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처용무의 문화적 원형과 그 정신적 기질을 찾는다는 취지에서 그 춤사위의 儀式的 세계와 意識的 경지를 고찰함으로써 그 속에 담긴 생명미학의 강령을 모색하고자 한다. 처용무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처용무의 문화적 원형과 그 정신적 기질을 찾는다는 취지에서 그 춤사위의 儀式的 세계와 意識的 경지를 고찰함으로써 그 속에 담긴 생명미학의 강령을 모색하고자 한다. 처용무는 ...
본고는 처용무의 문화적 원형과 그 정신적 기질을 찾는다는 취지에서 그 춤사위의 儀式的 세계와 意識的 경지를 고찰함으로써 그 속에 담긴 생명미학의 강령을 모색하고자 한다. 처용무는 天人合一의 鳥瞰圖 속에 陰陽의 易學的 황금률에 따른 致中和의 원칙에서 접근될 수 있다. 특히 춤사위의 역동적 대형은 분화, 전개 및 통합의 양상을 지니는데 意象의 기호화와 意境의 관념화를 특징으로 한다. 전자에는 원형 → 일자형 → 십자형 → 동심원형 → 십자형 → 일자형 → 원형과 같은 儀式의 세계가 투영되는 반면에, 후자에는 인간의 존재론적 문제를 삶의 가치론적 염원으로 승화시킨 意識的 경지가 반영된다. 여기에는 생명정신의 열린 지평, 즉 天文의 不可逆的 질서의식을 人文의 可逆的 질서의식으로 확충하는 단계가 있다. 이는 神道와 藝道가 통합되는 지평으로서 생명미학의 精髓라고 말할만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the ceremonial world, conscious stage and life Aesthetics of exhausting zhong-ho in the Dance of Cheoyong according to a unity of heaven and man.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ife Aesthetics of zhong-he and i...
The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the ceremonial world, conscious stage and life Aesthetics of exhausting zhong-ho in the Dance of Cheoyong according to a unity of heaven and man.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ife Aesthetics of zhong-he and in the context of the ancient law of tian-yuan-di-fang. The principle of zhong-he is a clue to the objective law of heaven number, the subjective law of human sort and their relationship. The thinking way of changeology is developed into the metaphorical image to deduce the intuitive principle of life between heaven and earth. It is a unity of life and reality, namely, life of creativity and creativity of life. It reflects a network of Nature and human society. And the self-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concerning the order of the universe is escalated to the canon of value or the social ethics of the humanistic world. According to the life aesthetics, movements realize a stage of human virtue in the state of equilibrium and harmony. Thus, it is consequent that the archetype of movement has an integral reality of artistic way toward life spirit in the Dance of Cheoyong.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미연, "현행 처용무 ‘상대무(相對舞)·상배무(相背舞)’ 춤동작의 무용서사 연구" 대한무용학회 69 (69): 131-156, 2011
2 김용숙, "처용무의 동선과 형상에 대한 기호체계 연구" 5 : 2000
3 백재민, "처용무 연구사의 성과와 한계" 대한무용학회 71 (71): 111-146, 2013
4 "중용"
5 "주역"
6 김용, "오방처용무의 방색과 배위에 관한 연구 - 처용무의 원리와 사상" 10 : 8-, 1987
7 이해구,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1
8 艾蘭, "龜之謎-商代神話, 祭祀, 藝術和宇宙觀硏究" 商務印書館 2010
9 정화자, "陳暘 『樂書』의 樂論 硏究(4) - 禮記訓義」 중 「樂記」를 中心으로 -" 온지학회 (18) : 41-74, 2008
10 陳暘, "樂書"
1 최미연, "현행 처용무 ‘상대무(相對舞)·상배무(相背舞)’ 춤동작의 무용서사 연구" 대한무용학회 69 (69): 131-156, 2011
2 김용숙, "처용무의 동선과 형상에 대한 기호체계 연구" 5 : 2000
3 백재민, "처용무 연구사의 성과와 한계" 대한무용학회 71 (71): 111-146, 2013
4 "중용"
5 "주역"
6 김용, "오방처용무의 방색과 배위에 관한 연구 - 처용무의 원리와 사상" 10 : 8-, 1987
7 이해구,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1
8 艾蘭, "龜之謎-商代神話, 祭祀, 藝術和宇宙觀硏究" 商務印書館 2010
9 정화자, "陳暘 『樂書』의 樂論 硏究(4) - 禮記訓義」 중 「樂記」를 中心으로 -" 온지학회 (18) : 41-74, 2008
10 陳暘, "樂書"
11 董仲舒, "春秋繁露"
12 唐曉峰, "從混沌到秩序- 中國上古地理思想史述論" 中華書局 2010
13 김연재, "儒家의 殺身成仁觀과 生命美學의 경계 - 原始反終의 逆說을 중심으로" 한국공자학회 (34) : 5-44, 2018
14 董根洪, "儒家中和哲學槪論" 齊魯書舍 2001
15 이종숙, "五行으로 본 處容舞의 해석" 10 : 182-187, 1998
16 袁禾, "中國舞蹈美學" 人民 2011
17 吾淳, "中國哲學的起源" 上海人民 2010
18 김연재, "中原의 古都와 寰宇의 시공간적 세계: 天下秩序의 창조적 상상력"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3 (33): 115-150, 2018
19 이종숙, "『악학궤범』 처용무 작대(作隊)의 의미 조명" 한국사상사학회 (36) : 179-216, 2010
20 김지연, "‘처용’을 통해 본 한국 벽사전승의원형적 상징성 연구"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35 : 267-288, 2016
21 박은영, "The Realitg of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of
22 Yon Jae Kim, "Dong Zhong-shu’s World-view and the Unitary Boundary of Yin-xing and Yang-de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Zhong-he - Focusing on the Categories of Heaven Number and Human Sort" Institute of Korean Cultural Studies Yeungnam University 67 : 237-278, 2017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를 통한글쓰기 교육 방안 -전북대학교 글쓰기 워크숍 운영 현황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가리봉동의 경관을 통해 살펴본‘옌볜 조선족 타운’의 공간적 분리에 관한 연구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발언의 양상과 말하는 주체 -하이데거의 언어 철학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11-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9 | 0.49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5 | 0.871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