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 극장 장소성과 극장문화: 1950~1960년대 인천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33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화 수용의 지역성을 살피기 위해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인천 지역 극장의 장소성과 극장문화를 연구하였다. 장소성은 사회 구성원이 자신의 생활세계에서 다양한 활동을 벌이는 가운데 특정의 장소에 고유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 인천은 1883년 개항 이래 이질적이고 혼종적인 문화를 수용하였으며, 1895년 한국 최초로 애관극장을 개관하였다. 인천은 대단위 화교(華僑) 집단과 한국전쟁이후(이후 ‘전후’) 월남민 형성 그리고 미군부대 주둔으로 인한 대규모 기지촌이 형성된 지역이다. 또한 1960년대 이래 한국노동 운동의 메카(mecca)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전후 인천 사회 극장문화 양상을 살피고, 영화와 극장이 지역민이자 관객에게 지닌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한국영상자료원 발간 자료집과 인천학연구소에서 발간한 문헌자료를 분석하고 재구성하였으며, 영사기사 등 극장 운영 관련자와 지역 문화원 종사자의 구술 증언(oral testimony) 분석하였다. 또한 극장이 자리한 지역의 생생한 현장성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 답사(field work) 등을 실시하였다.
      잠정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 극장 숫자는 1950년대 중반이 되면서 늘어났고 극장의 소재도 인천 중심지 중구에서 동구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1945년 해방 직후와 달리, 영화 상영이 지속되면서 일상생활 경험의 일부로서 영화 관람이 정착된 것을 알 수 있다. 1950년대 중반 지역 극장의 주요 상영 프로그램은 외화가 절대적으로 많았다. 미공보원의 지원을 받은 문화원 역시 외화를 적극적으로 상영하여 한 해 64편에 이르렀다.
      둘째, 인천은 극장 관주들 간 경쟁이 치열하였다. 구역별 극장마다 특색이 있어서, 1950년대 중반 연극을 무대에 올렸던 애관극장은 1960년대 한국영화 증흥 기간 한국영화를 주로 상영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천의 극장은 구역별 지역민/관객의 생활세계의 경험을 반영하는 특성을 보였다. 인천의 중심 지역 중구 애관극장은 시기별 극장의 다양한 변화 모습을 보여주었다. 중구는 도시 빈민과 기지촌이 형성된 지역으로 이들이 극장 관객의 다수를 차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화 수용의 지역성을 살피기 위해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인천 지역 극장의 장소성과 극장문화를 연구하였다. 장소성은 사회 구성원이 자신의 생활세계에서 다양한 활동을 벌...

      본 연구는 영화 수용의 지역성을 살피기 위해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인천 지역 극장의 장소성과 극장문화를 연구하였다. 장소성은 사회 구성원이 자신의 생활세계에서 다양한 활동을 벌이는 가운데 특정의 장소에 고유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 인천은 1883년 개항 이래 이질적이고 혼종적인 문화를 수용하였으며, 1895년 한국 최초로 애관극장을 개관하였다. 인천은 대단위 화교(華僑) 집단과 한국전쟁이후(이후 ‘전후’) 월남민 형성 그리고 미군부대 주둔으로 인한 대규모 기지촌이 형성된 지역이다. 또한 1960년대 이래 한국노동 운동의 메카(mecca)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전후 인천 사회 극장문화 양상을 살피고, 영화와 극장이 지역민이자 관객에게 지닌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한국영상자료원 발간 자료집과 인천학연구소에서 발간한 문헌자료를 분석하고 재구성하였으며, 영사기사 등 극장 운영 관련자와 지역 문화원 종사자의 구술 증언(oral testimony) 분석하였다. 또한 극장이 자리한 지역의 생생한 현장성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 답사(field work) 등을 실시하였다.
      잠정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 극장 숫자는 1950년대 중반이 되면서 늘어났고 극장의 소재도 인천 중심지 중구에서 동구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1945년 해방 직후와 달리, 영화 상영이 지속되면서 일상생활 경험의 일부로서 영화 관람이 정착된 것을 알 수 있다. 1950년대 중반 지역 극장의 주요 상영 프로그램은 외화가 절대적으로 많았다. 미공보원의 지원을 받은 문화원 역시 외화를 적극적으로 상영하여 한 해 64편에 이르렀다.
      둘째, 인천은 극장 관주들 간 경쟁이 치열하였다. 구역별 극장마다 특색이 있어서, 1950년대 중반 연극을 무대에 올렸던 애관극장은 1960년대 한국영화 증흥 기간 한국영화를 주로 상영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천의 극장은 구역별 지역민/관객의 생활세계의 경험을 반영하는 특성을 보였다. 인천의 중심 지역 중구 애관극장은 시기별 극장의 다양한 변화 모습을 보여주었다. 중구는 도시 빈민과 기지촌이 형성된 지역으로 이들이 극장 관객의 다수를 차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laceness and Cultural Landscape of Movie Theaters
      : The Case of the City of Incheon in the 1950s-1960s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ity of the placeness of movie theaters in the western Korean city of Incheon during the Post-Korean War period from the 1950s to the 1960s. The terminology of the 'placeness' signifies the values and meanings of the specific locations produced by the sociocultural activities of ordinary people.
      In a scholarly exploration of the cinema history,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that is related to the practices of film exhibitions and viewing at a specific time period.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ree dimensions of the placeness of movie theaters to demonstrate the historicity of film reception: the location of movies theaters in relation to administrative boundaries, the functions and roles of movie theaters in relation to local residents (including culturally diverse war victims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cinema-going experiences of the local inhabitants.
      Part of the study includes an analysis based on written documents published by a film studies organization, oral testimonies from people involved in the movie theaters in the city, and the Incheon daily newspapers.
      This study makes s
      번역하기

      The Placeness and Cultural Landscape of Movie Theaters : The Case of the City of Incheon in the 1950s-1960s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ity of the placeness of movie theaters in the western Korean city of Incheon during the Post-Korean War per...

      The Placeness and Cultural Landscape of Movie Theaters
      : The Case of the City of Incheon in the 1950s-1960s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ity of the placeness of movie theaters in the western Korean city of Incheon during the Post-Korean War period from the 1950s to the 1960s. The terminology of the 'placeness' signifies the values and meanings of the specific locations produced by the sociocultural activities of ordinary people.
      In a scholarly exploration of the cinema history,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that is related to the practices of film exhibitions and viewing at a specific time period.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ree dimensions of the placeness of movie theaters to demonstrate the historicity of film reception: the location of movies theaters in relation to administrative boundaries, the functions and roles of movie theaters in relation to local residents (including culturally diverse war victims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cinema-going experiences of the local inhabitants.
      Part of the study includes an analysis based on written documents published by a film studies organization, oral testimonies from people involved in the movie theaters in the city, and the Incheon daily newspapers.
      This study makes 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