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장로교회와 장로직: 장로임기제 도입에 대한 개혁신학적 탐구 = Korea Presbyterian Church and the Organization of the Eldership: A Reformed Study of the import of the term office in Eldersh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27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organization of eldership i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nd asks if it coincides with the ecclesiastical, Reformed, and biblical substantiation. Especially it concerns how it or Presbyterian consistory in Korea corresponds to the Reformed or the Genevan Consistory under the leadership of John Calvin(1509-1564). Through these studies, can we recognize that the organization of Korean Presbytery is far from the ethos of Genevan church in the ministry of Calvin. Reading the organization of eldership in view of Reformed tradition, we demands the legalization of the term of an elder. We do no justify ourself the life tenure of an elder in view of that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U.S.A., which has had an effect o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lready execute the term office of an elder. It is true that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Scotland implement the system of the life tenure of an elder. However, we need to consider that it was made in practical purpose to secure the autocracy of the church from the intervention of the state. In this sense, it is not the model for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Rather, the life tenure of an elder in Korean churches is the product of Korean culture, namely the copycat of the elder as a ‘senior’, a respected person only because of the ages, living in the neighborhood. Recognizing that the life tenure of elder in Korean Presbyteian churches originates from the Korean Confucian social custom, we have no justification to reject the revision from the life tenure to the organization of the term of an elder. The term system of an elder should be, of course, brought alongside of the institutional check of the ministers, as in Geneva.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the organization of eldership i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nd asks if it coincides with the ecclesiastical, Reformed, and biblical substantiation. Especially it concerns how it or Presbyterian consistory in Korea corresponds to...

      This paper analyzes the organization of eldership i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nd asks if it coincides with the ecclesiastical, Reformed, and biblical substantiation. Especially it concerns how it or Presbyterian consistory in Korea corresponds to the Reformed or the Genevan Consistory under the leadership of John Calvin(1509-1564). Through these studies, can we recognize that the organization of Korean Presbytery is far from the ethos of Genevan church in the ministry of Calvin. Reading the organization of eldership in view of Reformed tradition, we demands the legalization of the term of an elder. We do no justify ourself the life tenure of an elder in view of that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U.S.A., which has had an effect o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lready execute the term office of an elder. It is true that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Scotland implement the system of the life tenure of an elder. However, we need to consider that it was made in practical purpose to secure the autocracy of the church from the intervention of the state. In this sense, it is not the model for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Rather, the life tenure of an elder in Korean churches is the product of Korean culture, namely the copycat of the elder as a ‘senior’, a respected person only because of the ages, living in the neighborhood. Recognizing that the life tenure of elder in Korean Presbyteian churches originates from the Korean Confucian social custom, we have no justification to reject the revision from the life tenure to the organization of the term of an elder. The term system of an elder should be, of course, brought alongside of the institutional check of the ministers, as in Genev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 장로교의 장로직제의 실체와 그것의 교회사적, 개혁신학적 여부를 타진해 본다. 특히 한국 장로교의 장로직제 나아가 장로교 치리회가 개혁신학적 혹은 칼빈(John Calvin, 1509~1564)의 제네바 교회 치리회(Consistory)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분석한다. 이상의 탐구를 통해 우리는 한국의 장로교 정치 구조가 칼빈이 시도한 치리회 제도의 정신과 얼마나 부합하지 않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장로회 제도에 대한 이러한 개혁신학적 탐구를 통해 이 글은 장로 임기제의 법제화를 요구할 것이다. 한국 장로교가 영향 받았다는 미국의 장로교에서는 이미 대부분 장로 임기제가 실시되고 있는 사실에서 우리가 계속 종신제를 유지시키는 것은 떳떳하지 못하다 할 것이다. 물론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에서 장로 종신직이 시행되고는 있지만 이는 국가의 간섭으로부터 교회의 자치권을 확보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에 따라 도입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가 모범을 삼기에는 논리적 근거가 희박하다. 오히려 한국의 장로 종신직은 다분히 한국 문화의 산물인 것으로 동네 ‘어른’ 장로의 복사판인 것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한국의 유교적 문화적 개념에 따라 한국의 장로 종신직이 유래하였다고 볼 때, 임기제로 고치는 것은 거부할 명분이 없다고 하겠다. 특히 개혁신학의 유산을 물려받은 한국 장로교로서는 칼빈의 제네바 교회 치리회 구성 목적 및 그 운영과도 일치하지 않는다. 칼빈이 제네바 교회 치리회 제도를 만든 목적 중 하나는 목사든 장로든 1인 혹은 1개 조직의 권력 집중화를 막는 것이었고,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위해 제네바 교회 치리회 의원 중 장로 임기를 (연임이 가능한) 1년으로 정한 것이었다. 치리회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칼빈이 장로 임기제를 실시한 것과 같이, 한국 장로교 역시 장로 임기제를 실시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물론 이 글의 논지를 지지하는 전제 조건으로 칼빈이 제안한 바와 같은 목사의 자격과 그 지위에 대한 철저한 제도적 검증, 관리, 감독 장치 설치를 제안한다. 장로의 임기제 도입은 이와 같은 목사에 대한 제도적 견제 장치의 개설을 전제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한국 장로교의 장로직제의 실체와 그것의 교회사적, 개혁신학적 여부를 타진해 본다. 특히 한국 장로교의 장로직제 나아가 장로교 치리회가 개혁신학적 혹은 칼빈(John Calvin, 1509~15...

