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ㆍ가정양립의 관점에서 본 유연근무제: 전략적 선택인가, 젠더 함정인가? = The Effects of Flexible Working on the Working Parent’s Work-Life Balance: Strategic Choice or Gender Tra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44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취업부모의 일ㆍ가정양립의 관점에서 유연근무제의 효과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재택근무와 원격근무를 이용하고 있는 취업부모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이들의 유연근무제 이용경험, 유연근무제에 대한 평가, 유연근무제 이용으로 인한 긍정적, 부정적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유연근무제의 이용경험은 일하는 여성의 취업중단의 위기를 극복하고 일과 자녀양육을 양립할 수 있게 하는 “전략적 선택”임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가족내 성별역할 분업을 강화하고, 직장내 불이익을 감수하게 하는 “젠더 함정”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남성의 경우에는 유연근무제 이용에 따른 일ㆍ가정양립의 완화효과나 가족생활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오히려 직장내 불이익의 문제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연근무제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는 유연근무제 사용으로 인한 고용상의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는 제반 조치를 마련하고, 유연근무제를 남녀가 함께 사용하여 젠더차이를 줄이는 것과, 가족 내에서도 남녀 간의 평등한 역할분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한 전제조건으로 요구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취업부모의 일ㆍ가정양립의 관점에서 유연근무제의 효과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재택근무와 원격근무를 이용하고 있는 취업부모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

      이 글은 취업부모의 일ㆍ가정양립의 관점에서 유연근무제의 효과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재택근무와 원격근무를 이용하고 있는 취업부모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이들의 유연근무제 이용경험, 유연근무제에 대한 평가, 유연근무제 이용으로 인한 긍정적, 부정적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유연근무제의 이용경험은 일하는 여성의 취업중단의 위기를 극복하고 일과 자녀양육을 양립할 수 있게 하는 “전략적 선택”임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가족내 성별역할 분업을 강화하고, 직장내 불이익을 감수하게 하는 “젠더 함정”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남성의 경우에는 유연근무제 이용에 따른 일ㆍ가정양립의 완화효과나 가족생활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오히려 직장내 불이익의 문제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연근무제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는 유연근무제 사용으로 인한 고용상의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는 제반 조치를 마련하고, 유연근무제를 남녀가 함께 사용하여 젠더차이를 줄이는 것과, 가족 내에서도 남녀 간의 평등한 역할분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한 전제조건으로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Flexible Working on the working parents’ work-life balance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policy development. Based on the experiences of 15 working parents who are using flexible working (Telework and Remote working), I analysed what kinds of changes the flexible working had brought to their WLB. The experiences of using the flexible working show double-edged results. they chose it to benefit from the flexible working as part of ‘strategic choice’ to balance work and family life. But, at the same time, they also had to bear the risk of ‘gender trap’ which strengthen the gender division of labour in the family and fall to the less decent jobs in the labour marke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suggest some policy suggestions; strengthening systematic and policy foundations of the flexible working, encouraging the shared using of flexible working, between genders, and transform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ur in the family.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Flexible Working on the working parents’ work-life balance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policy development. Based on the experiences of 15 working parents who are using flexible working (Telework a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Flexible Working on the working parents’ work-life balance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policy development. Based on the experiences of 15 working parents who are using flexible working (Telework and Remote working), I analysed what kinds of changes the flexible working had brought to their WLB. The experiences of using the flexible working show double-edged results. they chose it to benefit from the flexible working as part of ‘strategic choice’ to balance work and family life. But, at the same time, they also had to bear the risk of ‘gender trap’ which strengthen the gender division of labour in the family and fall to the less decent jobs in the labour marke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suggest some policy suggestions; strengthening systematic and policy foundations of the flexible working, encouraging the shared using of flexible working, between genders, and transform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ur in the fami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방법 및 연구참여자 특성
      • Ⅳ. 분석 결과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방법 및 연구참여자 특성
      • Ⅳ. 분석 결과
      • Ⅴ. 논의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수미,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한국사회학회 36 (36): 6-29, 2002

      2 대한민국정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2011

      3 대한민국정부,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2005

      4 김진욱, "일-가족 시간배분에 따른 가구유형과 변화-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31-54, 2012

      5 홍승아, "유연근무제와 가족생활의 변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6 김영옥, "여성의 동태적 노동공급 - 취업연속성과 첫 노동시장 퇴출행태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5 (25): 5-40, 2002

      7 통계청, "사회조사" 2009

      8 Gurstein, P., "Working at home and living at home : emerging scenarios" 8 (8): 164-180, 1991

      9 Hogarth, T., "Work-Life Balance 2000 : Summary report" Institute for Employment Research 2000

      10 Hill, E. J., "Work and family in the virtual office: percieved influences of mobile telework" 45 (45): 293-301, 1996

      1 박수미,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한국사회학회 36 (36): 6-29, 2002

      2 대한민국정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2011

      3 대한민국정부,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2005

      4 김진욱, "일-가족 시간배분에 따른 가구유형과 변화-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31-54, 2012

      5 홍승아, "유연근무제와 가족생활의 변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6 김영옥, "여성의 동태적 노동공급 - 취업연속성과 첫 노동시장 퇴출행태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5 (25): 5-40, 2002

      7 통계청, "사회조사" 2009

      8 Gurstein, P., "Working at home and living at home : emerging scenarios" 8 (8): 164-180, 1991

      9 Hogarth, T., "Work-Life Balance 2000 : Summary report" Institute for Employment Research 2000

      10 Hill, E. J., "Work and family in the virtual office: percieved influences of mobile telework" 45 (45): 293-301, 1996

      11 Figart, D., "Work Time Regime in Europe : Can Flexibility and Gender Equity Coexist?" 34 (34): 847-871, 2001

      12 Shockley, K. M., "When flexibility helps : Another look at the availability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work-family conflict" 71 : 479-493, 2007

      13 Haddon, L., "Teleworking in the 1990s : A View from the Home"

      14 Silver, H., "Telework : an illusive concept or a definition of convenience?" 31 : 43-57, 1993

      15 Galinsky, E., "Status report on Workplace Flexibility: Who has it? who wants it?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Families and Work Institute 2004

      16 Felstead, A., "Managerial Control of Employees Working at Home" 41 (41): 241-264, 2003

      17 Eaton, C. E., "If You Can Use Them: Flexibility Polici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42 (42): 145-167, 2003

      18 Sullivan, C., "Home-based Telework. Gender. and the Synchronization of Work and Family : Perspectives of Teleworkers and their Co-residents" 8 (8): 123-145, 2001

      19 Edwards, L., "Home-Based Work and Women's Labor Force Decisions" 20 (20): 170-200, 2002

      20 Papalexandres, N., "Flexible working patterns : towards reconciliation of family and work" 19 (19): 581-595, 1997

      21 Cooper, C., "Flexible futures : Flexible working and work-life integration" Centre for Business Performance 2001

      22 Stavrou, E. T., "Flexible Work Bundles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A Cross-national Study of the European Work Context" 26 : 923-947, 2005

      23 OECD, "Employment Outlook" OECD 2011

      24 Kauffeld, S., "Effects of a flexible work-time design on employee-and company-related aims" 13 (13): 79-100, 2007

      25 Smithson, J., "Discourses of Work-Life Balance : Negotiating 'Genderblind' Terms in Organizations" 12 (12): 147-168,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41 1.78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