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크 건축과 미술에 적용된 공간에 대한 표현은 기본적으로 전시대인 르네상스의 투시법과 개념적인 차이가 있다. 르네상스의 투시법이 공간체계의 시각적 상상력을 창출했다면 바로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바로크 건축과 미술에 적용된 공간에 대한 표현은 기본적으로 전시대인 르네상스의 투시법과 개념적인 차이가 있다. 르네상스의 투시법이 공간체계의 시각적 상상력을 창출했다면 바로크...
바로크 건축과 미술에 적용된 공간에 대한 표현은 기본적으로 전시대인 르네상스의 투시법과 개념적인 차이가 있다. 르네상스의 투시법이 공간체계의 시각적 상상력을 창출했다면 바로크는 ‘왜상(anamorphosis)’이라는 변칙적 투시법을 통해서 공간을 착시적인 현상으로 변화시켰다.
본 연구는 바로크 공간의 이러한 착시적 조형성을 분석하고 개념적으로 응용함으로서 공간이라는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이론적 토대를 갖추기 위함이다. 바로크 공간의 착시적인 유형을 조형적으로 분류해보면 ‘왜상과 과장투시’, ‘중첩과 반복’, ‘운동과 연속’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를 게슈탈트 시지각이론으로 분석해보면 주관적이고비가시적인 구축 요소로서 심상작용에 다양한 조형 언어적 의미를 생성시키고 그 응용적 결과를 확대시킬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하우 2018
2 임석진,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9
3 질 들뢰즈, "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 문학과지성사 2004
4 이정우, "접힘과 펼쳐짐" 거름 2000
5 Solso, Robert L., "시각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0
6 최병진, "바로크 시대 원근법의 새로운 사용 방식: 트리니타 데이 몬티 수도원의 왜상" 서양미술사학회 (53) : 7-29, 2020
7 하인리히 뵐플린, "미술사의 기초개념" 시공아트 2004
8 Houser, Arnold,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근세)" 창작과 비평사 1980
9 박다은, "르네상스의 원근법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 배선복, "라이프니츠의 바로크 기획과 동서 비교 철학" 한국 학술 정보 2012
1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하우 2018
2 임석진,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9
3 질 들뢰즈, "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 문학과지성사 2004
4 이정우, "접힘과 펼쳐짐" 거름 2000
5 Solso, Robert L., "시각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0
6 최병진, "바로크 시대 원근법의 새로운 사용 방식: 트리니타 데이 몬티 수도원의 왜상" 서양미술사학회 (53) : 7-29, 2020
7 하인리히 뵐플린, "미술사의 기초개념" 시공아트 2004
8 Houser, Arnold,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근세)" 창작과 비평사 1980
9 박다은, "르네상스의 원근법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 배선복, "라이프니츠의 바로크 기획과 동서 비교 철학" 한국 학술 정보 2012
11 오병권, "디자인과 이미지 질서" 이화여대 출판부 1999
12 이종우, "기하학의 역사적 배경과 발달" 경문사 1998
13 엄태수, "공간디자인에서 착시현상에 의한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3
14 Cabanne, Pierre, "고전주의와 바로크" 생각의 나무 2004
15 Norberg-Schulz, Christian, "건축의 의미와 장소성" Spacetime 2000
16 Gordon, Ian E., "Theorise of Visual Perception" Psychology Press 2004
17 Kenny, A., "The Rise of Modern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8 Egon Sendler, S. J, "The Icon and the Law of Perspective" Oakwood Publications 1988
19 Deleuze, Gilles, "Plieugue" Paidos 1989
20 Panofsky, Erwin, "Perspective as Symbolic Form" Zone Books 1997
21 D’Ors, Eugenio, "Le Baroque" Tecnoc 1993
22 Morel, Jacques, "La Renaissance Ⅲ" Arthaud 1973
16세기 수학과 회화 사이: 존 디의 ‘수학 서문’(1570) 속 수학의 유용성과 학문적 지위
성경의 연극화 : 티르소 데 몰리나의 『타마르의 복수』