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동생산(co-production)에 기반한 공동체주택의 의미에 대한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41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서울지역의 공동체주택이 어떻게 등장하고 생산되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고 문헌연구를 통한 논리적 추론을 병행했으며, 자료수집은 세평적 표집에 의해 선정된 서울 소재 공동체주택 4곳의 입주자와 공급자 및 서울시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진행했다. 그 결과, 주거비 부담을 낮추고 호혜적 관계망을 이룰 수 있는 공동체주택의 등장으로 입주자들은 주체성이 강화되는 경험을 하고 있었고, 이러한 변화를 가져오는 공동체주택은 새로운 주거 방식에 대한 입주자의 욕구와 공급자인 사회적경제 조직의 문제의식 및 적극성, 공공의 정책적 필요와 지원이 토대가 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주택에 의한 ‘입주자의 주체성 강화’는 입주자의 역할과 인식, 문제해결 능력에 있어서 나타난 변화를 통해 확인되었다. 공동체주택의 입주자들은 주택의 생산 및 관리, 운영주체로서의 위상을 경험하고, 주택의 물리적 환경을 만드는 것에서 나아가 실거주자 누구나 내부 커뮤니티를 조성하고 외부로 확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입주자들은 공동체주택 자체와 공동체주택 거주 경험 모두 사회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신뢰관계 형성을 통해 문제를 해소하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작동하는 핵심적 기제는 ‘공동생산(co-production)’이었고, 이를 통해 공동체주택의 주체들은 각자의 부족함을 보완하고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주택을 생산, 관리,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입주자 주체성의 강화’ 경험은 주거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하고 주거복지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입주자의 역량 향상과 사회적 가족 형성을 통한 사회적 위험 방지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다양한 주거문제에 직면한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복지 향상에 공동체 주택이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본 연구는 이윤추구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경제 조직이 공동체주택의 공급자로서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고 있음에 주목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서울지역의 공동체주택이 어떻게 등장하고 생산되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고 문헌연구를 통한 논리적...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서울지역의 공동체주택이 어떻게 등장하고 생산되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고 문헌연구를 통한 논리적 추론을 병행했으며, 자료수집은 세평적 표집에 의해 선정된 서울 소재 공동체주택 4곳의 입주자와 공급자 및 서울시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진행했다. 그 결과, 주거비 부담을 낮추고 호혜적 관계망을 이룰 수 있는 공동체주택의 등장으로 입주자들은 주체성이 강화되는 경험을 하고 있었고, 이러한 변화를 가져오는 공동체주택은 새로운 주거 방식에 대한 입주자의 욕구와 공급자인 사회적경제 조직의 문제의식 및 적극성, 공공의 정책적 필요와 지원이 토대가 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주택에 의한 ‘입주자의 주체성 강화’는 입주자의 역할과 인식, 문제해결 능력에 있어서 나타난 변화를 통해 확인되었다. 공동체주택의 입주자들은 주택의 생산 및 관리, 운영주체로서의 위상을 경험하고, 주택의 물리적 환경을 만드는 것에서 나아가 실거주자 누구나 내부 커뮤니티를 조성하고 외부로 확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입주자들은 공동체주택 자체와 공동체주택 거주 경험 모두 사회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신뢰관계 형성을 통해 문제를 해소하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작동하는 핵심적 기제는 ‘공동생산(co-production)’이었고, 이를 통해 공동체주택의 주체들은 각자의 부족함을 보완하고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주택을 생산, 관리,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입주자 주체성의 강화’ 경험은 주거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하고 주거복지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입주자의 역량 향상과 사회적 가족 형성을 통한 사회적 위험 방지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다양한 주거문제에 직면한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복지 향상에 공동체 주택이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본 연구는 이윤추구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경제 조직이 공동체주택의 공급자로서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고 있음에 주목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s of how community housing,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has emerged and what implication it has. To figure out the implication, we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logical reasoning by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the introduction of such a new housing system has enabled residents to experience strengthening of subjectivity. Further, the community housing appears to be established based on needs of residents, problem recognition and activeness of suppliers, and policy needs and supports of public institutions.
      The ‘strengthening of resident’s subjectivity,’ resulting from the community housing indicates that even tenants experienced a status as a subject in produc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housing, and anyone, that actually lived in the community housing, could play a role of forming and expanding an internal community, as well as creat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housing. Also, residents socially recognized the community housing itself and residential experience thereof and they tried to solve problems in the community housing through forming trust relationship.
      What is noteworthy here is that a core mechanism working in the process is co-production. The subjects of community housing, through co-production, make up for each other"s deficiencies and create synergy in the produc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housing.
      This strengthening of residents" subjectivity implies that the residents" ability to cope actively with residential welfare problems can be enhanced by the community housing and that the residents can be prevented from social risks through forming a social family among the residents. This means the community housing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residential welfare for housing vulnerable group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hich pursue social values as well as commercial profits, may satisfy needs of housing welfare as suppliers.
      번역하기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s of how community housing,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has emerged and what implication it has. To figure out the implication, we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logical reasoning by litera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s of how community housing,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has emerged and what implication it has. To figure out the implication, we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logical reasoning by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the introduction of such a new housing system has enabled residents to experience strengthening of subjectivity. Further, the community housing appears to be established based on needs of residents, problem recognition and activeness of suppliers, and policy needs and supports of public institutions.
      The ‘strengthening of resident’s subjectivity,’ resulting from the community housing indicates that even tenants experienced a status as a subject in produc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housing, and anyone, that actually lived in the community housing, could play a role of forming and expanding an internal community, as well as creat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housing. Also, residents socially recognized the community housing itself and residential experience thereof and they tried to solve problems in the community housing through forming trust relationship.
      What is noteworthy here is that a core mechanism working in the process is co-production. The subjects of community housing, through co-production, make up for each other"s deficiencies and create synergy in the produc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housing.
      This strengthening of residents" subjectivity implies that the residents" ability to cope actively with residential welfare problems can be enhanced by the community housing and that the residents can be prevented from social risks through forming a social family among the residents. This means the community housing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residential welfare for housing vulnerable group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hich pursue social values as well as commercial profits, may satisfy needs of housing welfare as suppli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문헌검토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문헌검토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정화, "함께 살아 좋은집 - 공동체주택 매뉴얼 북" 서울시청 주택정책과 2017

