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도시지역 주부의 여가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isure Perceptions of Urban Area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591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difference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house wives' perceptions on leisure in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inquiry to explor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otal of 8 house wives in metropolitan area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rawn following suggestions;
      1. The participants perceived positively on their leisure and social environments.
      2. The participants anticipated various types of leisure cultures and activities just for women, house wives more precisely. Although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nd tried various types of leisure programs for women, it was still necessary to be provided customized leisure cultures and programs.
      3.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unbalanced leisure time, so they relatively had difficult to continue to participated in leisure culture.
      4.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n the excessive load of house work. At the same time, it was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barriers for women in society.
      5. The participants were never taught leisure education throughout their education system.
      It was a major factor of absence of family leisure culture in society.
      In conclusion, leisure culture was the most important social issue in Korean society. Despite of various social and psychological barriers for house wives, they generally had vary positive attitudes toward leisure and leisure culture in society.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types of leisure cultures and programs based on social, economical, and political backgroun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difference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house wives' perceptions on leisure in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inquiry to explore the purpose of the 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difference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house wives' perceptions on leisure in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inquiry to explor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otal of 8 house wives in metropolitan area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rawn following suggestions;
      1. The participants perceived positively on their leisure and social environments.
      2. The participants anticipated various types of leisure cultures and activities just for women, house wives more precisely. Although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nd tried various types of leisure programs for women, it was still necessary to be provided customized leisure cultures and programs.
      3.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unbalanced leisure time, so they relatively had difficult to continue to participated in leisure culture.
      4.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n the excessive load of house work. At the same time, it was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barriers for women in society.
      5. The participants were never taught leisure education throughout their education system.
      It was a major factor of absence of family leisure culture in society.
      In conclusion, leisure culture was the most important social issue in Korean society. Despite of various social and psychological barriers for house wives, they generally had vary positive attitudes toward leisure and leisure culture in society.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types of leisure cultures and programs based on social, economical, and political backgrou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결론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희,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여성체육의 활성화" 1993

      2 강정희, "중산층 주부의 여가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4

      3 김인숙, "주부의 스포츠참여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7

      4 김정희, "주부의 스포츠 참여 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6

      5 김숙영, "유통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 문제와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9

      6 전선혜, "운동지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학적 변인들에 관한 연구" 35 (35): 243-254, 1996

      7 원형중, "여가활동참여가 수도권 거주노인의 고독감, 여가만족,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14 (14): 90-104, 1995

      8 황보관, "여가활동유형과 주관적 여가경험의 관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9 서진교, "여가스포츠활동과 사회적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국가통계자료 이용" 38 (38): 145-157, 1999

      10 이상행,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와 여가인지자유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38 (38): 224-236, 1999

      1 이혜희,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여성체육의 활성화" 1993

      2 강정희, "중산층 주부의 여가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4

      3 김인숙, "주부의 스포츠참여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7

      4 김정희, "주부의 스포츠 참여 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6

      5 김숙영, "유통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 문제와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9

      6 전선혜, "운동지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학적 변인들에 관한 연구" 35 (35): 243-254, 1996

      7 원형중, "여가활동참여가 수도권 거주노인의 고독감, 여가만족,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14 (14): 90-104, 1995

      8 황보관, "여가활동유형과 주관적 여가경험의 관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9 서진교, "여가스포츠활동과 사회적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국가통계자료 이용" 38 (38): 145-157, 1999

      10 이상행,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와 여가인지자유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38 (38): 224-236, 1999

      11 김삼진, "성인여성의 생활무용참가와 사회연결망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1999

      12 정영린,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1997

      13 김미, "생활체육 종목에 따른 참여자의 동기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7

      14 이종길,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1992

      15 이삼아, "문화센터 교육 참여자의 요구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1998

      16 진민희, "딸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대인관계 성향간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4

      17 안재협, "대도시 주부의 스포츠활동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1985

      18 표영희, "기혼여성의 가족생활주기와 여가활동과 여가제약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19 김남진, "규칙적인 운동 참여가 고령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 및 사회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 39 (39): 149-158, 2000

      20 주소영, "고교생이 지각한 부-자년간 애정적 유대와 대인관계 성향간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5

      21 김건철, "가족의 스키참가와 여가태도 인지된 여가능력 및 가족만족의 관계" (12) : 295-305, 1999

      22 송강영, "가정주부의 여가활동 참여와 가족응집력 및 적응력의 관계" 서울대학교 1999

      23 김성희, "가정주부의 여가제약과 여가만족, 가족기능, 생활만족의 관계" 36 (36): 463-473, 1997

      24 Dubuque,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1980

      25 A,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of order pers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95-306, 1982

      26 Lichtman,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Nurse-Midwifery" perime (perime): 30-48, 1991

      27 Crawford, "Reconceptualizing barriers to family leisure" 119-127, 1987

      28 Brown, "Perceived constraints and social support for active leisure amo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23 : 131-144, 2001

      29 Coleman, D., & Iso-Ahola, S. E, "Leisure and health: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elf-determination." 25 (25): 1993

      30 Craig,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public recreation pportunity and social pathology in selected large cities in the United Sta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1976

      31 Henderson, "A sense of entitlement to leisure as constraint and empowerment for women" 51-65, 1991

      32 노동부, "1996년도 근로자 건강 진단 결과 분석" 노동부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