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aging Outpatients with Dyslipidemia in a University HospitalHa Jung Choi, M.D.*, Kayoung Lee, M.D.* †, Bit Na Kim, M.D.*, Tae Jin Park, M.D.*, Jeong Nyeo Lee, M.D.**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603215
2005
-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10-16(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aging Outpatients with Dyslipidemia in a University HospitalHa Jung Choi, M.D.*, Kayoung Lee, M.D.* †, Bit Na Kim, M.D.*, Tae Jin Park, M.D.*, Jeong Nyeo Lee, M.D.**
Managing Outpatients with Dyslipidemia in a University HospitalHa Jung Choi, M.D.*, Kayoung Lee, M.D.* †, Bit Na Kim, M.D.*, Tae Jin Park, M.D.*, Jeong Nyeo Lee, M.D.**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의 Adult Treatment Panel III (이하 ATP III)에서 권고하는 고지혈증 치료 지침과 비교하여 의사들이 고지혈증 환자를 관리하는 행태를 조사하였다. 방법: 일...
연구배경: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의 Adult Treatment Panel III (이하 ATP III)에서 권고하는 고지혈증 치료 지침과 비교하여 의사들이 고지혈증 환자를 관리하는 행태를 조사하였다.
방법: 일개 대학병원에서 2002년 10~11월에 걸쳐 혈청 지질 검사를 한 외래환자 중 첫 방문때 실시한 혈청 검사 결과가 총콜레스테롤(TC) ≥200 mg/dL, 또는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 <40 mg/dL이고, 중성지방(TG)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을 측정하였으며 초진 이후 12주 동안 3회 이상 방문한 성인 환자 85명이 연구 대상이었다. 의무기록지로 연령, HDL 상태, 고혈압 유무, 관상동맥질환 유무, 당뇨병 유무를 파악하였고, 전화 면접을 통하여 관상동맥질환 또는 당뇨병이 아닌 환자 36명 중 19명 환자에서 흡연력 및 조발성 관상동맥질환 가족력을 얻어 85명 중 68명의 위험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85명 환자 중 52명이 의사로부터 고지혈증 관리에 관한 교육을 받았는지에 관한 전화 면접에 응답해 주었다.
결과: 위험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던 68명 중 49명(72.1%)에서 관상동맥질환 또는 당뇨병을 지니고 있었고, 53명(77.9%)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바람직하지 않은 LDL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이 2개 미만이면 ≥160 mg/dL, 위험요인이 2개 이상이면 ≥130 mg/dL, 관상동맥질환 또는 당뇨병이 있으면 ≥100 mg/dL)을 지니고 있었다. 위험요인을 고려하여 LDL이 바람직하지 않은 환자들 중 59.5%에서 의사로부터 교육을 받지 않았다고 응답한 반면에 LDL이 바람직한 환자들 중 40.0%에게 의사가 지질강하제를 처방하였다. 환자가 지닌 위험요인이 심각할수록 의사가 약물을 처방하는 경향이 있었으며(P=0.001), 환자가 약물을 처방받는 경우에 보다 빈번하게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P=0.049). 그러나 약물을 처방하기 전에 생활양식변화에 관한 교육 및 혈청 지질 검사를 재검사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고지혈증 환자를 관리하는 행태는 ATP III 치료지침서와 차이가 있었다. 고지혈증의 치료 지침서를 이행하는 데 장애가 되는 요인과 여기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대한가정의학회, "한국인의 평생건강관리: 고콜레스테롤혈증 초판." 서울:계축문화사 1995
2 대한가정의학회, "한국인의 평생건강관리: 고지혈증 개정판" 서울:계축문화사 261-278, 2003
3 서일, "특집 2/관상동맥질환-관상동맥질환의 역학" 45 (45): 851-859, 2002
4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 연보" 통계청 2002
5 유언호, "국가 고지혈증 치료지침 재정의 의의-배경" 39 (39): 577-580, 1996
6 김진규, "가 고지혈증 치료지침 재정의 의의-진단기준" 39 (39): 581-587, 1996
7 Cabana MD, "Why don't physicians follow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 framework for improvement" (282) : 1458-1465, 1999
8 Cook D, "The trials and tribulations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81) : 1950-1951, 1999
9 Jee SH, "Smoking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with low levels of serum cholesterol;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282 (282): 2149-2155, 1999
10 Ellrodt AG, "Measuring and improving physician compliance with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 controlled interventional trial" (122) : 277-282, 1995
1 대한가정의학회, "한국인의 평생건강관리: 고콜레스테롤혈증 초판." 서울:계축문화사 1995
2 대한가정의학회, "한국인의 평생건강관리: 고지혈증 개정판" 서울:계축문화사 261-278, 2003
3 서일, "특집 2/관상동맥질환-관상동맥질환의 역학" 45 (45): 851-859, 2002
4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 연보" 통계청 2002
5 유언호, "국가 고지혈증 치료지침 재정의 의의-배경" 39 (39): 577-580, 1996
6 김진규, "가 고지혈증 치료지침 재정의 의의-진단기준" 39 (39): 581-587, 1996
7 Cabana MD, "Why don't physicians follow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 framework for improvement" (282) : 1458-1465, 1999
8 Cook D, "The trials and tribulations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81) : 1950-1951, 1999
9 Jee SH, "Smoking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with low levels of serum cholesterol;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282 (282): 2149-2155, 1999
10 Ellrodt AG, "Measuring and improving physician compliance with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 controlled interventional trial" (122) : 277-282, 1995
11 Lloyd-Jones DM, "Lifetim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by cholesterol levels at selected ages" 163 (163): 1966-1972, 2003
12 Philbin EF, "How does lipid-lowering therapy rapidly reduce ischemic events?" (6) : 13-18, 1994
13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285) : 2486-2497, 2001
14 Levine GN, "Cholesterol reduction in cardiovascular disease. Clinical benefits and possible mechanisms" (332) : 512-521, 1995
15 Suh I, "Cardiovascular mortality in Korea: a country experiencing epidemiologic transition" 56 (56): 75-81, 2001
16 Hobbs FD, "Cardiovascular disease and lipids. Issues and evidence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aemia in primary care." 9 (9): 16-24, 2003
17 Grol R, "Attributes of clinical guidelines that influence use of guidelines in general practice: observational study" (317) : 858-861, 1998
18 Friday KE, "Aggressive lipid management for cardiovascular prevention: evidence from clinical trials" 228 (228): 769-778, 2003
가정의학과는 다른 진료과에 비해 양질의 일차의료를 제공하고 있는가?
가정의학 전문의와 암 전문의의 암성 통증 관리에 관한 지식과 태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2-09-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가정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2-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2 | 0.22 | 0.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4 | 0.26 | 0.54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