      이 논문은 한국 장로교의 장로직제의 실체와 그것의 교회사적, 개혁신학적 여부를 타진해 본다. 특히 한국 장로교의 장로직제 나아가 장로교 치리회가 개혁신학적 혹은 칼빈(John Calvin, 1509~1564)의 제네바 교회 치리회(Consistory)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분석한다. 이상의 탐구를 통해 우리는 한국의 장로교 정치 구조가 칼빈이 시도한 치리회 제도의 정신과 얼마나 부합하지 않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장로회 제도에 대한 이러한 개혁신학적 탐구를 통해 이 글은 장로 임기제의 법제화를 요구할 것이다. 한국 장로교가 영향 받았다는 미국의 장로교에서는 이미 대부분 장로 임기제가 실시되고 있는 사실에서 우리가 계속 종신제를 유지시키는 것은 떳떳하지 못하다 할 것이다. 물론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에서 장로 종신직이 시행되고는 있지만 이는 국가의 간섭으로부터 교회의 자치권을 확보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에 따라 도입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가 모범을 삼기에는 논리적 근거가 희박하다. 오히려 한국의 장로 종신직은 다분히 한국 문화의 산물인 것으로 동네 ‘어른’ 장로의 복사판인 것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한국의 유교적 문화적 개념에 따라 한국의 장로 종신직이 유래하였다고 볼 때, 임기제로 고치는 것은 거부할 명분이 없다고 하겠다. 특히 개혁신학의 유산을 물려받은 한국 장로교로서는 칼빈의 제네바 교회 치리회 구성 목적 및 그 운영과도 일치하지 않는다. 칼빈이 제네바 교회 치리회 제도를 만든 목적 중 하나는 목사든 장로든 1인 혹은 1개 조직의 권력 집중화를 막는 것이었고,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위해 제네바 교회 치리회 의원 중 장로 임기를 (연임이 가능한) 1년으로 정한 것이었다. 치리회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칼빈이 장로 임기제를 실시한 것과 같이, 한국 장로교 역시 장로 임기제를 실시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물론 이 글의 논지를 지지하는 전제 조건으로 칼빈이 제안한 바와 같은 목사의 자격과 그 지위에 대한 철저한 제도적 검증, 관리, 감독 장치 설치를 제안한다. 장로의 임기제 도입은 이와 같은 목사에 대한 제도적 견제 장치의 개설을 전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병호, "한국장로교회의 교회정치의 문제점"

