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 구축주의의 표현에 대한 리좀적 탐구 = A Rhizomatic Inquiry to Expression of The Russian Constructiv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32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니멀리즘 이후의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반환영적 공간의 확장으로부터 알레고리적 특성으로의 변화로 귀결된다. 알레고리는 현대예술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이 나타내는 ...

      미니멀리즘 이후의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반환영적 공간의 확장으로부터 알레고리적 특성으로의 변화로 귀결된다. 알레고리는 현대예술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이 나타내는 대표적인 요소이다. 알레고리는 무의미적이고 다질적이다. 그러한 흐름의 근본 토대는 작품의 제작 태도에서 결정된다. 그것은 구축적 태도이다. 구성은 초월적이고, 능동적이며 관념적이다. 구축은 내재적이고, 수동적이며, 물질적이다. 그러한 구축의 정신은 러시아 구축주의에서 탁월하게 만개한다. 즉 러시아구축주의는 구축적 표현의 작품이다. 구축적 표현은 초월성이 아니라 내재성의 영역에서 작용한다. 내재성의 평면은 잠재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으로 조성된다. 그러므로 구축적 표현은 잠재적인 것이 현실적인 것으로 펼쳐지는 것이다. 구축적 표현에서 드러나는 형태는 리좀으로 나타난다. 리좀의 시·공간은 연접적이고 다질적이다. 러시아구축주의 특히 타틀린과 로드첸코의 작품에서 리좀의 시·공간은 탁월하게 확보된다. 타틀린과 로드첸코는 구축적 표현으로 작품을 제작하는 것이다. 구축적 표현의 작품 특징은 반환영, 우연성, 관계성, 생성과 변이, 제작과정의 드러남, 무한속도을 포함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aracteristic of modern art emerging after minimalism results in transformation from expansion of anti-illusionary space to allegorical quality. Allegory is a element of the typical which characteristic of postmodernism presents in contemporary art. ...

      Characteristic of modern art emerging after minimalism results in transformation from expansion of anti-illusionary space to allegorical quality. Allegory is a element of the typical which characteristic of postmodernism presents in contemporary art. Allegory has nonsense and multi-quality. Fundamental foundation of this tendency is decisive in the attitude of making works. It is constructive attitude. Composition is transcendental, active, and ideological. But, Construction is immanent, passive and material. This spirit of construction is prominently in full bloom in Russia Constructivism. That is to say, Russia Constructivism is works of constructive expression. Constructive expression operates in sphere of not transcendence but immanence. The sphere of immanence consists of the virtual and the actual. Therefore, Constructive expression is what is unfolded from the virtual to the actual. The form emerging in constructive expression is presented as rhizome. The time and the space of rhizome is connective and multi-qualitative. The time and space of rhizome particularly is secured in the works of Tatlin and Rodchenko of Russia Constructivism. Tatlin and Rodchenko make works out of constructive expression. Particularity of works made up of constructive expression comprehends anti-illusion, contingency, relationship, becoming and variation, exposure of the creation process, infinite veloc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로잘린드 크라우스, "현대조각의 흐름" 예경 1997

      2 김영천, "포스트모던 패러다임과 교육학/교육과정 연구" 아카데미프레스 2011

      3 질 들뢰즈, "철학이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 1999

      4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5 데이비드 노먼 로드윅, "질 들뢰즈의 시간기계" 그린비 2005

      6 이재은, "엔트로피와 변증법의 관계: <나선형 방파제> 중심으로" 현대미술사학회 (26) : 81-106, 2009

      7 장혜진, "소비에트 구축주의 연구: 간과 아르바또프의 선언문을 중심으로" 2011 (2011): 2011

      8 미학대계간행회, "미학의 문제와 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9 배수희, "미술의 기능변환 : 러시아 구축주의 연구" 미술사학연구회 (27) : 285-306, 2006

      10 윤난지,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 눈빛 1999

      1 로잘린드 크라우스, "현대조각의 흐름" 예경 1997

      2 김영천, "포스트모던 패러다임과 교육학/교육과정 연구" 아카데미프레스 2011

      3 질 들뢰즈, "철학이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 1999

      4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5 데이비드 노먼 로드윅, "질 들뢰즈의 시간기계" 그린비 2005

      6 이재은, "엔트로피와 변증법의 관계: <나선형 방파제> 중심으로" 현대미술사학회 (26) : 81-106, 2009

      7 장혜진, "소비에트 구축주의 연구: 간과 아르바또프의 선언문을 중심으로" 2011 (2011): 2011

      8 미학대계간행회, "미학의 문제와 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9 배수희, "미술의 기능변환 : 러시아 구축주의 연구" 미술사학연구회 (27) : 285-306, 2006

      10 윤난지,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 눈빛 1999

      11 제롬 로장발롱, "들뢰즈와 가타리의 무한 속도" 열린책들 2012

      12 클레어 콜브록, "들뢰즈 이해하기" 그린비 2008

      13 소운서원, "들뢰즈 사상의 분화" 그린비 2007

      14 Miwon Kwon, "One place after another: site-specific art and locatonal identy" MIT press 2004

      15 배수희, "1900년 이후의 미술사" 세미콜론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