      2 정규호, "한국 도시공동체운동의 전개과정과 협력형 모델의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7-34, 2012

      3 최정신, "코하우징 공동체" 어문학사 2017

      4 이윤서, "추진주체의 특성에 따른 공동체주택 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7

      5 김소연, "주택협동조합의 소유구조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17

      6 조혜민, "제3섹터 사회주택공급 정책과 성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7

      7 염철호, "소규모 주택사업방식 다양화를 위한 주택관련제도 유연화 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2

      8 변미리, "서울특별시 1인 가구 대책 정책 연구" 서울연구원 2014

      9 유명소, "서울시 코하우징 거주자 만족도와 지역공동체의 관계" 서울시립대학교 2017

      10 이경미, "서울시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유형 및 특성 연구 - 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4 (44): 135-160, 2017

      1 장정화, "함께 살아 좋은집 - 공동체주택 매뉴얼 북" 서울시청 주택정책과 2017

      2 정규호, "한국 도시공동체운동의 전개과정과 협력형 모델의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7-34, 2012

      3 최정신, "코하우징 공동체" 어문학사 2017

      4 이윤서, "추진주체의 특성에 따른 공동체주택 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7

      5 김소연, "주택협동조합의 소유구조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17

      6 조혜민, "제3섹터 사회주택공급 정책과 성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7

      7 염철호, "소규모 주택사업방식 다양화를 위한 주택관련제도 유연화 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2