      2 박병진, "한국장로교회 헌법 100년 변천의 개관" 성광문화사 1989

      3 이광규, "한국문화의 심리인류학" 집문당 1997

      4 권호덕, "한국교회에 대한 칼빈 신학의 기여" 한국개혁신학회 27 : 262-284, 2010

      5 McNeill, John T, "칼빈주의 역사와 성격"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0

      6 Eßer, Hans Helmut, "칼빈의 사회윤리학의 현대적 적용" 5 : 26-56, 1999

      7 Wallace, Ronald S, "칼빈의 사회 개혁 사상" 기독교문서선교회 1995

      8 이양호, "칼빈의 교회론과 한국교회, In 칼빈의 구원론과 교회론" SFC 214-239, 2011

      9 오형국, "칼뱅의 신학과 인문주의" 한국학술정보 2006

      10 이정숙, "출교에 관한 존 칼빈의 신학과 제네바 컨시스토리의 활동, In 최근의 칼빈연구" 대한기독교서회 306-329, 2001

      1 손병호, "한국장로교회의 교회정치의 문제점"

      2 박병진, "한국장로교회 헌법 100년 변천의 개관" 성광문화사 1989

      3 이광규, "한국문화의 심리인류학" 집문당 1997

      4 권호덕, "한국교회에 대한 칼빈 신학의 기여" 한국개혁신학회 27 : 262-284, 2010

      5 McNeill, John T, "칼빈주의 역사와 성격"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0

      6 Eßer, Hans Helmut, "칼빈의 사회윤리학의 현대적 적용" 5 : 26-56, 1999

      7 Wallace, Ronald S, "칼빈의 사회 개혁 사상" 기독교문서선교회 1995

      8 이양호, "칼빈의 교회론과 한국교회, In 칼빈의 구원론과 교회론" SFC 214-239, 2011

      9 오형국, "칼뱅의 신학과 인문주의" 한국학술정보 2006

      10 이정숙, "출교에 관한 존 칼빈의 신학과 제네바 컨시스토리의 활동, In 최근의 칼빈연구" 대한기독교서회 306-329, 2001

      11 손병호, "장로교회의 역사" 그리인 1993

      12 Witherow, Thomas, "장로교회의 성경적 근거" 아가페문화사 1991

      13 배광식, "장로교정치 통전사" 킹덤북스 2011

      14 심창섭, "장로교 정치제도의 기원은 무엇인가?(II)" 252 (252): 168-191, 1997

      15 심창섭, "장로교 정치제도의 기원은 무엇인가?(I)" 251 (251): 66-95, 1997

      16 Macgregor, Janet G, "장로교 정치제도 형성사" 솔로몬 1997

      17 배광식, "장로교 정치사상사" 이레서원 2008

      18 심창섭, "오늘의 한국장로교 정치제도 이대로 좋은가?" 엠마오 1998

      19 김영명, "신한국론" 인간사랑 2005

      20 Loetscher, Lefferts A, "세계장로교회사" 성광문화사 1980

      21 권문상, "부흥 어게인 1907: 유교적 가족주의를 극복할 공동체적 교회가 답이다" 브니엘 1996

      22 Calvin, John, "기독교강요" 생명의말씀사 1986

      23 Graham, W. Fred, "건설적인 혁명가 칼빈" 생명의말씀사 1986

      24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219279&q=%EC%9E%A5%EB%A1%9C?"

      25 Murray, Douglas M, "The Recent Debate on Eldership in the Church of Scotland, In The Ministry of Elders in the Reformed Church" Evangellische Arbeitsstelle Oekumne Schqeiz Sulgenauweg 1992

      26 Torrance, T. F, "The Eldership in the Reformed Church" 37 (37): 503-518, 1984

      27 Uprichard, R. E. H, "The Eldership in Martin Bucer and John Calvin" 61 (61): 21-37, 1989

      28 McNeill, John T, "The Doctrine of the Ministry in Reformed Theology" 12 (12): 77-97, 1943

      29 Bergier, J. F, "Registres de la Compagnie des pasteurs de Geneve au temps de Calvin. 2 vols, In Genevan Ecclesiastical Ordinances" London 1-13, 1541

      30 Manetsch, Scott M, "Pastoral Care East of Eden: The Consistory of Geneva, 1568-82" 75 (75): 274-313, 2006

      31 Bouwsma, William J, "John Calvin: A Sixteenth-Century Portrait"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32 Larson, Mark J, "John Calvin and Genevan Presbyterianism" 60 : 43-69, 1998

      33 Lee, Jung-Sook, "How Collegial Can They Be? Church Offices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66 (66): 170-183,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Reformed Theology Societ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5 0.5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