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스포츠산업의 지역적 현황과 정책지원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578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제주지역의 스포츠산업 현황을 검토하고, 행정기관의 지원의 필요성을 파악하며,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스포츠 환경의 개선 및 향후 스포츠산업의 발전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320매의 설문이 관련기관 근무자들에게 배포되었고, 이 중 312매가 분석에 이용되었는데, 사회과학 통계패키지인 SPSS (Ver.15.0)에 의한 빈도, 신뢰도,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평균을 이용한 IPA분석 등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이 스포츠이벤트 개최지로써 환경요인이 관광지/문화시설, 숙박/식음료시설, 교통의 편리성, 주민의 친절성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가 나타났으며 특히 자연경관/기후 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이벤트를 통하여 홍보/이미지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관광/문화발전, 지역스포츠 발전 등의 순으로 기대효과가 조사되어 스포츠이벤트 개최로 제주브랜드/이미지 홍보 및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관광/문화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관련산업의 필요성 순위는 스포츠서비스업, 스포츠시설업, 스포츠용품업 순으로 조사되어 스포츠마케팅, 체육도장, 수영장, 스포츠장비업 등 관련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중점 육성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지역에 적합한 스포츠 유형과 관련해서는 전지훈련, 골프관광, 국내·외 스포츠 경기개최, 해양스포츠, 산악스포츠 등의 순으로 조사되어 온화한 기후, 천혜의 자연경관, 세계자연유산, 국제적 관광지 등의 제주의 자연조건과 환경에 맞는 스포츠 종목이 선택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행정기관의 정책적 지원은 전지훈련 유치 및 운영 극대화, 스포츠시설 확충, 국내·외 대회 유치 등의 순으로 조사되어 전지훈련 유치를 위한 마케팅 활동과 운영에 적극적인 지원, 노후한 시설의 보완 및 확충, 규모 있는 국내·외 대회 유치를 위한 행정기관의 행·재정지원 등 적극적 정책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제주지역 자연환경에 적합한 대표스포츠는 골프, 승마, 트라이애슬론의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자연경관과 잘 어우러진 26개의 골프장과 초원, 바다와 산간지역, 정비된 도로 등 지역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스포츠로 조사됐으며, 요트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향후 해양스포츠에 대한 발전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지역내 우선 투자분야로는 스포츠시설 건설, 스포츠관광 개발, 스포츠산업 전문 양성시스템 등의 순이며, 이를 위해 기능이 저하되고 노후한 시설의 보완 및 확충을 위해 스포츠복합단지가 필요하며, 스포츠이벤트와 휴양과 관광 등을 할 수 있는 스포츠관광 상품개발이 필요하고, 산·학·관이 참여하는 스포츠산업 전문인력양성시스템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여덟째, 스포츠산업연구소의 설치, 스포츠외교 인력의 육성, 스포츠국제기구의 유치, 의료산업과 연계한 스포츠재활병원시설의 유치가 필요하며, 스포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성장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제주지역의 스포츠산업 현황을 검토하고, 행정기관의 지원의 필요성을 파악하며,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스포츠 환경의 개선 및 향후 스포츠산업의 발전방향을 제안하...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제주지역의 스포츠산업 현황을 검토하고, 행정기관의 지원의 필요성을 파악하며,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스포츠 환경의 개선 및 향후 스포츠산업의 발전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320매의 설문이 관련기관 근무자들에게 배포되었고, 이 중 312매가 분석에 이용되었는데, 사회과학 통계패키지인 SPSS (Ver.15.0)에 의한 빈도, 신뢰도,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평균을 이용한 IPA분석 등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이 스포츠이벤트 개최지로써 환경요인이 관광지/문화시설, 숙박/식음료시설, 교통의 편리성, 주민의 친절성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가 나타났으며 특히 자연경관/기후 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이벤트를 통하여 홍보/이미지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관광/문화발전, 지역스포츠 발전 등의 순으로 기대효과가 조사되어 스포츠이벤트 개최로 제주브랜드/이미지 홍보 및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관광/문화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관련산업의 필요성 순위는 스포츠서비스업, 스포츠시설업, 스포츠용품업 순으로 조사되어 스포츠마케팅, 체육도장, 수영장, 스포츠장비업 등 관련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중점 육성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지역에 적합한 스포츠 유형과 관련해서는 전지훈련, 골프관광, 국내·외 스포츠 경기개최, 해양스포츠, 산악스포츠 등의 순으로 조사되어 온화한 기후, 천혜의 자연경관, 세계자연유산, 국제적 관광지 등의 제주의 자연조건과 환경에 맞는 스포츠 종목이 선택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행정기관의 정책적 지원은 전지훈련 유치 및 운영 극대화, 스포츠시설 확충, 국내·외 대회 유치 등의 순으로 조사되어 전지훈련 유치를 위한 마케팅 활동과 운영에 적극적인 지원, 노후한 시설의 보완 및 확충, 규모 있는 국내·외 대회 유치를 위한 행정기관의 행·재정지원 등 적극적 정책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제주지역 자연환경에 적합한 대표스포츠는 골프, 승마, 트라이애슬론의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자연경관과 잘 어우러진 26개의 골프장과 초원, 바다와 산간지역, 정비된 도로 등 지역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스포츠로 조사됐으며, 요트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향후 해양스포츠에 대한 발전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지역내 우선 투자분야로는 스포츠시설 건설, 스포츠관광 개발, 스포츠산업 전문 양성시스템 등의 순이며, 이를 위해 기능이 저하되고 노후한 시설의 보완 및 확충을 위해 스포츠복합단지가 필요하며, 스포츠이벤트와 휴양과 관광 등을 할 수 있는 스포츠관광 상품개발이 필요하고, 산·학·관이 참여하는 스포츠산업 전문인력양성시스템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여덟째, 스포츠산업연구소의 설치, 스포츠외교 인력의 육성, 스포츠국제기구의 유치, 의료산업과 연계한 스포츠재활병원시설의 유치가 필요하며, 스포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성장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conditions of sport industry in Jeju,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support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o consider the improvement of sport environment for sport event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sport development.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nvironmental factors to hold sport events such as natural scenery and climate, tourist and cultural facilities, accomodations and F&B facilities are rated positively.
