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적은 남북한의 최신 교육과정을 토대로 남북한 초등학교 문법교육 내용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언어 일반, 음운 및 글자, 단어, 문장, 담화, 규범 등과 같은 문법 단위별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26916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65(35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남북한의 최신 교육과정을 토대로 남북한 초등학교 문법교육 내용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언어 일반, 음운 및 글자, 단어, 문장, 담화, 규범 등과 같은 문법 단위별로...
본고의 목적은 남북한의 최신 교육과정을 토대로 남북한 초등학교 문법교육 내용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언어 일반, 음운 및 글자, 단어, 문장, 담화, 규범 등과 같은 문법 단위별로 남북한의 초등학교 문법교육 내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남북한이 공통적으로는 다루는 문법 내용이라 하더라도 내용의 범위와 수준에서 크고 작은 차이가 있었다. 차이점의 경우, 북한은 남한과 달리 탐구 학습, 문법 관련 태도, 언어 일반과 관련된 내용은 다루지 않으며, 남한에 비해 어휘 교육, 규범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북한은 1학년에서는 글자 교육에 집중하고 문법을 2학년부터 본격적으로 다루고, 토 문법을 강조하며, 동일한 내용의 문법 성취기준을 학년마다 위계화하여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North and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of...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North and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of North and South Korea by grammar units such as general language, phonemes ad letters, words, sentences, discourses and norms. The contents of the grammar covered by both Koreas have some differences in scope and level of content. And North Korea did not deal with inquiry learning, grammar attitudes, and general language, and emphasized vocabulary education, normative education and ‘To’ grammar. In addition, North Korea concentrates on literacy in the first grade and deals with the grammar from the second grade in earnes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숙, "통일 대비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연구(II): 총론, 국어, 사회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2 권순희, "탈북학생 지도용 국어과 교육과정 표준안 개발: 초등" 한국교육개발원 2012
3 이인제, "초•중등 국어과 교육 과정 및 교과서 통합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4 교육위원회, "제1차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강령(소학교)"
5 교육도서출판사, "소학교 국어 2-1" 교육도서출판사 2014
6 전수태, "북한의 언어정책" 국립국어연구원 1992
7 김진숙, "북한의 2013년 개정 교육과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349-368, 2016
8 강보선,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탐색"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2) : 1-34, 2016
9 이관규, "남북한과 중국조선족의 문법 교과서 비교 연구" 국어교육학회 51 (51): 155-183, 2016
10 최현섭, "남북한 초등 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통일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연구위원회 1996
1 김진숙, "통일 대비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연구(II): 총론, 국어, 사회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2 권순희, "탈북학생 지도용 국어과 교육과정 표준안 개발: 초등" 한국교육개발원 2012
3 이인제, "초•중등 국어과 교육 과정 및 교과서 통합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4 교육위원회, "제1차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강령(소학교)"
5 교육도서출판사, "소학교 국어 2-1" 교육도서출판사 2014
6 전수태, "북한의 언어정책" 국립국어연구원 1992
7 김진숙, "북한의 2013년 개정 교육과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349-368, 2016
8 강보선,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탐색"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2) : 1-34, 2016
9 이관규, "남북한과 중국조선족의 문법 교과서 비교 연구" 국어교육학회 51 (51): 155-183, 2016
10 최현섭, "남북한 초등 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통일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연구위원회 1996
11 고정희, "남북한 초ㆍ중ㆍ고등학교 국어교육 통합을 위한 기초 연구 : 통일 대비 단계의 국어과 교수·학습 내용 선정 및 수업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소 (36) : 1-49, 2015
12 윤희원, "남북한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서울대학교사범대학 통일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연구위원회 1997
13 교육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3 | 1.03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