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정규직 근로자의 인적자본 수익률에 대한 연구 =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ate of Return to Human Capital of the Contingent Work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71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atus of contingent employment accompanies low wage, bad working conditions, unstable employment, and substantially unfavorable returns to human capital variables such as education and experience. The paper explores the causes of the wage gap generated by the employment status. The dual labor market model regards the wage gap predetermined and exogenous because the equilibriating process of the labor market is precluded. Using the KLIPS data,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evidence that the rate of returns to human capital diminishes gradually as the duration of contingent employment lasts. Our results support the explanation of the human capital theory in the sense that the investment of human capital is severely affected by the contingent employment status because of the expectation of unfavorable income.
      번역하기

      The status of contingent employment accompanies low wage, bad working conditions, unstable employment, and substantially unfavorable returns to human capital variables such as education and experience. The paper explores the causes of the wage gap gen...

      The status of contingent employment accompanies low wage, bad working conditions, unstable employment, and substantially unfavorable returns to human capital variables such as education and experience. The paper explores the causes of the wage gap generated by the employment status. The dual labor market model regards the wage gap predetermined and exogenous because the equilibriating process of the labor market is precluded. Using the KLIPS data,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evidence that the rate of returns to human capital diminishes gradually as the duration of contingent employment lasts. Our results support the explanation of the human capital theory in the sense that the investment of human capital is severely affected by the contingent employment status because of the expectation of unfavorable inco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 근로형태에 따른 임금격차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찾고자 하며, 특히 비정규직 고용 지속기간과 인적자본 수익률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연속이행 모형으로 이들 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정규직 지속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교육과 경력의 인적자본 수익률이 점진적으로 하락하였다. 이 결과는 비정규직 고용의 특성인 고용의 불안정성, 열악한 작업환경, 현장 교육의 부족으로 기대수익이 작기 때문에 현재 직장에서의 인적자본의 투자가 작아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소득 불평등도를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고용의 안정과 인적자본 투자를 장려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 근로형태에 따른 임금격차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찾고자 하며, 특히 비정규직 고용 지속기간과 인적자본 수익률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한국노동패널 자료...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 근로형태에 따른 임금격차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찾고자 하며, 특히 비정규직 고용 지속기간과 인적자본 수익률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연속이행 모형으로 이들 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정규직 지속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교육과 경력의 인적자본 수익률이 점진적으로 하락하였다. 이 결과는 비정규직 고용의 특성인 고용의 불안정성, 열악한 작업환경, 현장 교육의 부족으로 기대수익이 작기 때문에 현재 직장에서의 인적자본의 투자가 작아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소득 불평등도를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고용의 안정과 인적자본 투자를 장려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재, "정규직 임금프리미엄에 관한 연구" 2006

      2 안주엽, "정규근로와 비정규근로의 임금격차" 24 (24): 67-96, 2001

      3 박기성, "정규-비정규근로자의 임금격차 비교: 2003년과 2005년" 한국노동연구원 7 (7): 35-61, 2007

      4 김용민, "정규-비정규근로자 임금격차" 한국노동경제학회 29 (29): 25-48, 2006

      5 님재량, "비정규근로와 정규근로의 임금격차 연구:고용형태와 종사상 지위를 중심으로" 2008

      6 남재량, "비정규 근로와 정규 근로의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패널자료를 사용한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0 (30): 1-31, 2007

      7 안주엽, "노동과 차별(Ⅱ):인식과 실제" 한국노동연구원 2007

      8 노용진, "내부노동시장의 성격과 비정규직 고용의 비율" 3 (3): 47-67, 2003

      9 Mangum, G, "The Temporary Help Industry: A Response to the Dual Internal Labor Market" 38 (38): 599-611, 1985

      10 Klein,J.P, "Survival Analysis:Techniques for Censored and Truncated Data" New York: Springer 1997

      1 이인재, "정규직 임금프리미엄에 관한 연구" 2006

      2 안주엽, "정규근로와 비정규근로의 임금격차" 24 (24): 67-96, 2001

      3 박기성, "정규-비정규근로자의 임금격차 비교: 2003년과 2005년" 한국노동연구원 7 (7): 35-61, 2007

      4 김용민, "정규-비정규근로자 임금격차" 한국노동경제학회 29 (29): 25-48, 2006

      5 님재량, "비정규근로와 정규근로의 임금격차 연구:고용형태와 종사상 지위를 중심으로" 2008

      6 남재량, "비정규 근로와 정규 근로의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패널자료를 사용한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0 (30): 1-31, 2007

      7 안주엽, "노동과 차별(Ⅱ):인식과 실제" 한국노동연구원 2007

      8 노용진, "내부노동시장의 성격과 비정규직 고용의 비율" 3 (3): 47-67, 2003

      9 Mangum, G, "The Temporary Help Industry: A Response to the Dual Internal Labor Market" 38 (38): 599-611, 1985

      10 Klein,J.P, "Survival Analysis:Techniques for Censored and Truncated Data" New York: Springer 1997

      11 Heckman, James J, "Econometric Duration Analysis" 24 : 63-132, 1984a

      12 Davis-Blake A, "Determinants of Employment Externalization: A Study of Temporary Workers and Independent Contractors" 38 : 195-223, 1993

      13 Uzzi, B, "Contingent Employment in British Establishment: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the Use of Fixed-term Hires and Part-time Workers" 76 (76): 967-1007, 1998

      14 "A Method for Minimizing the Impact of Distributional Assumptions in Econometric Models for Duration Data" 52 (52): 271-320, 1984b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3 1.94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