      8 변미리, "서울특별시 1인 가구 대책 정책 연구" 서울연구원 2014

      9 유명소, "서울시 코하우징 거주자 만족도와 지역공동체의 관계" 서울시립대학교 2017

      10 이경미, "서울시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유형 및 특성 연구 - 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4 (44): 135-160, 2017

      11 문철우, "서울시 공유주택사업의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가치평가 연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17

      12 오정석, "서울시 공동체주택 공급활성화를 위한 문제점 및 향후과제" 한국지적학회 33 (33): 85-97, 2017

      13 장용준, "서울시 공공주도형 공동체주택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7

      14 김인숙,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집문당 2016

      15 데보라 K. 패짓,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 나남출판 2001

      16 김인숙, "바우처 도입에 따른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의 변화와 그 의미"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3-58, 2010

      17 서울주택도시공사, "맞춤형 공동체주택" 서울주택도시공사 2016

      18 김순은, "도시공동체의 주민자치와 사회자본: 입주자대표회의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0 (30): 41-76, 2016

      19 안성호, "다중심거버넌스와 지방자치체제의 발전방향" 한국행정연구소 49 (49): 59-89, 2011

      20 진미윤, "꿈의 주택정책을 찾아서" 오월의 봄 2017

      21 김진경, "공동체주택의 구입비용과 생활비용 절감 효과 분석" 시립대학교 2017

      22 강세진, "경기도형 공동체 주거 모델 발굴 연구" 경기연구원 2015

      23 오르나 로젠펠트, "UNECE 지역의 사회주택 - 모델, 경향, 과제" (사)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사)한국도시연구소 2017

      24 Taco Brandsen, "The trade-off between capital and community: The conditions for successful co-production in housing" 23 (23): 1139-1155, 2012

      25 Victor Pestoff, "Social enterprise and the third sector" Routledge 250-269, 2013

      26 Taco Brandsen, "Social enterprise and the third sector" Routledge 231-249, 2012

      27 Christian Jetté, "Social Economy and Home Care Services in Quebec : Co-Production or Co-Construction?" 22 (22): 48-69, 2011

      28 Dorit Fromm, "Seeding Community: Collaborative Housing as a Strategy for Social and Neighbourhood Repair" 38 (38): 364-394, 2012

      29 Victor Pestoff, "Patterns of co-production in public services" 8 (8): 591-595, 2006

      30 Christine Whitehead, "From social housing to subsidized housing? Accommodating lowincome households in Europe" 41 (41): 244-257, 2015

      31 Tony Bovaird, "Efficiency in third sector Partnerships for Delivering local government services : The role of economics of scale, scope and learning" 16 (16): 1067-1090, 2014

      32 Elinor Ostrom, "Crossing the Great Divide : Coproduction, Synergy, and Development" 24 (24): 1073-1087, 1996

      33 Ruwan Abeysekera, "Concepts and Implications of Theory of Co-production" 6 (6): 22-38, 2015

      34 John Alford, "Co-production, interdependence and publicness : Extending public service-dominant logic" 18 (18): 673-691, 2016

      35 Taco Brandsen, "Co-Production, the third sector and the delivery of public services : An introduction" 8 (8): 493-501, 2006

      36 Anat Gofen, "Citizens’ entrepreneurial role in public service provision" 17 (17): 404-424, 2015

      37 Victor Pestoff, "Citizens and Co-Production of Welfare Services : Childcare in eight European countries" 8 (8): 503-519, 2006

      38 Alice Pittini, "CECODHAS Housing Europe’s Observatory" 1-35, 2011

      39 Tony Bovaird, "Beyond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User and Community Coproduction of Public Services" 67 (67): 846-860, 2007

      40 Elinor Ostrom, "Background on the 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 Framework" 39 (39): 7-27, 2011

      41 남원석, "1인 가구시대 맞춤형 주거해법 - 사회임대형 공동체주택 활성화" 서울연구원 2015

      42 오혜진, "1인 가구 공동체주택의 공유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3 1.68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