사람 2008

      3 문시영,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 현실주의? 공동체주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9) : 07-37, 2014

      4 김현수,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교회 윤리 비판적 읽기"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1) : 31-70, 2011

      5 마크 코피, "스탠리 하우어워스-시민, 국가종교, 자기만의 신을 넘어서" 비아 2016

      6 테드 W. 제닝스, "데리다를 읽는다/바울을 생각한다" 그린비 2014

      7 알래스데어 맥킨타이어, "덕의 상실" 문예출판사 1997

      8 문시영, "교회됨(Community of Character)" 북코리아 2010

      9 문시영, "교회됨(Community of Character)" 북코리아 2010

      10 문시영, "공동체적 맥락에서 본 목회윤리와 덕의 문제"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1) : 215-235, 2011

      1 이지성, "하우어워즈 내러티브 윤리의 주요 개념 및 방법론적 특징" 기독교학문연구회 12 (12): 102-133, 2007

      2 스탠리 하우어워스, "하나님의 나그네 된 백성" 복있는 사람 2008

      3 문시영,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 현실주의? 공동체주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9) : 07-37, 2014

      4 김현수,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교회 윤리 비판적 읽기"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1) : 31-70, 2011

      5 마크 코피, "스탠리 하우어워스-시민, 국가종교, 자기만의 신을 넘어서" 비아 2016

      6 테드 W. 제닝스, "데리다를 읽는다/바울을 생각한다" 그린비 2014

      7 알래스데어 맥킨타이어, "덕의 상실" 문예출판사 1997

      8 문시영, "교회됨(Community of Character)" 북코리아 2010

      9 문시영, "교회됨(Community of Character)" 북코리아 2010

      10 문시영, "공동체적 맥락에서 본 목회윤리와 덕의 문제"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1) : 215-235, 2011

      11 Hauerwas, S., "Will the Real Sectarian Stand Up?" 44 : 87-94, 1987

      12 Hauerwas, S, "Why Narrative?: Readings in Narrative Theology" Wipf and Stock Publishers 1997

      13 McIntyre, A, "Whose Justice, Which Rationality?"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8

      14 Hunter, J.D., "To change the world: The irony, tragedy, and possibility of Christianity in the late modern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5 Kathleen, A. C, "Three Approaches to Practical Theology, Theological Education, and the Church’s Ministry" 9 : 63-94, 2005

      16 Gustafson, J. M., "The Sectarian Temptation: Reflections on Theology, the Church and the University" Proceedings of the Catholic Theological Society 40 : 83-94, 1985

      17 권연경, "The Politics of Jesus" IVP 2007

      18 Hauerwas, S., "The Peaceable Kingdom: A Primer in Christian Ethics"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6

      19 Hauerwas, S., "The Hauerwas reader: Stanley Hauerwas" Duke University Press 2001

      20 Rasmusson, A, "The Church as Polis: From Political Theology to Theological Politics as Exemplified by Jurgen Moltmann & Stanley Hauerwas"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95

      21 Hauerwas, S., "Revisions: Changing Perspectives in Moral Philosophy" University on Notre Dame Press 1983

      22 Hauerwas, S., "Dispatches from the Front: Theological Engagement with the Secular" Duke University Press 1995

      23 Stout, J., "Democracy and Trad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

      24 Fergusson, D., "Community, Liberalism, and Christian 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5 Hauerwas, S., "Community of character: Toward a constructive Christian social ethic"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1

      26 Cunningham, D. S., "Christian ethics: The end of the law" Routledge 2008

      27 Hauerwas, S, "Christian Existence Today: Essays on Church, World and Living In Between" The Labyrinth 1988

      28 Arnhart, L., "Can virtue be genetically engineered?" 29 (29): 79-81, 2010

      29 Hauerwas S., "Against the Nations: War and Survival in a Liberal Society" Winston Press 1985

      30 Louis, A. R. Jr., "Afterwords: Hellenism, Modernism and the Myth of Decaden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6

      31 Hauerwas, S., "A Community of Character: Toward a Constructive Christian Social Ethics"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6

      32 Hauerwas, S., "A Community of Character"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 1975

      33 Hauerwas, S., "A Better Hope: Resources for a Church Confronting Capitalism, Democracy, and Postmodernity" Brazos Press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98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