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연결망의 동원이 장애인의 취업과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 = Types of Social Networks and Their Effects on Employment and Wage among the Disabl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222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 실업자의 어떤 구직 노력이 취업 확률을 높이는지, 취업 장애인의 경우 어떤 취업경로가 더 높은 임금과 연결되는지를 사회적 연결망의 유형별 효과에 초점을 두고 살펴 ...

      본 연구는 장애인 실업자의 어떤 구직 노력이 취업 확률을 높이는지, 취업 장애인의 경우 어떤 취업경로가 더 높은 임금과 연결되는지를 사회적 연결망의 유형별 효과에 초점을 두고 살펴 보았다. 사회적 연결망의 유형을 크게 친밀 연결망과 지인 연결망으로 구분하고, 전자는 결속된 연결망 구조를 바탕으로 하는 후원효과를 통해 취업에, 후자는 열린 구조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효과를 통해 임금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결과 2008년 1차부터 2011년 4차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해 종단분석한 결과, 구직자의 취업 여부에는 사회적 연결망의 효과가 미미했고, 취업자의 임금 수준에는 기대한대로 후원 효과보다는 정보 효과가 나타났다. 상술하자면, 취업여부에는 친밀 연결망과 지인 연결망 모두 효과가 유의하지 않고 주로 장애등급의 효과가 압도적이었으며, 취업자의 경우 가족, 친척, 선후배 등 친밀 연결망의 소개를 통해 취업한 경우보다 업무상 지인 연결망을 통해 취업한 경우가 임금 수준이 높앗다. 결과적으로 장애인이 많이 동원하는 친밀 연결망은 취업과 임금수준 모두에서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더불어, 학교 추천을 통해 특별 채용이나 일반 채용으로 취업하는 경우가 장애인 구분 채용이나 비공식적 채용으로 취업하는 경우보다 높은 임금 수준을 보인 반면, 공공 및 민간 취업알선기간은 취업이나 임금에 별다른 효과를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의 사회적 연결망의 폭을 넓히고 학교 역할의 확대를 통해 장애인 의무고용을 넘어서는 취업기회를 확보하는 정책이 추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dentify effective types of social networks for employment and wage in the labor market for the disabled. We divide two types of social networks: close networks that have the patronage advantage and acquaintances networks that have ...

      This paper aims to identify effective types of social networks for employment and wage in the labor market for the disabled. We divide two types of social networks: close networks that have the patronage advantage and acquaintances networks that have infromation advantage. We expect that close networks help employment and acquaintances networks improve the wage level.
      We analyze the first to the forth waves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covering years from 2008 to 2011. Given their disadvantages in the job market, the disabled tend to overwhelmingly mobilize close networks in the job market. Our analysis, however, found that neither type of social networks has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but acquaintances networks significantly improve the wage level for disabled employees. We also found that general recruitments through school recommendation show higher wage than the quota-employment for the disabled which is imposed and supported by government.
      Therefore, policy efforts should be reoriented toward extending acquaintances networks and broadening the roles of school beyond quota-employment for the disabl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인창, "취업장애인의 일자리 탐색방법과 취업성과 비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2 김성훈, "취업자의 사회 연결망 활용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한국노동경제학회 26 (26): 209-230, 2003

      3 조민수,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 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11 : 141-157, 2009

      4 임수정, "장애인근로자의 삶의 만족 요인에 관한 인과관계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115-142, 2011

      5 황수경, "장애인-비장애인의 취업확률 격차와 장애효과" 3 (3): 141-169, 2003

      6 김용탁, "장애인 취업자의 취업경로 분석: 사회연결망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5-26, 2011

      7 류정진, "장애인 취업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40 (40): 167-193, 2006

      8 강동욱, "장애인 취업·임금차별에 관한 계량적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121-144, 2004

      9 고용 노동부, "장애인 의무고용 현황" 2012

      10 정한나, "장애인 성별임금 격차에 관한 실증분석 : 장애인고용패널을 이용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229-250, 2010

      1 황인창, "취업장애인의 일자리 탐색방법과 취업성과 비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2 김성훈, "취업자의 사회 연결망 활용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한국노동경제학회 26 (26): 209-230, 2003

      3 조민수,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 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11 : 141-157, 2009

      4 임수정, "장애인근로자의 삶의 만족 요인에 관한 인과관계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115-142, 2011

      5 황수경, "장애인-비장애인의 취업확률 격차와 장애효과" 3 (3): 141-169, 2003

      6 김용탁, "장애인 취업자의 취업경로 분석: 사회연결망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5-26, 2011

      7 류정진, "장애인 취업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40 (40): 167-193, 2006

      8 강동욱, "장애인 취업·임금차별에 관한 계량적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121-144, 2004

      9 고용 노동부, "장애인 의무고용 현황" 2012

      10 정한나, "장애인 성별임금 격차에 관한 실증분석 : 장애인고용패널을 이용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229-250, 2010

      11 이요행, "장애인 구인․구직 및 취업현황 분석과 직업재활의 과제" 한국직업재활학회 20 (20): 257-276, 2010

      12 조우현, "노동경제학: 이론과 개혁정책" 법문사 1998

      13 이병훈, "구직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동경제학회 25 (25): 1-21, 2002

      14 오성욱, "구직 경로별 이용자특성 비교 분석" 한국고용연구원 2010

      15 Granovetter, Mark S., "The strength of weak ties: A network theory revisited,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sage 1983

      16 Granovetter, Mark S., "The strength of weak ties" (78) : 1360-1380, 1973

      17 Burt, Ronald S.,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18 Coleman, James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94) : S95-S120, 1988

      19 Marsden, Peter V., "Interpersonal ties, social capital, and employer staffing practices. Social Capital: Theory and Research" Aldine de Gruyter 2001

      20 Portes, Alejandro, "Embeddedness and Immigration: notes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economic-action" (98) : 1320-1350, 1993

      21 Granovetter, Mark S., "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 (94) : 481-510, 1985

      22 Lin, Nan, "Access to occupations through social ties" (8) : 365-385, 1986

      23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8년 사업체 장애인고용 실태조사"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영문명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8-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isability & employment -> Disability & Employment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장애인고용 -> 장애와 고용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3 1.85 2.252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