      2. Sport events heighten the PR effect of the region and they also contribute to brand image of the region and revitalizing local economics.
      3. Respondents are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necessity of sport service, sport facility and sport supplies. The sports-related fields such as sport marketing, exercise halls, swimming pool, sport equipment should be developed in priority.
      4. Off-season training, golf tour, sport events, marine sports, and mountain sports were reported in the order of rank as the appropriate sports for the region.
      5. Attracting off-season training and efficient operating, expanding and improving the sports facilities, attracting domestic and foreign tournament were surveyed in the order of rank and they need positive policy supports by government.
      6. Some of the suitable sports for Jeju environment were golf, horse riding and triathlon in the order of rank in the survey. Yacht should also considered as one of important marine sports.
      7. The survey showed that the parts regarding sport industry of the priority order to invest were building sport facilities, developing sports tourism, training system for sport industry exper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conditions of sport industry in Jeju,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support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o consider the improvement of sport environment for sport event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sport d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conditions of sport industry in Jeju,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support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o consider the improvement of sport environment for sport event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sport development.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nvironmental factors to hold sport events such as natural scenery and climate, tourist and cultural facilities, accomodations and F&B facilities are rated positively.
      2. Sport events heighten the PR effect of the region and they also contribute to brand image of the region and revitalizing local economics.
      3. Respondents are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necessity of sport service, sport facility and sport supplies. The sports-related fields such as sport marketing, exercise halls, swimming pool, sport equipment should be developed in priority.
      4. Off-season training, golf tour, sport events, marine sports, and mountain sports were reported in the order of rank as the appropriate sports for the region.
      5. Attracting off-season training and efficient operating, expanding and improving the sports facilities, attracting domestic and foreign tournament were surveyed in the order of rank and they need positive policy supports by government.
      6. Some of the suitable sports for Jeju environment were golf, horse riding and triathlon in the order of rank in the survey. Yacht should also considered as one of important marine sports.
      7. The survey showed that the parts regarding sport industry of the priority order to invest were building sport facilities, developing sports tourism, training system for sport industry exper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3.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3
      • 4. 연구의 제한점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3.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3
      • 4. 연구의 제한점 4
      • 5. 용어의 정의 4
      • 1) 스포츠이벤트 개최환경 4
      • 2) 스포츠이벤트의 기대효과 4
      • 3) 스포츠 관련산업의 필요성 5
      • 4) 스포츠이벤트 유형 5
      • 5) 행정기관의 정책적 지원 5
      • Ⅱ. 제주특별자치도 스포츠산업 현황 고찰 6
      • 1. 제주특별자치도 스포츠산업 환경 6
      • 1) 제주경제 현황 6
      • 2) 파급효과 9
      • 3) 스포츠산업의 여건 11
      • 2. 제주특별자치도의 스포츠대회 개최현황 12
      • 1) 국제대회 13
      • 2) 국내대회 14
      • 3) 골프 이용객 15
      • 4) 전지훈련 16
      • Ⅲ. 연구방법 18
      • 1.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18
      • 2. 조사도구 18
      • 1) 조사도구의 구성내용 18
      • 2) 인구통계학적 특성 19
      • 3) 조사도구의 신뢰도 21
      • 3. 조사절차 21
      •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3
      • 1. 연구결과 23
      • 1) 스포츠이벤트 개최환경 23
      • 2) 스포츠이벤트 기대효과 27
      • 3) 스포츠 관련산업의 필요성 28
      • 4) 지역적합 스포츠 유형 30
      • 5) 행정기관의 정책적 지원 34
      • 6) 대표스포츠 육성종목 40
      • 7) 지역내 우선투자분야 41
      • 2. 논의 43
      • 1) 스포츠이벤트의 개최환경 43
      • 2)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기대효과 44
      • 3) 스포츠 관련산업의 필요성 44
      • 4) 지역적합 스포츠이벤트 유형 및 대표적 스포츠 45
      • 5) 행정기관의 정책적 지원 및 스포츠산업 우선투자 분야 46
      • 6) 스포츠외교인력 등의 육성 48
      • Ⅴ. 결론 49
      • 참고문헌 51
      • 설문지 53
      • Abstract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