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기요양등급 인정노인의 우울여부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거주 경증노인을 중심으로 = Study on depression of qualified older adults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Focusing on mild-level older adults living in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38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기요양등급 인정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고자 한다. 우울영향요인으로는 장기요양등급 인정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기요양등급 인정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고자 한다. 우울영향요인으로는 장기요양등급 인정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특성, 그리고 돌봄특성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인이 직접 응답한 사례만을 추출한 경우 사례수가 많지 않은 1등급과 2등급 인정노인은 중증노인의 특성을 대표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3등급부터 5등급의 경증노인 265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 거주하고 있는 장기요양등급 인정노인(3~5등급)의 60.8%가 우울이 의심되는 우울고위험군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울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독거여부, 월평균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영양상태, 그리고 돌봄의 충분성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보다는 비독거노인이 우울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영양상태가 양호상태인 노인보다는 영양위험 상태일수록, 그리고 돌봄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인식할수록 우울고위험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who have been approved to receive long-term care services. The factors influencing on depression consisted of three parts: the soc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who have been approved to receive long-term care services. The factors influencing on depression consisted of three parts: the sociodemographic, health, and caring characteristics. The data obtained from the National Survey for Older Adults in 2017 which were based on face-to face interviews of people aged over 65. Only the cases which older adults responded directly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the number of 1st and 2nd grade cases was relatively small and it had limitations in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verely elderly. So, this study excluded cases belonging in 1st and 2nd grade. Therefore, the data of 265 mild-level elderly people of grade 3 to 5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60.8% of elderly people (grade 3~5) who lived in the community was in a high risk of depression. This present study concluded that elderly persons living with others were more likely to be depressed than living alone. Also,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among elderly persons with lower monthly household income, lower subjective health status, lower nutrition status, and insufficient ca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strategies to improve mental health of older people qualified long-term care services in the community are discuss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