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권자의 소득계층에 대한 인식이 정치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는 제21대 총선과 제20대 대선, 그리고 제8회 지방선거를 통해 소득별 투표 참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67288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1-327(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권자의 소득계층에 대한 인식이 정치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는 제21대 총선과 제20대 대선, 그리고 제8회 지방선거를 통해 소득별 투표 참여...
본 연구는 유권자의 소득계층에 대한 인식이 정치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는 제21대 총선과 제20대 대선, 그리고 제8회 지방선거를 통해 소득별 투표 참여도를 확인하였다. 추가로, 여성가족부와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조사한 소득별 정치참여 유형을 토대로 비선거적 정치참여 유형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에서 투표 참여율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인터넷 활동의 경우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에서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기존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치지식이 높은 집단은 정치 참여율이 높고, 정치지식이 높을수록 계급배반투표가 발생한다고 가정했을 때, 저소득층에서 정치지식이 높은 집단은 투표를 통해 정치에 참여하며, 선거에서 소득계층에 반대되는 투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반대로 고소득층에서 정치지식이 높은 집단은 인터넷을 통해 정치에 참여하며, SNS, 블로그와 같은 온라인 매체를 통해 소득계층에 반대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정치지식이 높은 유권자들은 자신의 계급에 국한되어 투표하지 않고, 자신에게 필요한 정당에 투표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즉, 정당들이 좋은 정책을 냈을 때 정치지식이 높은 유권자들이 높은 정치참여도를 바탕으로 본인의 지지 정당에 영향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voters' perception of their income cla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data from the 21st general electio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8th local elections, it was found that lower-incom...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voters' perception of their income cla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data from the 21st general electio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8th local elections, it was found that lower-income groups are more actively involved in voting than higher-income groups, while higher-income groups are more active in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the internet. Furthermore, voters with high political knowledge tend to vote beyond their class, suggesting that informed political participation can transcend class interests. Ultimately, the study concludes that voters with high political knowledge have the potential to influence parties that present good policies, regardless of their income class. This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that voters with high political knowledge can exert influence on their preferred parties.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내재적·외재적 전공선택동기가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남북한 공영방송국의 ‘날씨방송’ 영상 비교·분석 : KBS와 조선중앙TV의 날씨방송을 중심으로
지역 문화예술공연장 규모에 따른 서비스품질, 관람만족 비교 연구 : 광주·전남권 문화예술공연장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