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브랜드 자산, 소비자 로열티, 그리고 온라인 루머의 영향력 = Brand Assets, Customer Loyalty and Online Rumor’s Influ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69462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브랜드 자산과 부정적 루머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온라인상에 발생하는 소비자의 브랜드 루머가 기업의 소비자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연구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정성적, 정량적 실증 조사를 통하여 이를 다시 고찰하였다.
      정성적 연구에서는 근거이론 연구방법론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루머 발생 원인과 대응행동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추가적으로 정량적 연구에서는 회귀분석을 통하여 기업 명성, 브랜드의 지각된 가치, 상품 관여도가 루머에 노출된 소비자의 로열티 증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통하여 루머의 발생 원인과 대응 행동의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었고, 기업 명성과 브랜드의 지각된 가치는 루머로부터 소비자 로열티를 보호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브랜드 자산과 부정적 루머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온라인상에 발생하는 소비자의 브랜드 루머가 기업의 소비자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연구들을 개괄적으로 살...

      본 연구는 브랜드 자산과 부정적 루머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온라인상에 발생하는 소비자의 브랜드 루머가 기업의 소비자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연구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정성적, 정량적 실증 조사를 통하여 이를 다시 고찰하였다.
      정성적 연구에서는 근거이론 연구방법론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루머 발생 원인과 대응행동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추가적으로 정량적 연구에서는 회귀분석을 통하여 기업 명성, 브랜드의 지각된 가치, 상품 관여도가 루머에 노출된 소비자의 로열티 증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통하여 루머의 발생 원인과 대응 행동의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었고, 기업 명성과 브랜드의 지각된 가치는 루머로부터 소비자 로열티를 보호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ssets and negative rumor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this study provides a review of the research on brand asset, online brand rumor and customer loyalty issues.
      In the subsequential article,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opics in detail by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we interview several marketing and brand experts and analyze the outcomes by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n addition, we perform quantitative regression research to identify if the variables such as corporate reputation, perceived brand value, and product involvement can affect changes in consumer loyalty level significant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he origin of online brand rumor and diversity of consumer reactions. Also it becomes clear that corporate reputation and perceived brand value can protect customer loyalty from online rumor relating the brand.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ssets and negative rumor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this study provides a review of the research on brand asset, online brand rumor and customer loyalty issues. In the subsequential articl...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ssets and negative rumor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this study provides a review of the research on brand asset, online brand rumor and customer loyalty issues.
      In the subsequential article,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opics in detail by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we interview several marketing and brand experts and analyze the outcomes by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n addition, we perform quantitative regression research to identify if the variables such as corporate reputation, perceived brand value, and product involvement can affect changes in consumer loyalty level significant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he origin of online brand rumor and diversity of consumer reactions. Also it becomes clear that corporate reputation and perceived brand value can protect customer loyalty from online rumor relating the bra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 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사전 연구
      • Ⅳ. 가설 수립
      • 요 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사전 연구
      • Ⅳ. 가설 수립
      • Ⅴ. 실증 분석
      • Ⅵ. 결론 및 시사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